[부스터] 익스테리어 파츠의 종류와 튜닝

[부스터] 익스테리어 파츠의 종류와 튜닝

발행일 2015-01-28 13:39:56 탑라이더

만약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자신의 애마에 튜닝을 하고 싶어 한다면, 과연 어떤 부위를 가장 먼저 하고 싶어 할까?


아마 대부분의 오너들은 이 질문을 들었을 때 망설임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나라의 튜닝산업 자체가 규제와 왜곡된 인식에 의해 빛을 보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인데, 때문에 차에 관심이 많지 않고서야 자동차의 파츠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떤 기능을 하고 어떤 종류로 튜닝할 수 있는지에 대한 기초지식이 많이 부족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 다양한 에어로파츠가 포인트가 되는 2014 콜벳 스팅레이

따라서 이번 시간에는 일전에 잠시 소개했던 바 있던 서스펜션이나 카오디오, 휠 인치업 등의 자동차를 운용하면서 기본적으로 얻을 수 있는 필수적인 내용이 아닌 대중들이 옵션이나 튜닝으로 쉽게 바꿀 수 있으면서도 강력한 드레스 업 효과를 줄 수 있는 외장재 (익스테리어) 와 관련한 용어를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 볼까 한다. 당연하게도 대부분이 독자들이 알 수 있는 내용들이지만, 이후 논의할 튜닝의 다양한 종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 번 복습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1. 전조등 / Head Light
자동차 등화장치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드레스 업 효과를 위해 많은 오너들이 튜닝 파츠를 찾는 부위이다. 하지만 아직 대부분의 전조등 튜닝이 불법 튜닝이므로 유의할 것!
당연하게도 하향등과 상향등이 달려 있고, 할로겐 램프와 흔히 HID 라고도 하는 제논 라이트로 구분된다. 할로겐 램프는 전구 안에 할로겐 가스가 들어 있고 필라멘트가 발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쉽게 백열등 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HID 램프는 필라멘트가 없고 제논 가스 자체로 발광하는 구조인데, 할로겐의 2~3배 정도의 광량으로 훨씬 밝기 때문에 HID 램프를 장착하거나 튜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오토레벨링 장치 (조사각을 자동으로 조절해 주는 장치)가 있어야만 승인이 떨어진다. 반대쪽 차선에서 달려오는 차량들에게서 날라오는 눈뽕(!)들을 보며 욕한지가 한두번이던가.. 나부터 조심하자.

▲ 실제로 제작되어 판매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크루즈의 데이라이트 튜닝제품


2. 안개등 / Fog Lamp
헤드라이트와는 별개로 노란 빛을 내는 보조적인 장치이다. 이름 그대로 안개가 발생했을 때 백색인 헤드라이트보다 시야를 확보하기 쉽고, 마주 오는 차량의 시인성도 좋아진다.
또한 개정되는 자동차 튜닝법에서는 안개등에 대한 튜닝 규제가 풀렸기 때문에, 많은 오너들이 드레스 업 효과를 위해 튜닝하기도 하는 부위이다. 게다가 장착도 쉬워 DIY도 많이 하는 부위 중 하나이다.
좀 더 밝은 광량이나 색상 변화를 통해 밤에도 남들과 다른 나만의 차를 위한다면, 조심스럽게 안개등 튜닝과 같은 가벼운 등화장치부터 시작하는 것도 좋다.


3. 포지셔닝 램프 / Positioning Lamp
데이라이트 라고도 한다. 안개등과 마찬가지로 차의 시인성을 높여주는데, 다른 점이 있다면 주간주행등으로서 낮에도 항상 점등해야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올해 6월부터 생산되는 모든 차종에 대해 데이라이트를 의무장착 하게 하였으며, 밤낮없이 멋드러진 드레스업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튜너들도 많이 찾고 있는 파츠이기도 하다. 일부 수입차의 경우에 본사 데이라이트 가격만 100만원이 훌쩍 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문에 사제 데이라이트를 3~40만원 정도에 장착하는 튜닝도 많이 찾고 있는 추세이다.


