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각지대 제로!! 어라운드뷰는 무엇인가?

자동차 사각지대 제로!! 어라운드뷰는 무엇인가?

발행일 2013-09-10 22:17:25 김진우 기자
▲ (XTM 더벙커 화면캡쳐)
채널 XTM "THE BUNKER 시즌2" 5화 에서는 전방과 후방은 물론 좌우측면을 운전자가 한눈에 사각지대 없이 자동차 주위환경을 볼 수 있는 어라운드뷰를 다루었습니다.
 
요즘 자동차를 보면 후진을 위해 R레버에 기어를 넣으면 후방감지기 소리와 동시에 네비게이션 스크린에 후방카메라를 통해 자동차 후방시야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이 편리한 아이템 덕분에 주차를 한결 편하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후방뿐 아니라 전방카메라도 있으며 최근에는 좌우 사이드 미러에 카메라가 적용된 경우도 있습니다. 이걸 어라운드뷰라고 합니다.
 
 
▲ (XTM 더벙커 화면캡쳐)
 
 
자동차 블랙박스가 교통사고 시 교통사고 발생원인 및 피해자와 가해자를 블랙박스 영상에 담는 역할을 한다면 어라운드뷰는 주행 시 혹은 주차 시 운전자가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까지 영상으로 볼 수 있어 좁은 곳에서 주차 시 혹은 주행 중 돌발상황을 미리 알 수 있습니다. 어라운드뷰는 일본의 닛산이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닛산의 고급 브랜드인 인피니티에 적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어라운드뷰는 하늘에서 마치 운전자가 탑승한 차를 내려다 보는듯한 영상을 네비게이션 스크린을 통해 보여줍니다. 어라운드뷰는 주차가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좁은 주차공간에 주차를 해도 네비게이션 스크린을 통해 차 주위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라운드뷰만 있다면 앞으로 창문 열고 고개 내밀어서 주차할 일은 없을 겁니다.
 
어라운드뷰가 가장 필요한 운전자는 경차나 소형차에서 중형이나 대형차로 바꾼 운전자입니다. 이 글 쓰는 저 또한 예전에 경차나 소형차 타다가 중 대형차를 운전한 적이 많았는데 지금은 크게 문제없지만 처음에는 상대적으로 큰 차체 폭과 길이로 인해 운전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의외로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는 전방카메라
 
 
▲ (XTM 더벙커 화면캡쳐)
 
 
보통 주차 시 후방을 볼 수 있어서 편리한 후방카메라의 중요성과 편리함은 대부분의 운전자들이 알고 있겠지만 전방카메라 또한 후방카메라만큼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운전시 매우 편리하고 사고예방에 일조합니다. 
 
운전할 때 전방카메라가 가장 필요할 때는 언덕길을 올라갈 때입니다. 특히 운전자의 앉은키가 작은 경우 앞쪽 대시보드에 시야가 가려서 전방 아래쪽이 안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요. “THE BUNKER 시즌2” 실험을 보면 MC가 언덕길을 올라가다가 작은 인형을 발견못하고 차로 밟은 실험장면이 있습니다. 
 
언덕길 주행 중에서도 가파른 언덕길을 올라가다가 정상에서 바로 급격하게 내려가는 구간이 전방시야가 가장 안 좋습니다. 아마 SUV로 오프로드를 즐기시는 분이라면 이러한 상황을 많이 겪었을 텐데요. 이런 경우에는 사실상 하늘만 바라보는 상황이라 그 아래 시야를 볼 수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 전방카메라가 크게 유용합니다.
 
운전석이 높은 버스나 트럭은 어라운드뷰가 선택이 아니라 필수
 
버스나 승합차 트럭의 경우 승용차처럼 앞쪽에 엔진이 없고 운전석 아래 혹은 뒤쪽에 엔진이 있기 때문에 본넷이 없어 전방시야가 탁 트일 거라 생각 하시겠지만 차체가 높기 때문에 운전석 또한 높아서 의외로 아래쪽부분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형트럭이나 버스를 보면 전방 바로 아래쪽을 바라볼 수 있는 미러가 있긴 하지만 시야가 좁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특히 운전석 위치가 매우 높은 대형트럭의 바로 앞에 충돌한 물체가 있어도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교통사고 관련 블랙박스 영상을 보시면 대형트럭이 바로 앞에 있는 차량과 충돌 후에도 멈추지 않고 계속 전진하는 영상이 여럿 있는데 대형트럭 운전자들 말로는 대형트럭은 높이가 높은 편이라 바로 앞쪽의 시야가 보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로 대형트럭이나 버스는 어라운드뷰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SUV나 픽업트럭 스타렉스 같은 승합차는 대형트럭이나 버스보다는 차체가 낮지만 본넷이 앞쪽이 있는 구조입니다. 거기에 대형트럭이나 버스처럼 전방 아래쪽을 보는 미러도 없어서 전방하부에 장애물이 있어도 운전자가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실제로 부모가 잠시 한눈을 판 사이 호기심 많은 어린이가 도로에 잠시 정차한 스타렉스 앞에서 장난치던 중 스타렉스에 탑승한 운전자가 전방 앞쪽에 있는 어린이를 보지 못하고 그대로 전진해서 어린이를 타이어로 밟은 사례도 있습니다.
 
통학버스에 설치된 어라운드뷰는 어린이의 안전을 보장한다.
 
 
▲ (XTM 더벙커 화면캡쳐)
 
 
자동차 중에서도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통학버스는 특히 안전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탑승할 때뿐만 아니라 어린이가 탑승하고 하차할 때 어린이들은 사고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하차 혹은 탑승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버스가 무리하게 출발하다가 어린이가 입은 옷이 문에 끼이면서 사고가 발생하거나 버스 앞이나 뒤에 있는 어린이를 운전자가 못보고 운전하다가 사고가 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통학버스는 그래서 사각지대가 전혀 없어야 어린이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데요. "THE BUNKER 시즌2" 에서 4채널 어라운드뷰를 장착한 통학버스는 버스 내부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학버스 주위에 서있는 어린이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THE BUNKER 시즌2" 실험 결과를 통해서 어라운드뷰는 통학버스의 안전을 위해 의무적으로 어라운드뷰를 설치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자동차 유리 모두 가려도 어라운드뷰를 통해 운전할 수 있다.
 
 
▲ (XTM 더벙커 화면캡쳐)
 
자동차의 모든 사각이 없는 어라운드뷰를 통해 운전도 할 수 있습니다. "THE BUNKER 시즌2" 실험에서 MC들이 자동차의 모든 유리를 가리고 운전면허시험장 주행코스를 운전하는 장면이 있는데 저속운전이 보장된다면 창문 없이 어라운드뷰를 통해서도 충분히 운전이 가능하다고 입증된 실험이었습니다.
 
"THE BUNKER 시즌2" 에서 어라운드뷰는 자동차의 사각지대를 없애고 자동차 주위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 운전자가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는 걸 입증했습니다. 어라운드뷰는 운전자 혼자서 설치하기가 상당히 힘들고 장착가격도 비싼 편이지만 안전을 생각한다면 금전적으로 전혀 아깝지 않는 아이템입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