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우월한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올 뉴 크라이슬러 200C

[시승기] 우월한 자동변속기를 탑재한 올 뉴 크라이슬러 200C

발행일 2015-05-18 22:13:21 김진우 기자

불과 10년 전만 하더라도 V6 3.0L를 초과하는 대형세단에서나 5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고 그 이하 배기량을 지닌 엔진에서는 거의 대부분 4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다. 이후 국내에서는 GM 대우 토스카를 시작으로 5단 혹은 6단 자동변속기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고 현재는 6단 자동변속기가 주력이 되었고 배기량이 큰 대형세단에는 8단 이상의 단수를 가진 자동변속기가 탑재되고 있다.

국내 그리고 북미에서 판매되는 중형세단 또한 아직까지 대부분 6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어 있는데 크라이슬러는 7단도 아니고 무려 9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 올 뉴 크라이슬러 200을 국내 출시했다. 북미에서 토요타 캠리, 혼다 어코드, 쉐보레 말리부, 포드 퓨전 등과 경쟁하는 올 뉴 크라이슬러 200은 알파로메오 쥴리에타 그리고 아래 급 중형세단 닷지 다트와 플랫폼을 공유한다.

200은 최고출력 187마력 최대토크 24.2kg.m의 힘을 내는 2.4L 가솔린 엔진 그리고 ZF에서 가져온 9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된다. 그리고 국내 수입되지 않지만 V6 3.6L 가솔린 엔진이 탑재되는 고성능 모델이 북미에서 판매되고 있다. 변속기 뿐만 아니라 엔진 또한 경쟁 모델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올 뉴 크라이슬러 200C 독특한 특징이 있는 파워트레인

200C의 주력 엔진인 2.4L 가솔린 엔진은 타이거샤크라는 명칭이 붙어있는데 경쟁 모델과 다르게 SOHC 엔진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DOHC 엔진은 흡기 밸브와 배기 밸브를 담당하는 2개의 캠 축이 설치되어 있는데 SOHC 엔진은 하나의 캠 축이 흡, 배기 밸브를 모두 담당한다.

다만 우리가 알고 있는 SOHC 엔진은 하나의 실린더에 흡 배기 밸브가 1개씩(혹은 흡기밸브 2개, 배기밸브 1개)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200에 탑재되는 타이거샤크 2.4L 가솔린 엔진은 SOHC 형식임에도 흡, 배기밸브가 2개씩 적용되어 있다. SOHC 방식이면서도 흡, 배기밸브가 2개씩 적용한 대표적인 브랜드는 혼다가 있지만 혼다 또한 현재 생산되는 4기통 가솔린 엔진은 모두 DOHC 엔진이다.

특이한 것은 아래 급 2.0L 가솔린 엔진은 DOHC 형식이라는 점이다. 무슨 이유로 2.4L 가솔린 엔진만 SOHC 형식이 적용되었는지 알 수 없지만 낮은 rpm에서 높은 토크가 나오는 SOHC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듯 하다.

저rpm에서 높은 토크가 나오면 시내 주행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가장 낮은 항속 기어비를 낮게 설계해도 항속 기어 상태에서 여유로운 주행을 할 수 있다. 아마도 기어비를 낮게 설계하여 고속도로 정속 주행할 때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DOHC가 아닌 SOHC 형식이 적용된 듯 하다.

▲ 출처-http://newrde.tistory.com/

또한 경쟁모델에 없는 9단 자동변속기는 경쟁모델의 6단 자동변속기와 비교해서 출발 단수인 1단 기어비를 크게 높여 4.71에 달하는 큰 기어비를 설계 더 강력한 구동력과 가속력을 확보할 수 있고 항속주행에 유용한 9단 기어비를 더욱 낮게 설계하여 더 높은 연비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ZF에서 가져온 9단 자동변속기 최종감속비는 3.73인데 또 하나 특이한 점이 있다면 국내에서 판매되지 않는 3.6L 모델의 경우 각 단 기어비는 2.4L 모델과 동일하지만 최종감속 기어비는 4.08에 달해 2.4L 가솔린 모델보다 전체적이 기어비가 더 촘촘하다. 일반적으로 배기량이 높을수록 기어비 간격을 넉넉하게 설계하는걸 감안하면 200은 특이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출처-http://newrde.tistory.com/