4. 라이트 워셔 / Light Washer
헤드라이트를 닦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주로 고급차의 옵션에 많이 장착되어 나온다.
라이트 앞에 눈이 쌓이거나 이물질이 발생했을 때 좋은 옵션인데, 평소에 관리를 잘 하면 굳이 필요없는 옵션이기도 하다.


5. 방향지시등 / Turn Signal Lamp
자동차 차선 변경 또는 방향 전환, 교차로 등의 좌우 회전 등으로 사용한다. 당연하게도 색상은 전세계 동일하게 노란색만 가능하다. 휀다나 사이드미러에도 방향지시등을 달 수 있는데, 휀다에 달면 휀다등, 사이드미러에 달면 사이드리피터라고 한다. 또한 차량 후미에는 리플렉터 튜닝이라 하여 리플렉터 대신에 전구를 넣어 뒷차량에게 방향지시등을 보조하는 역할로 사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글라스리피터라 하여 사이드미러 안쪽에 운전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led를 심어 보여주는 편의장치 튜닝도 나오고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현행 법상 사이드리피터가 있는 차량이면 휀다에 방향지시등을 달 수 없다는 점인데, 참으로 튜닝에 대한 규제는 신비한 것 같다.


6. 후미등 / Tail Lamp
차량 뒤쪽에 위치한 램프로 방향지시등과 브레이크등, 그리고 미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통 테일램프 튜닝은 테일램프 내부의 전구들을 전부 교체하여 다른 모양을 내는 튜닝이나 광량을 높이는 주로 하며, 안전성의 이유인지는 몰라도 그 외의 튜닝은 오너들도 거의 하지 않는다.

 

▲ 하만카돈 사의 BMW 범퍼 킷

7.  범퍼 / Bumper
자동차의 앞뒤로 설치되어 사고가 났을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앞에 위치하면 프론트 범퍼, 뒤에 위치하면 리어범퍼라고 하는데 차에 탑승한 사람과 차에 치인 사람 모두에게 충격을 상쇄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포 우레탄과 같은 충격을 흡수하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최근에 자동차를 분해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 이리저리 보던 중 자동차 범퍼를 분해해 보았는데, 정말 차의 다른 부위에 비해 연질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어서 놀랐던 기억이 있다. 반면 그 안쪽에 위치한 차체는 정말 무거운 강철로 되어있어 한번 더 놀랐었다.


범퍼는 또한 드레스업 효과를 줄 수 있는 확실한 튜닝 아이템이 되기도 하는데, 베스트 셀링 모델들을 중심으로 국내/외 브랜드들의 다양한 튜닝 킷들을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으니 검색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8. 라디에이터 그릴 / Radiator Grille
라디에이터 그릴은 그릴 안쪽의 라디에이터(냉각장치)에 바람을 넣어 식히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구아방이라고도 불리는 구형 아반떼와 같은 몇몇 차종에서는 라디에이터 그릴이 없는 경우도 있다. 그릴에는 차량의 인상을 정할 뿐 아니라 로고도 들어가게 되어 드레스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 출시된 LF 소나타 하이브리드가 그릴과 후미등을 바꿔 나왔는데, 세간의 좋아진 평가에 한몫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후미등의 역할이 큰 것 같긴 하다.)


9. 사이드 미러 / Side Mirror
후방과 측방 시야확보에 사용하는 중요한 자동차의 부품이기도 하지만, 툭 튀어나온 외관 덕분에 드레스업 튜닝으로 많이 이용하는 부위 중 하나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미러 커버에 리피터를 장착하여 사이드리피터로 활용하기도 하고, 글라스리피터로 활용하여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기도 한다. 또한 최근 광각미러가 등장함에 따라 광각미러를 달아 시야를 넓히기도 하고 위아래로 보조거울을 달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미러커버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수전사나 카본을 이용한 포인트랩핑으로 많이 시공되기도 하는 부위이다.


