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슈퍼카] (3) 부가티 베이론 - 지구에서 가장 비싸고 빠른차

[오늘의 슈퍼카] (3) 부가티 베이론 - 지구에서 가장 비싸고 빠른차

발행일 2013-03-13 16:16:42 김상영 기자

아마 이 차를 실제로 본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전세계에 단 300대만 생산됐고 차량 가격은 175만달러(약 19억원)나 되기 때문이다. 그마저 옵션을 제외한 '깡통차'의 가격이다.

더구나 실제로 이 차를 도로에서 마주했다 해도 정확히 보지 못했을 수도 있겠다. 이 차는 시속 400km가 넘는 최고속도를 내기 때문에 미처 알아채기도 전에 눈앞에서 사라졌을지 모른다.

지구상에서 가장 비싸고 가장 빠른 차인 부가티 베이론을 소개한다.

▲ 부가티 베이론이 달리면 이런 식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너무 빠르기 때문이다.

◆ 부가티의 핵심, 예술과 기술의 조화

부가티는 올해로 104년이 된 오래된 자동차 회사다. 부가티의 창업자인 에토레-부가티(Ettore Bugatti)는 1881년 이탈리아 밀라노의 유서 깊은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족들은 조각가, 화가 등의 순수미술에서부터 가구 디자인, 보석 공예, 건축설계 등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서 재능을 발휘했다. 자연스레 에토레도 예술적 재능을 발휘하지만 그의 관심은 자동차에 쏠렸다.

그러다보니 부가티의 차는 예술과 기술의 조화가 핵심이 됐다. 예술적 가치를 논할 정도로 아름다우면서도 모터스포츠를 휩쓸며 높은 기술력을 자랑했다. 유럽의 각종 그랑프리에서 우승을 휩쓸었고 기술력은 점차 발전해 항공 사업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 부가티 타입35에 올라탄 에토레-부가티. 그는 예술과 기술의 완벽한 조화를 추구했다.

하지만 1947년 에토레가 사망한 후 회사는 점점 내리막을 걷게 된다. 이리저리 인수되면서 정체성을 잃어갔고 사람들은 더 이상 부가티에 열광하지 않았다.

그러던 1998년 폭스바겐은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과 경쟁할 고급차 브랜드가 필요했고 부가티를 부활시킨다. 폭스바겐은 처음 계획과 달리 많은 시도를 감행했고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고성능 슈퍼카 브랜드로 부가티를 우뚝 세운다.

◆ 최상위 슈퍼카 베이론, 심장크기부터 남달라

부가티 베이론은 2005년 모습을 드러냈다. 1930년대 부가티의 전설적인 카레이서인 피에르-베이론(Pierre Veyron)의 이름을 물려받았다.

베이론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엔진이다. 요즘은 슈퍼카 제조사마저 터보 차저,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도입하며 다운사이징을 하고 있는데 부가티는 여전히 W16 터보 엔진을 고집하고 있다.

▲ 자랑스러게 드러난 엔진. 16기통 4개의 터보차저를 알려주는 ‘16.4’ 표시가 눈에 띈다.

8.0리터 W16 엔진은 2개의 4.0리터 V8 트윈터보 엔진을 하나로 합친 것이다. 그래서 16개의 실린더와 4개의 터보차저가 적용됐다. 이 거대한 엔진은 최고출력 1001마력(ps), 최대토크 127.5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웬만한 스포츠카보다 출력이 2배 이상 높다. 이 엔진은 5년여의 연구기간을 거쳐 탄생됐다.

▲ 거대한 엔진과 사륜구동 시스템. 엔진은 폭스바겐 공장에서 수작업으로 제작돼 프랑스 몰샤임 공장에서 차량에 장착된다.

이 엔진은 폭스바겐 잘츠기터 엔진 공장에서 8명의 숙련공이 작업한다. 엔진 하나를 완성하는데 꼬박 일주일이 걸리며 엔진의 대부분은 티타늄과 알루미늄으로 이뤄졌다. 3500개 이상의 부품이 사용되며 수작업으로 조립된다.