위 도표를 보면 알겠지만 1단이 커버하는 속도는 6,000rpm 기준으로 42km/h에 불과할 정도로 구동력이 높다. 반면 9단에서는 아이들링 회전수인 1,000rpm에서 시속 68km/h 이며 6,000rpm 에서는 무려 410km/h까지 속도가 올라간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이론적인 계산일뿐 실제로 410km/h 1,000마력이 훌쩍 넘는 부가티 베이론이 아닌 이상 절대 낼 수 없는 속도이니 독자들이 오해하지 않았으면 한다.

9단으로 주행하고 싶다면 높은 인내심이 필요하다.

경쟁모델보다 우월한 9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기 때문에 시승하기 전부터 올 뉴 크라이슬러 200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다. 그런데 기대치가 너무 높았던 탓일까? 생각만큼 경쟁 모델보다 우월하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올 뉴 크라이슬러 200은 일반적인 기어레버가 아닌 재규어 일부 모델처럼 다이얼로 기어 레인지를 선택하기 때문에 별도의 수동모드가 없다. D 레인지 이외에 강력한 엔진브레이크가 필요한 L 레인지가 마련되어 있지만 수동모드는 아니다. 거기에 패들시프트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운전자의 기어 단수 선택권 자체가 없다. 대부분 경쟁 모델들이 별도의 수동 모드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사뭇 이해하기 힘들다.

또한 9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지만 운전자가 법정최고속도를 절대로 넘지 않고 주행한다면 9단으로 주행할 일이 거의 없을 것이다.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110km/h로 주행한다면 8단으로 주행하게 되며 어지간한 상황에서 9단으로 변속되지 않는다.

다만 연비운전 습관을 가지고 있고 인내심이 강하다면 9단으로 주행 가능하다. 9단 주행을 체험하고 싶다면 완전한 평지 혹은 살짝 내리막 구간에서 엑셀레이터 페달을 아주 살짝 밟아 시속 115km/h 이상 속도를 올리면 된다. 단 이 과정에서 오르막 구간에 진입하거나 엑셀레이터 페달을 조금이라도 더 깊게 밟으면 절대로 9단으로 변속되지 않는다. 울며 보채는 아기를 어르고 달래듯이 조금씩 인내심을 가지고 시속 115km/h 이상 속도를 올리면 그제서야 200은 인내심이 강한 운전자의 마음을 알아주고 9단 주행을 허락한다.

힘들게 9단으로 변속이 성공했어도 엑셀레이터 페달을 조금이라도 깊게 밟으면 여지없이 8단 혹은 7단으로 다운시프트 된다. 그리고 시속 140km/h를 넘지 말아야 하며 시속 100km/h 이하로 속도가 내려가지 않아야 한다. 이런 조건이 모두 맞아야 9단 주행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다. 교통량이 적은 지방 고속도로면 몰라도 통행량이 많은 수도권 고속도로 구간에서 이런 조건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을까?

이런 과정을 시승 하면서 겪은 기자는 과연 9단 자동변속기가 필요한가? 라는 의문이 제기되었다. 미국 고속도로 최고속도는 주마다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60-75마일이 최고속도인데 우리나라, 미국 둘 다 법정최고속도를 준수하면 9단으로 주행할 일이 없다. 돼지 목에 진주목걸이라는 속담이 생각난다.

차라리 절대적인 고속도로 연비는 조금 손해 보더라도 고속도로에서 더 쉽게 9단으로 변속해서 주행할 수 있도록 기어비 조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경쟁 모델보다 뛰어난 정숙성 하지만 노킹현상은 옥의 티

분명한 것은 높은 인내심을 가지고 고속도로에서 120km/h 내외를 유지하면서 9단으로 주행하면 순간연비가 100km당 5L 이하로 표기되는 놀라운 고속도로 연비, 정숙성을 경험할 수 있다. 크라이슬러 200의 정숙성은 동급 모델과 비교해서도 높은 수준이며 특히 풍절음, 노면소음 유입 차단은 위 급 대형세단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올 뉴 크라이슬러 200의 공기저항계수는 0.266cd로 매우 낮다. 공기저항계수가 낮으면 고속주행에서 연료소모가 적어질 뿐만 아니라 풍절음 유입도 낮아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때문에 고속주행 상황에서의 정숙성은 경쟁 모델인 캠리, 알티마, 어코드 등과 비교해도 우위에 있다. 풍절음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로 포장된 고속도로에서 유입되는 노면소음 또한 크게 억제했다. 시승하면서 느낀 가장 큰 장점이 정숙성이다.

