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다양하고 복잡해졌다. 20년 전만 해도 국내 승용차는 소형, 준중형, 중형, 대형으로 차 급이 구분 되었지만 지금은 더욱 다양해졌고 오프로드 주행을 상징했던 SUV는 편안한 세단의 승차감과 운전감각이 가미된 크로스오버 모델이 주류를 이루었다.
심지어 같은 모델이라도 탑재되는 파워트레인이 다양해지면서 자동차 구매 모델을 바로 선택하기 힘든 결정장애를 호소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를 판매하는 영업사원들 또한 적어도 자신이 소속된 브랜드의 자동차 모델에 관한 정보를 잘 알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모델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할 수 있어야 살아 남는 시대가 되었다.
이제 하이브리드는 특별한 자동차가 아니다.

지금도 일부 자동차 모델은 상위 트림 비율이 높지만 수입차가 다양하지 않은 2000년대 중반 이전 자동차를 구매하는 국내 소비자들은 지금보다 상위 트림을 선호 비율이 높았고 영업사원들 또한 상위 트림으로 구매를 유도해야 더 많은 영업수당을 받기 때문에 상위 트림 비중이 지금보다 더 높다.
하지만 2010년 이후 하위 트림에서도 에어백이나 VSM 등 안전장비가 기본 적용되고 오토 에어컨이 하위 트림에도 적용되는 등 하위 트림과 상위 트림간의 구분이 단순해지면서 중, 하위 트림 판매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쏘나타 K5에는 기존 가솔린 엔진에 이어 가솔린 터보 디젤 거기에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와 비교해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가격 장벽이 낮아지고 이산화탄소 배출량 97g/km 이하를 만족시켜 친환경차 세제 혜택까지 받는다 해도 하이브리드 모델은 여전히 가솔린이나 디젤보다 비싸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최고 장점이라고 볼 수 있는 시내 연비가 디젤보다 확실하게 우위에 있기 때문에 시내 주행이 많거나 환경을 중시하는 K5 구매 예정자들을 겨냥한 영업사원의 구매 유도 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짧게 시승해본 신형 K5 하이브리드

12월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신형 K5 하이브리드 미디어발표회 겸 시승회가 열렸다. 구형 모델과 비교해서 엔진 출력은 150마력에서 156마력으로 전기모터 출력은 35KW에서 38KW로 상승하면서 현대 LF 쏘나타 하이브리드 모델과 같은 파워트레인이 탑재되었다.
이날 바람이 불고 폭설이 쏟아지는 악천후 날씨 탓에 시승 구간에 당초 예정보다 짧아졌다. 거기에 바람이 심하게 불고 기습적으로 쏟아진 눈 때문에 시승할 때마다 긴장하기도 했지만 기온이 높고 제설이 잘 되어 다행히 도로 노면에 눈이 쌓이지 않아 시승에 별 문제는 없었다. 어차피 LF 쏘나타 형제 모델인 만큼 주행성향 자체는 LF 쏘나타와 큰 차이는 없다.
다만 LF 쏘나타보다 나중에 출시된 모델이어서 그런지 여러 모로 개선된 흔적을 느낄 수 있었다. 먼저 엣킨슨 사이클 방식이 적용된 누우 2.0 GDI 엔진의 경우 고압으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 때문에 가속 시 인젝터 소음이 유입되는데 LF 쏘나타 하이브리드의 경우 크지 않지만 인젝터 소음이 어느 정도 유입되었으며 나중에 출시된 K5 하이브리드는 집중해서 귀를 기울이지 않는 이상 인젝터 소음을 제대로 들을 수 없을 정도로 조용해졌다.
그리고 트렁크 공간이 LF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380L인데 반해 K5 하이브리드는 424L로 더 넓어져 상품경쟁력 측면에서는 형님 모델인 LF 쏘나타 하이브리드보다 낫다고 생각된다. 맨 위 K5 하이브리드 프리젠테이션 영상을 보면 알겠지만 0.24cd에 불과한 공기저항계수는 고속도로 주행 시 더 조용한 정숙성과 더 나은 고속 연비를 보장할 것이다.
주로 고속도로 구간을 주행했고 기자가 시승할 때 가속력 측정 등 가혹한 조건이 많았기 때문에 트립으로 측정한 연비는 공인연비에 크게 못 미치는 리터당 12.5km/l에 불과했다. 반면 같이 시승한 다른 기자는 약 16km/l 연비를 기록했는데 확실한 것은 파워트레인 효율성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비는 운전자의 습관이 가장 큰 요소라고 볼 수 있겠다. 따라서 기아차는 K5 하이브리드 구매 고객들이 연비에 대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올바른 연비운전 등의 후속 마케팅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비 정숙성 모두 만족을 원하는 까다로운 고객을 위한 K5 하이브리드

길게 시승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K5 하이브리드의 모든 걸 알 수는 없었지만 K5 하이브리드는 가솔린 엔진처럼 조용한 정숙성을 원하면서도 디젤 엔진과 비슷한 수준의 높은 연비를 원하는 까다로운 고객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신형 K5 하이브리드 모델 가격은 2,840만원부터 시작하며 최상위 트림인 노블레스 스페셜에 모든 선택사양을 적용할 경우 가격은 3,561만원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올해 8월 27일 이후 연말까지 공장 출고 가격 기준으로 개별소비세가 5%에서 3.5%로 인하 되었는데 내년 1월1일 이후 개별소비세가 다시 5%로 환원되기 때문에 정부에서 개별소비세 인하를 연장하지 않는다면 가격이 다시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