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타스만, 승차감과 거주성 살린 '전천후 픽업트럭'

[시승기] 타스만, 승차감과 거주성 살린 '전천후 픽업트럭'

발행일 2025-04-07 01:44:56 이한승 기자

기아 픽업트럭 타스만 X-Pro, 익스트림을 온오프로드에서 시승했다. 타스만은 기아 최초의 픽업트럭으로 패밀리카로서의 실용성과 승차감, 본격 오프로더로서의 험로 주행성능을 만족한다. 특히 e-LD, 전자식 2속 ATC, X-Trek모드, 수심 800mm 도하 등 본격 오프로더 요건을 충족한다.

본격적인 전동화 시대에 완전히 새로운 콘셉트의 신차를 만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기존 내연기관 차량들은 2차 부분변경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풀체인지시에도 플랫폼이나 파워트레인을 바꾸는 경우가 많지 않다. 이런 시기에 기아가 본격적인 픽업트럭 신차를 선보이니 무척 반갑다.

타스만은 새로운 픽업 플랫폼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보디 온 프레임(Body on Frame) 혹은 래더 프레임(Ladder Frame)으로 불리는 구조로, 기초 설계는 모하비의 것을 가져왔다. 여기에 지상고를 85mm 높이고, 변속기, 연료탱크, 배기 등 주요 부품을 프레임 위에 배치, 파손을 방지한다.

특히 실내 안전성 확보와 험로 주행시 비틀림 강성 증대를 위해, 모하비의 프레임 섀시 대비 고장력 강판을 확대하고 구조를 개선해, 차체 평균 판넬 강도는 64%, 비틀림 강성은 32% 높였다. 접근각은 28.9도(X-Pro +3.3), 이탈각 25도(+1.2), 램프각 23.7도(+2.1), 최저지상고 224mm(+28)다.

시승한 모델은 타스만 익스트림 4WD와 오프로드 특화 트림인 X-Pro 4WD다. X-Pro는 휠센터를 14mm 낮춰 지상고를 높이고, 외경이 28mm 커진 올터레인 타이어를 사용하며, 전자식 차동기어 잠금장치(e-LD), 험로 저속 크루즈컨트롤(X-TREK), 그라운드 뷰, 오프로드 페이지가 추가된다.

타스만의 외관 디자인은 미국산 픽업트럭 같은 호감형은 아니다. 어딘가 디자이너의 의도를 고민해야 이해할 수 있는 난해함이 묻어난다. 전면부는 픽업트럭 고유의 강인함을 강조했는데, 군용차로 쓰이는 5/4톤 차량과 유사한 분위기도 풍긴다. 어두운 컬러가 비교적 무난한 분위기다.

휠 하우스 쪽에 페인팅을 하지 않은 디테일은 지프 글래디에이터가 연상되기도 한다. 1세대 코나의 디자인 스타일로 보여지기도 하는데, 클래딩 부분의 변화만으로도 다양한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전체적인 차체 프로포션은 지상고를 높인 X-Pro가 멋스럽고 안정적이다.

실내는 수평형 대시보드와 와이드 모니터로 현대적으로 구성했다. 캐빈룸의 전고를 살짝 낮춰 렉스턴 스포츠 보다는 시트포지션이 낮은 편이다. 이런 이유로 실내에서는 본격 픽업트럭 보다는 SUV에 가까운 분위기다. 송풍구 쪽 디자인과 조작법은 좋지만 혼다와 지나치게 닮은 구성이다.

기아 연구진은 타스만의 2열 거주성에 많은 공을 들였다. 픽업트럭은 일반적으로 제한된 캐빈룸 내에서 레그룸 확보를 위해 2열 등받이가 세워져 불편한데, 타스만은 등받이 각도와 방석부가 앞뒤 위치가 연동되는 구조로, 시트백 각도를 K8 수준을 27도로 설정, 최대 30도까지 눕힐 수 있다.

타스만에는 2.5리터 4기통 가솔린 터보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 4WD 사륜구동 시스템이 조합돼 최고출력 281마력(5800rpm), 최대토크 43.0kgm(1700-4000rpm)를 발휘한다. 18인치 4WD 기준 공차중량 2175kg, 복합연비 8.0km/ℓ(도심 7.2, 고속 9.1)다. 2WD 선택시 약 0.5km/ℓ 향상된다.

운전석에서의 시트포지션은 안정적이다. 실내 플로어는 높지만, 시트의 바닥면의 높이는 일반적인 차량과 다르지 않아, 초기형 픽업트럭 고유의 껑충한 시트포지션과는 차이가 있다. 실내 디자인시 미국산 중형 픽업트럭의 구성을 참고한 흔적이 엿보인다. 시트의 면적도 비교적 여유롭다.