10. 리어 스포일러
에어로파츠 쪽을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리어 스포일러가 가장 먼저 나올 것이다. 리어 윙이라고도 하는데 차량의 뒤쪽에 장착되는 부품이다. 원래는 주로 공기 흐름을 생각하여 고속주행 시 공기저항을 낮추고 차를 공기로 눌러 노면에 붙여주는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들어진 부품인데, 뛰어난 드레스 업 효과로 인해서 스포일러가 필요없는 차량들도 하나씩 달곤 한다. 


11. 기타 에어로파츠
사실 에어로파츠라고 하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주행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거나 공기 저항을 이용하여 다운포스(차량을 아래로 눌러주는 힘)를 제공하는 모든 파츠를 말하며, 그 종류도 상당히 많다. 에어댐, 사이드댐, 스포일러 등 종류도 다양하며, 그것이 사용되는 위치도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차종에 맞는 아이템들을 보고, 마음에 드는 파츠를 작업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세상에는 수많은 튜닝 파츠들이 있다. 위의 논의한 익스테리어 부품 말고도 인테리어 부품이나 각종 편의장치 등 사용자의 경험에 맞게 커스터마이징 하는 모든 행위가 튜닝이 될 수 있다. 많은 돈이 들어가는 튜닝이 있는 반면, 몇 만원 가지고도 할 수 있는 튜닝들이 생각보다 많다. 진정으로 자동차를 좋아하고 드라이빙시 뿐만 아니라 드라이빙 외적으로도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많다면, 위의 내용들은 한번씩 참고하며 본인의 취향에 맞는 튜닝을 찾아가는 것이 좋은 방법일 것 같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폭스바겐 아틀라스 내주 출시, 가격은 6700만원대

폭스바겐 아틀라스 내주 출시, 가격은 6700만원대

폭스바겐 아틀라스 가격대가 내주 국내 출시에 앞서 공개됐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에서 6인승과 7인승으로 운영되며, 가격은 6700만원대부터다. 아틀라스는 폭스바겐 보급형 대형 SUV다. 아틀라스는 2.0 가솔린 터보 엔진과 국내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이다. 아틀라스는 폭스바겐의 대형 SUV다. 아틀라스는 폭스바겐 플래그십 투아렉과 다르게 3열 시트를 갖춘 것이 특징이며, 가격은 소폭 저렴하다. 아틀라스는 국내에서 6인승과 7인승 사양으로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샤오미 YU7 SUV 공개, 2열에서 누워서 갈 수 있다

샤오미 YU7 SUV 공개, 2열에서 누워서 갈 수 있다

중국 전자 제품 브랜드 샤오미(Xiaomi)는 23일 YU7을 공식 공개했다. YU7은 샤오미의 두 번째 전기차이자 준대형 SUV로 세련된 외관 디자인과 실내가 특징이다. 특히 2열 시트 등받이는 최대 135도까지 눕힐 수 있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으며, 7월에 출시된다. YU7은 SU7 세단에 이은 샤오미의 두 번재 전기차다. YU7 차체 크기는 전장 4999mm, 전폭 1996mm, 전고 1600mm, 휠베이스는 3000mm다. 테슬라 모델X와 비교해 전장은 58mm 짧지만, 휠베이스는 35mm 더 길다. YU7 외관은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인피니티 QX60 부분변경 공개, 제네시스 GV80 정조준

인피니티 QX60 부분변경 공개, 제네시스 GV80 정조준

인피니티는 신형 QX60을 공개했다. 신형 QX60은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 고급감이 개선됐다. 신형 QX60에 도입된 스포츠 트림은 20인치 휠과 전용 디자인 등으로 스포티함이 강조됐다. 신형 QX60은 올해 여름 미국 판매가 시작된다. QX60은 7인승 대형 SUV다. QX60의 주력 판매 시장은 미국인데, 제네시스 GV80이 대표적인 경쟁 모델이다. 신형 QX60은 2세대 부분변경이다. 인피니티는 향후 신형 QX60을 기반으로 실용성을 희생하고 스타일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MW M FEST 2025 기대되는 이유, 한국 최초의 M 페스티벌