▲ 2005년 모습을 드러낸 부가티 베이론. 베이론은 지금도 일반적인 슈퍼카의 개념을 훌쩍 뛰어넘는다.

◆ 부가티의 특명, “시속 400km를 넘어라”

베이론은 누구도 범접할 수 없는 슈퍼 스포츠카가 되기 위해 속도의 한계를 넘어야 했다. 부가티는 단순히 빠른 차가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빠른 차여야 했다. 그래서 아직 누구도 가보지 못한 시속 400km에 도전하게 된다.

▲ 고속에서 하늘로 향하는 뒷날개는 다운포스를 증가시키기도 하지만 고속에서 제동시 수직으로 세워져 브레이크보다 더욱 강한 제동력을 발휘한다. 이것을 개발하기 위해 항공기술자들이 대거 참여하기도 했다.

1001마력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엔진은 준비됐지만 이를 감당할 만한 변속기는 흔치 않다. 베이론엔 7단 듀얼클러치가 적용됐고 영국의 변속기 제조사 리카르도와 함께 제작했다. 0.15초 만에 변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빠른 가속성능을 얻을 수 있다. 또 자동 변속 통제 시스템은 운전자의 주행습관을 주기적으로 분석해 그에 따라 자동으로 변속한다.

▲ 부가티 베이론의 실내. 필요한 것만 갖춰진 단출하다. 하지만 소재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모든지 가능하다.

베이론의 최고속도는 시속 407km,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2.5초에 불과하다. 시속 200km까진 7.3초, 시속 300km까진 16.7초가 걸린다.

또 정지 상태에서 400m까지는 9.9초가 걸린다. 100m를 2.5초에 통과한다는 계산이다. 800m까지는 16.4초, 1600m까지는 25.9초가 걸린다.

▲ 부가티 베이론의 계기반. 우측 하단의 속도계는 mph점을 참고하자. 280mph는 450km/h다. 계기반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마력게이지다. 또 운전자들은 주유게이지를 상시 확인해야한다.

현재 부가티 베이론 중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모델인 베이론 슈퍼 스포츠의 경우 최고출력 1200마력의 성능으로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2.2초다. 최고속도는 시속 431km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차로 기네스북에 등재돼있다.

▲ 베이론은 현재 최고의 기술력이 응집된 차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 한겹 한겹 쌓은 수제 타이어…가격은 무려 1800만원

부가티 엔지니어들은 베이론을 제작하며 여러 시행착오를 거쳤지만 타이어 문제는 심각했다. 타이어는 부가티가 직접 개발에 나설 수 없는 영역이며 타이어 업체 또한 시속 400km를 견딜 수 있는 양산형 타이어를 만들어 본적이 없기 때문이다.

부가티에는 미쉐린에서 개발한 전용 타이어가 장착된다. 일반 승용차의 타이어는 기계를 통해 30초에 한개 꼴로 찍혀 나오지만 베이론의 타이어는 제작에 최소한 1시간 이상 소요된다. 여기도 항공기술이 적용되며 시속 450km 정도까지 견딜 수 있게 제작됐다.

▲ 미쉐린에서 베이론을 위해 특수제작한 타이어. 가격만 해도 웬만한 소형차 값이다.

타이어의 크기는 일반 승용차의 2배 가량된다. 뒷바퀴의 폭은 무려 365mm에 달한다. 베이론의 타이어는 주행거리 9600km마다 갈아줘야하고 그 가격은 1만7000달러(약 1800만원)에 달한다.

시속 400km로 달릴 경우 전혀 다른 상황이 벌어진다. 최고속으로 주행하면 15분만에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하지만 그전에 연료가 먼저 소진되니 터질 걱정은 안 해도 되겠다. 다만 주유 할 때마다 1800만원짜리 타이어를 교체해야 하는게 '함정'이랄까. 

◆ 부가티, 더욱 완벽한 베이론을 준비 중

부가티는 고객들의 요청에 따라 2009년에는 오픈카 ‘그랜드 스포츠’를 내놓았고 2010년에는 가장 빠른 베이론인 ‘슈퍼 스포츠’를 출시했다. 베이론 슈퍼 스포츠의 최고출력은 1200마력(ps)이며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걸리는 시간은 2.2초, 최고속도는 시속 431km다.