다만 덩치가 큰 운전자의 경우 1열 헤드룸이 다소 낮게 느껴질 수 있다. 2열 공간은 중형 픽업트럭 중 거주성이 좋은 편에 속한다. 기존 픽업트럭의 2열 거주성 문제 해결을 위해 시트 설계에 공을 들였기 때문이다. 시트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지 여부는 장거리 여행시 아주 중요한 요소다.

정차시 소음과 진동은 효과적으로 차단했다. 기본적으로 가솔린 엔진의 특성상 회전 질감이 부드럽고, 엔진과 변속기는 제네시스 2.5T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또한 이중접합 차음유리를 적용하고, 전면부 프레임 부싱을 부드럽게 설정, 시트나 스티어링 휠 진동은 거의 없다.

일상주행시 승차감은 부드러운 설정이다. 스트로크가 긴 서스펜션에 SUV 수준의 승차감을 추구하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다. 부드러운 셋업과 파워풀한 파워트레인을 통해 부드럽고 경쾌한 주행감각이 전달된다. 운전이 쉽고 편한 것이 장점이나, 가볍고 작게 느껴지는 것이 단점일 수 있다.

고속주행시에는 의외로 안정감이 좋은 편이다. 일부러 필요 이상의 좌우 조향을 반복하지 않는다면, 대부분의 도로 상황에서 안정감은 유지된다. 고속코너링시 안정감도 경쟁차 대비 좋은 편이다. 최고속도는 계기판 기준 180km/h 이상까지 시원하게 뻣어줘 펀치력에서는 아쉬움이 없다.

다소 아쉬운 부분은 2.5 터보 엔진의 회전질감인데, 엔진 설계가 2500rpm부터 매끄럽게 제 성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스포츠모드에서 가장 만족스럽다. 반면 컴포트모드에서는 2000rpm 이하 구간을 주로 사용해 충분한 힘도 나오지 않고 터보랙도 있다. 구성을 고려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오프로드 주행은 타스만 X-Pro로 진행됐다. 임시도로를 주파하는 상황에서도 준수한 승차감을 보여준다. 부드러운 셋업은 오프로드에서도 만족스러운 결과를 전한다. 좌우로 고저차가 반복되는 차체가 비틀리는 상황에서도 차체나 프레임쪽에서 소음이 없다. 견고하면서 유연한 차체다.

본격적인 험로 주행에 앞서 4L 모드를 선택하려면 기어를 N으로 변경해야 한다. 4L에서는 저속 정속주행장치인 X-TREK과 e-LD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중앙 모니터에는 차의 각종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보여진다. 해발높이, 좌우 기울기, 조향각, 피칭각 등 오프로드 정보가 표시된다.

차체 하부 상황은 그라운드뷰를 통해 참고할 수 있다. 프랑스 브랜드의 측후방 카메라처럼 지나간 영상을 처리해 보여주는 방식으로, 정차시에는 표시되지 않는다. 전방 장애물이나 측면 장애물을 확인하는 과정은 어라운드뷰 모니터를 통해 표시돼 험로에서 위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인상적인 점은 800mm에 달하는 도하성능이다. 국산차로는 처음 공식적으로 강조한 사항으로, 이를 위해 흡기 위치를 높이고 방향은 후방을 향해 침수를 방지한다. 전자장지 침수를 대비한 설계도 동원됐다. 기본형에 사륜구동만 더하면 4천만원에 전천후 오프로더를 소유할 수 있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 공개, 24K 금 엠블럼 적용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 공개, 24K 금 엠블럼 적용

메르세데스는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을 24일 공개했다.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은 마이바흐의 100년 전통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50대 한정판으로 24K 금으로 제작된 전면부 엠블럼과 전용 루프라이너, '1 of 50' 배지 등을 제공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은 12기통 엔진을 탑재한 최초의 양산차 중 하나였던 1930년대 마이바흐 제플린의 철학인 '우아함과 파워의 조화, 장인정신'을 계승한다.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닛산 신형 센트라 공개, 미국서 아반떼 정조준

닛산 신형 센트라 공개, 미국서 아반떼 정조준

닛산은 신형 센트라(Sentra)를 24일 공개했다. 신형 센트라는 9세대 풀체인지로 닛산 아리야가 연상되는 브랜드 최신 디자인 언어가 외관에 반영됐으며, 실내에는 와이드 디스플레이 등 신규 사양이 배치됐다. 2.0리터 4기통 가솔린 자연흡기 단일로 운영된다. 센트라는 닛산의 준중형 세단으로 미국에서 현대차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 기아 K4, 혼다 시빅 등과 경쟁한다. 신형 센트라는 9세대 풀체인지다. 신형 센트라는 2.0리터 4기통 가솔린 자연흡기 단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AMG CLE 53 4MATIC+ 쿠페 출시, 가격은 1억770만원