BMW M FEST 2025 기대되는 이유, 한국 최초의 M 페스티벌

BMW 고성능 차 페스티벌, BMW M FEST(페스트)가 국내 최초로 개최돼 주목된다. BMW코리아(대표 한상윤)는 오는 5월 30일부터 6월 1일까지 인천 영종도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고성능 차를 즐기는 모든 팬들을 위한 축제 'BMW M FEST 2025'를 개최한다. BMW M FEST는 BMW M 팬은 물론 고성능 차 마니아들을 위한 세계적 축제로, 지난 2017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처음 열렸다. BMW M 브랜드의 깊은 유산과 고유 문화를 경험하고 강력한 주행성능을 만끽할 수 있

뉴스이한승 기자
쉐보레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 공개, 1억원대 오프로드 픽업

쉐보레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 공개, 1억원대 오프로드 픽업

쉐보레는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Trail Boss)를 22일 공개했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업그레이드된 서스펜션과 새로운 터레인 모드, 18인치 휠과 35인치 올터레인 타이어 등 오프로드 주행에 최적화됐다. 주행거리는 최대 720km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2026년형 실버라도 EV에 신규 도입된 트림이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오프로드에 특화됐다. 실버라도 EV 트레일 보스는 기본형과 맥스로 운영되는데, 가격은 각각 7만2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닛산 마이크라 공개, 르노5 형제차..408km 주행 전기차

닛산 마이크라 공개, 르노5 형제차..408km 주행 전기차

닛산은 신형 마이크라(Micra)를 21일 공개했다. 신형 마이크라는 6세대로 풀체인지를 거치면서 전기차로 전환됐으며,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408km를 주행할 수 있다. 신형 마이크라는 독특한 외관 디자인이 특징이다. 올해 하반기 유럽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마이크라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르노의 차세대 전기차 르노5 E-테크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신형 마이크라는 런던에 위치한 닛산 디자인 유럽 스튜디오에서 유럽 고객을 고려해 디자인됐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르쉐 타이칸 GTS 출시, 가격은 1억7990만원

포르쉐 타이칸 GTS 출시, 가격은 1억7990만원

포르쉐코리아는 타이칸 GTS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타이칸 GTS는 타이칸 부분변경의 고성능 버전으로 듀얼 모터를 탑재해 최대 700마력의 오버부스트 출력을 발휘하며, 제로백 3.3초의 성능을 갖췄다. 425km를 주행할 수 있다. 가격은 1억7990만원이다. 타이칸 GTS는 1963년 공개된 포르쉐 904 카레라 GTS 이후 브랜드를 상징하는 퍼포먼스 모델로 자리매김한 GTS 레터링을 계승한 파생 모델이다. 타이칸 GTS는 타이칸 부분변경 라인업 내에서 주행 성능과 일상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신형 라브4 공개, 가솔린 단종..하이브리드 전용 SUV

토요타 신형 라브4 공개, 가솔린 단종..하이브리드 전용 SUV

토요타는 신형 라브4를 21일 공개했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로 외관에 브랜드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으며, 실내에는 대형 디스플레이 등이 적용됐다. 특히 차세대 소프트웨어와 ADAS가 도입됐다. 신형 라브4는 하이브리드와 PHEV로만 운영된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라브4는 국내에서도 꾸준하게 판매되고 있는 만큼 신형 라브4도 국내에 투입될 전망이다. 신형 라브4는 올해 말 미국부터 판매가 시작된다. 신형 라브4는 구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5 공개, 모델Y 반값..패스트백 스타일 전기차

토요타 bZ5 공개, 모델Y 반값..패스트백 스타일 전기차

토요타는 bZ5를 20일 공개했다. bZ5는 토요타와 중국 FAW의 합작 법인에서 개발한 패스트백 스타일 크로스오버다. BYD의 LFP 배터리를 탑재해 최대 630km를 주행할 수 있다. bZ5는 중국에서만 판매될 예정이며, 가격은 테슬라 모델Y 절반 수준으로 책정됐다. bZ5는 중국내에서 합리적인 가격을 목표로 토요타와 중국 FAW의 합작 법인이 개발한 차세대 전기차다. bZ5는 중국에서만 판매될 예정이다. bZ5 가격은 13만위안(약 2500만원)로 경쟁 모델 중 하나인 테슬라 모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