▲ 부가티 몰샤임의 공장 내부. 모든 베이론은 소수 인력이 직접 손으로 차체와 부품을 조립한다. 이 방식은 항공기 제작 방식과 유사하다고 한다.

베이론은 수십억을 호가하는 차량인 만큼 하나하나가 모두 특별 에디션이다. 외관의 소재나 색상, 실내 가죽 소재나 장식 등은 고객이 원하는 모든 것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심지어 외관에 도자기의 ‘포셀린’ 성분을 넣어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니 가격은 모델마다 천차만별이다.

▲ 도자기를 만드는 포셀린 성분이 차체 일부분에 적용된 부가티 베이론 로블랑. 중동의 한 부호가 구입했다고 전해진다.

페라리, 람보르기니의 최고급 모델도 베이론 앞에서는 겸손해질 뿐이다. 베이론은 가격, 성능 등 모든 면에서 여느 슈퍼카와 차별화됐다. 전세계에서 연간 판매되는 베이론은 50대 정도지만 그 존재감은 누구도 대적할 수 없을 정도다. 생태계에서도 가장 상위 포식자는 그 수가 적은 법이고 그래서 더 빛이 난다.

하지만 갑자기 베이론을 구입하고 싶어졌더라도 새차를 구입할 수는 없겠다. 이미 생산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부가티는 이르면 올해안에 베이론을 대체할 새로운 슈퍼카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양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받던 무거운 차체를 개선해 더욱 빠르고 민첩한 차를 내놓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 국내 출시 임박, 에스컬레이드 정조준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 국내 출시 임박, 에스컬레이드 정조준

포드 신형 익스페디션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포드코리아는 최근 신형 익스페디션 인증을 완료, 본격적인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풀체인지 모델로 세련된 외관과 디지털화된 실내 등이 특징이다. 3분기 중 출시될 예정이다. 익스페디션은 포드 풀사이즈 SUV로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쉐보레 타호 등이 대표적인 경쟁 모델이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5세대 풀체인지다. 신형 익스페디션은 국내에 최상위 트림인 플래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 공개, 505km 주행..라브4급 전기차

토요타 bZ 공개, 505km 주행..라브4급 전기차

토요타는 bZ를 13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공개했다. bZ는 토요타가 유럽에서 판매하고 있는 전기차 bZ4x의 북미 버전이다. 다만 bZ는 bZ4x와 외관 디자인, 사양 등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며, 1회 완충시 EPA 기준 최대 505km를 주행할 수 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bZ는 토요타가 유럽 등 일부 시장에서 판매하고 있는 bZ4x의 북미 버전이다. bZ는 단순한 리브랜딩이 아니라 스타일과 옵션, 성능 등에서 bZ4x 대비 업그레이드가 이뤄졌다. bZ는 e-TNGA 플랫폼을 기반으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아우디 e-트론 GT 기본형 공개, 타이칸보다 비싸다고?

아우디 e-트론 GT 기본형 공개, 타이칸보다 비싸다고?

아우디는 e-트론 GT 기본형을 13일(현지시간) 공개했다. e-트론 GT 기본형은 듀얼 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 503마력을 발휘하며, 105kWh 배터리로 1회 완충시 WLTP 기준 622km를 주행할 수 있다. 초급속 충전, 스포츠 시트 등이 기본 사양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트론 GT 기본형은 S e-트론 GT, RS e-트론 GT, RS e-트론 GT 퍼포먼스 등 다양한 라인업을 갖춘 e-트론 GT의 엔트리 트림이다. e-트론 GT 기본형 유럽 가격은 10만8900유로(약 1억7200만원)로 S보다 대폭 저렴해졌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롤스로이스 블랙 배지 스펙터 국내 첫 선, 가격은 7억1900만원