AMG CLE 53 4MATIC+ 쿠페 출시, 가격은 1억770만원

벤츠코리아는 AMG CLE 53 4MATIC+ 쿠페를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AMG CLE 53 4MATIC+ 쿠페는 CLE 쿠페의 고성능 버전으로 3.0리터 6기통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449마력을 발휘하며, AMG 라이드 컨트롤 서스펜션 등을 갖췄다. 가격은 1억770만원이다. AMG CLE 53 4MATIC+ 쿠페는 CLE 쿠페의 고성능 버전이다. 벤츠코리아는 이번 AMG CLE 53 4MATIC+ 쿠페 출시로 CLE 전 모델 라인업을 완성했다. AMG CLE 53 4MATIC+ 쿠페 가격은 1억770만원, 15대 한정판 리미티드 에디션은 1억3130만원으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피아트 500 하이브리드 공개, 2700만원대 가성비

피아트 500 하이브리드 공개, 2700만원대 가성비

피아트는 신형 500 하이브리드 사양을 24일 공개했다. 신형 500 하이브리드는 도심에 최적화된 소형 하이브리드 모델로 1.0리터 3기통 가솔린 엔진과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했다. 11월 유럽 시장에 출시되며, 가격은 1만7000유로(약 2700만원) 미만이다. 신형 500 하이브리드는 지난 2020년 피아트가 투입한 500 전기차를 기반으로 한다. 피아트는 신형 500 하이브리드를 11월 유럽부터 판매할 계획이며, 2026년 2월 고객 인도를 목표로 한다. 신형 500 하이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EX90 2026년형, 초급속 충전 추가..국내 출시는?

볼보 EX90 2026년형, 초급속 충전 추가..국내 출시는?

볼보는 2026년형 EX90을 23일 공개했다. 2026년형 EX90은 기존 400V 시스템을 대체하는 800V 시스템을 탑재해 초급속 충전 속도가 개선됐으며, 업그레이드된 주차 파일럿 어시스트 기능과 일렉트로크로믹 파노라파 루프가 도입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X90은 지난 2022년 공개된 볼보 차세대 플래그십 전기 SUV다. EX90은 국내 출시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됐다. EX90은 글로벌 기준 듀얼 모터와 싱글 모터 등 다양한 구성으로 운영되는데, 국내 트림은 미정이다.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지프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 공개, 블랙과 레드로 존재감 '업'

지프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 공개, 블랙과 레드로 존재감 '업'

지프는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을 23일 공개했다.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은 일본 시장을 위한 150대 한정판으로 브릴리언트 블랙 크리스탈 외관 컬러와 레드 컬러 포인트로 외관 존재감이 강조됐다. 또한 전용 엠블럼과 18인치 휠 등 일반 모델과 차별화된 것이 특징이다. 커맨더는 일본과 브라질 등 일부 시장에서만 판매되는 전략형 중형 SUV로 컴패스와 그랜드 체로키 사이에 위치한다. 커맨더는 3열 시트를 갖춘 7인승으로 운영된다.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자동차코리아, 컨슈머인사이트 ‘제품 만족도’ 6년 연속 1위 선정

볼보자동차코리아, 컨슈머인사이트 ‘제품 만족도’ 6년 연속 1위 선정

볼보자동차코리아(대표: 이윤모)가 자동차 전문 리서치 회사 컨슈머인사이트(Consumer Insight)의 ‘2025 자동차 기획조사’ 제품 만족도(TGR) 부문에서 국산 및 수입차 브랜드 통합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상품성을 입증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2001년부터 매년 약 10만 명의 자동차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객관적인 선택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국산 및 수입차 브랜드를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기아 EV5, 패밀리 전기 SUV의 새로운 스탠다드

[시승기] 기아 EV5, 패밀리 전기 SUV의 새로운 스탠다드

더 기아 EV5(The Kia EV5)를 시승했다. EV5는 기아가 처음 선보이는 정통 SUV 바디타입 전기차로, 내연기관 SUV와 유사한 프로포션과 공간을 확보해 전기차 특유의 이질감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페달 오동작 방지 등 안전 기능을 탑재해 패밀리 SUV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EV5 출시로 '2023 EV 데이'를 통해 공개한 전기차 라인업이 모두 출시됐다. 2021년 준중형 전기 크로스오버 SUV(EV6), 2023년 준대형 전기 SUV(EV9), 2024년 소형 크로스오버 SUV(EV3), 2025년 준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BMW X5 풀체인지 티저 공개, 수소차까지 나온다

BMW X5 풀체인지 티저 공개, 수소차까지 나온다

BMW는 신형 X5 티저를 23일 공개했다. 신형 X5는 풀체인지 모델로 기존의 가솔린과 디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외에 배터리 전기차와 수소 연료 전기차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으로 운영되며, 외관엔 BMW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내년에 공개된다. 신형 X5는 5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X5는 다양한 파워트레인이 도입되는데, 가솔린과 디젤로 구성된 내연기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배터리 전기차, 수소 연료 전기차 등 총 5가지 선택지를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