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올 뉴 크루즈 디젤, 라프디의 부활을 꿈꾼다

[시승기] 올 뉴 크루즈 디젤, 라프디의 부활을 꿈꾼다

발행일 2017-11-06 06:49:56 이한승 기자

쉐보레 올 뉴 크루즈 디젤을 시승했다. 크루즈 디젤은 무게를 줄인 차체에 토크가 강력한 디젤엔진의 적용으로 매끄러운 가속감을 보인다. 특히 토크컨버터 방식 자동변속기 적용을 통한 저속 승차감과 크루즈 특유의 고속주행 안정감은 매력적이다.

쉐보레는 지난 1일 올 뉴 크루즈 디젤을 공개했다. 올 뉴 크루즈를 국내에 선보인지 10개월 만이다. 크루즈는 올해 10월까지 총 8687대가 판매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8732대가 판매된 것을 감안하면 신차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은 판매량이다.

출시부터 지금까지 문제점으로 지적된 부분은 가격과 옵션 구성이다. 본격적인 출시에 앞서 지난 3월 최대 200만원의 가격을 인하하는 강수를 뒀으나 상품성이 낮은 LS를 제외한 나머지 트림의 가격은 소폭 인하에 그쳤다. 디젤 모델의 가격은 아직 공개 전이다.

가솔린 트림 기준으로 높은 가격에 대한 이유는 일면 납득된다. LS 트림부터 터보엔진과 아이들링 스탑, 오토 라이트, 전동접이 사이드미러가 기본이다. 그러나 스타트버튼, 가죽시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위 트림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어 체감 가격이 높다.

그러나 올 뉴 크루즈는 동급모델 중 가장 최근 출시된 신차로 높은 상품성을 갖는다. 유럽 오펠에서 설계한 섀시는 고속주행에 최적화 됐으며, 차체의 74.6%에 고장력강판을 적용해 110kg의 경량화와 함께 차체 강성은 오히려 27% 높였다.

또한 동급에서 가장 큰 차체와 R-EPS 적용, 전 모델에 터보엔진과 스탑&스타트를 적용하는 등 상품성을 높이기 위한 아이템을 대거 채용했다. 그 밖에 크루즈 출시와 함께 2열 열선시트와 뒷좌석 에어덕트를 신규 적용해 고객 불만사항을 개선했다.

올 뉴 크루즈는 전장 4665mm, 전폭 1805mm, 전고 1465mm, 휠베이스 2700mm의 차체를 갖는다. 전장이 아반떼 대비 95mm 긴 것을 제외하면 유사한 차체 사이즈다. 상대적으로 볼륨감이 강조된 외관 디자인은 동급모델 보다 커보이는 효과가 있다.

운전석에서는 낮은 시트포지션과 시원한 전방시야가 특징이다. 공조장치 다이얼에 전자식으로 표시되는 방식은 아우디가 연상된다. 동급에서는 고급 사양에 속한다. 대시보드와 도어트림에는 가죽 커버링을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파워트레인은 1.6 CDTi 터보 디젤엔진과 3세대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돼 3500rpm에서 최고출력 134마력, 2000-2250rpm에서 최대토크 32.6kgm를 발휘한다. 18인치 휠 기준 공차중량은 1365kg, 복합연비는 15.5km/ℓ(도심 14.2, 고속 17.4)다.

과거 라세티 프리미어에 적용된 2.0 디젤엔진 대비 출력과 토크가 낮아졌으나 공차중량은 110kg 줄었다. 변속기 효율이 20% 향상됐으며, 기어비 변경을 통해 가속성능과 효율성을 높였다. 또한 전 모델에 스탑&스타트가 기본으로 적용됐다.

아이들링 상태에서의 소음과 진동은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D-레인지 정차시에도 디젤엔진 특유의 거친 진동이 실내로 전달되지 않는다. 스탑&스타트의 동작은 빠르고 신속하다. 그러나 끌 수 있는 버튼이 마련되지 않아 선택의 여지는 없다.

도심에서는 넉넉한 토크를 통해 매끄럽게 가속된다. 토크컨버터 방식 자동변속기를 적용해 DCT 변속기를 적용한 경쟁차 대비 저속 승차감에서 잇점을 갖는다. 크루즈의 3세대 변속기는 직결감과 변속시의 부드러움, 그리고 변속 속도에서 큰 진화를 이뤘다.

여전한 크루즈 디젤의 강점은 고속주행에서의 안정감이다. 이는 라세티 프리미어 시절부터 부각되던 요소로 차체를 키우고 무게를 줄였음에도 여전히 높은 만족감을 전한다. 낮은 엔진회전으로 꾸준히 속도를 올려가는 모습은 디젤엔진의 특징이다.

평균 90km/h의 고속주행에서 올 뉴 크루즈는 24km/ℓ를 꾸준히 유지한다. 가감속이 반복된 주행에서도 누적 평균연비는 15.0km/ℓ 수준으로 공인연비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장거리 주행 비중이 높은 운전자에게 연비와 주행감각은 매력적인 부분이다.

코너가 반복되는 굽은 길에서 올 뉴 크루즈 디젤의 움직임은 경쾌하다. 그러나 가솔린 터보 대비 언더스티어 발생 시점은 빠르게 시작된다. 늘어난 75kg 중 상당 부분이 앞쪽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반복되는 코너에서의 움직임은 매끄럽게 이어간다.

올 뉴 크루즈에서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브레이크 시스템이다. 밟은 양에 따라 리니어하게 제동력이 증가되는 설정으로 운전자의 의도에 잘 따라준다. 특히 고속주행에서는 브레이크 어시스트의 동작을 통해 작은 힘에도 강한 제동력을 끌어내 편하게 제동된다.

올 뉴 크루즈 디젤은 가솔린 대비 높아질 가격과 해당 세그먼트에서의 디젤의 선호도를 감안하면 판매 비중은 높지 않을 전망이다. 그러나 크루즈 디젤을 통해 크루즈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올라왔다. 올 뉴 크루즈의 선전을 기대해 본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