롤스로이스 블랙 배지 스펙터 국내 첫 선, 가격은 7억1900만원

롤스로이스는 13일 블랙 배지 스펙터를 국내에서 공개했다. 블랙 배지 스펙터는 롤스로이스의 2도어 전기차 스펙터의 고성능 버전으로 듀얼 모터를 탑재해 총 출력 659마력을 발휘하며, 대담한 외관과 선명한 인테리어 요소가 특징이다. 가격은 7억1900만원부터다. 블랙 배지 스펙터는 브랜드 첫 전기차 스펙터의 고성능 모델이다. 블랙 배지 스펙터 가격은 7억1900만원부터다. 블랙 배지 스펙터는 오는 3분기부터 순차적으로 국내 고객에게 인도될 예정이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로터스 에미라 60대 한정판 공개, 비대칭 레이스카 스타일

로터스 에미라 60대 한정판 공개, 비대칭 레이스카 스타일

로터스는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을 13일 공개했다.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는 전설적인 레이싱 드라이버 짐 클라크를 기리기 위한 스페셜 모델로 짐 클라크가 몰았던 로터스 레이스카의 디자인 요소가 적용됐다.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은 60대 한정으로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에미라 클라크 에디션은 전설적인 레이싱 드라이버 짐 클라크를 기리기 위해 짐 클라크 트러스트와 협업한 특별 모델이다. 짐 클라크는 1959년 로터스 엘리트로 르망 24시 레이스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아이오닉5 2025년형 출시, 가격은 4740~6025만원

현대차 아이오닉5 2025년형 출시, 가격은 4740~6025만원

현대차는 2025년형 아이오닉5와 코나 일렉트릭을 출시한다고 13일 밝혔다. 2025년형 아이오닉5와 코나 일렉트릭은 고객 선호도가 높은 편의 및 안전 사양을 트림에 따라 기본 적용하고 가격 인상을 최소화해 상품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가격은 4152만원부터다. 2025년형 아이오닉5는 N 라인이 익스클루시브까지 확대됐다. 가격은 스탠다드 E-벨류+ 4740만원, 익스클루시브 5030만원, 롱레인지 E-라이트 5064만원, 익스클루시브 5450만원, N 라인 익스클루시브 5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신형 라브4 실내부터 공개, 대형 디스플레이 탑재

토요타 신형 라브4 실내부터 공개, 대형 디스플레이 탑재

토요타가 신형 라브4 티저 이미지를 12일 공개했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로 실내에는 콤팩트해진 전자식 기어레버와 대형 터치 디스플레이, 디지털 계기판, 신형 스티어링 휠 등이 적용됐다. 신형 라브4는 오는 5월 21일 공개되며, 국내 출시도 유력하다. 라브4는 토요타 주력 SUV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높다. 라브4는 국내에서도 꾸준하게 판매되고 있는 만큼 신형 라브4도 국내 투입될 전망이다. 신형 라브4는 6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오는 5월 21일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모델Y 주니퍼 롱레인지 후륜구동 공개, 가성비와 주행거리 극대화

모델Y 주니퍼 롱레인지 후륜구동 공개, 가성비와 주행거리 극대화

테슬라는 모델Y 주니퍼 롱레인지 후륜구동을 미국에 출시했다. 모델Y 주니퍼는 부분변경으로 새로운 외관 디자인과 신규 사양 등이 탑재됐다. 롱레인지 후륜구동은 롱레인지 사륜구동에서 전륜 전기모터를 삭제하고 가격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모델Y 주니퍼 롱레인지 후륜구동 미국 가격은 4만6630달러(약 6500만원)로 롱레인지 사륜구동 대비 4000달러(약 560만원) 저렴하다. 모델Y 주니퍼 롱레인지 후륜구동의 국내 출시는 사실상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신형 코롤라 크로스 공개, 고급화된 소형 SUV

토요타 신형 코롤라 크로스 공개, 고급화된 소형 SUV

토요타는 신형 코롤라 크로스를 공개했다. 신형 코롤라 크로스는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10.5인치 터치 스크린과 개선된 센터 콘솔 등이 새롭게 적용됐다. 신형 코롤라 크로스는 가솔린과 하이브리드로 운영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코롤라 크로스는 토요타 콤팩트 SUV로 미국과 유럽, 태국 등 다양한 국가에 출시된 상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신형 코롤라 크로스는 부분변경 모델이다. 차체 크기는 전장 4455mm,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