하지만 단지 그 뿐이다. 연비를 향상시키려는 목적이었을까? 시내 주행에서는 부드럽게 변속되지 못하고 울렁거리는 느낌이다. 그리고 시승차에만 해당되는 문제인지 모르겠지만 언덕길 구간은 물론 서행 중 엑셀레이터 페달을 밟을 때마다 노킹이 발생한다.

노킹은 정상적으로 폭발하기 직전 연소실 내부의 카본 등의 문제로 미리 폭발하는 걸 노킹이라고 하는데 당장 문제는 없지만 지속적으로 계속 노킹이 발생하면 엔진 부품이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도 있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연비를 최대한 희박하게 설정한 탓일까? 고급휘발유를 주유하면 노킹 현상은 사라지겠지만 일반휘발유 권장하는 모델인 만큼 개선이 이루어졌으면 한다.

경쟁모델에 없는 능동적인 안정장비, ACC가 탑재된 올 뉴 크라이슬러 200

올 뉴 크라이슬러 200은 경쟁 모델과 다르게 전방에서 위험을 감지하면 스스로 멈추는 전방 FCW+(추돌 경고 플러스), BSM(사각지대 모니터링), 차선유지 어시스트 기능이 포함된 LDW+(차선 이탈 경고 플러스), 평행 및 직각 주차 시스템 등 능동적인 안전사양 그리고 차간거리 조절은 물론 정지와 출발 기능까지 갖춘 ACC(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까지 내장되어 있다.

사실 ACC의 경우 일부 경쟁 모델에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지만 FCW+ LDW+ 등과 같은 능동적인 안전장비는 아직 국내에서 판매되는 경쟁 모델에서는 옵션으로 선택조차 할 수 없다. 실제로 주행 중 앞차를 추돌하는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급제동이 되고 후진할 때도 장애물이 있는데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해도 스스로 멈춘다.

또한 차선을 밟으면 경고음과 함께 진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스티어링휠을 약간 꺾어 차선이탈을 방지한다. 이런 시스템은 경쟁 모델에 없으며 크라이슬러 200C 만의 장점이라고 생각된다.

3,180만원부터 구매 가능한 올 뉴 크라이슬러 200

국내 출시되는 올 뉴 크라이슬러는 200리미티드, 200C 2가지 트림으로 출시되며 200리미티드는 3,180만원, 300C는 3,780만원에 판매된다. 200리미티드와 200C 가격차이가 큰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능동적인 안전장비 그리고 ACC가 빠졌기 때문이다.

올 뉴 크라이슬러 200을 구매하고 싶다면 능동적인 안전장비가 있는 200C를 구매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200C는 고속도로 주행에서 운전자가 페달 조작을 하지 않고 ACC 설정만으로 주행 가능하며 운전에 집중하지 않아 차선이탈 등의 위급한 상황을 방지하는 능동적인 안전장비가 탑재되었기 때문이다.

다만 서행, 오르막 구간 주행에서 발생하는 노킹현상은 분명히 개선해야 하며 9단 자동변속기 또한 각 단 기어비를 전체적으로 조금 더 크게 설정했으면 한다. 무엇보다도 별도의 수동모드가 없기 때문에 이 모델은 오직 편리한 운전을 추구하는 중, 장년층에 적합하다.

시승기를 쓰다 보니 인테리어, 익스테리어에 대한 부분을 언급하지 않았는데 인테리어의 경우 시각적인 부분은 물론 재질적인 측면에서도 고급스럽다고 본다. 그렇지만 실내공간이 넓지는 않다. 이 급의 패밀리세단을 구매하는 분들 중에서 넓은 실내공간을 원하는 분들이 적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기자가 시승기로 작성하는 것 보다는 직접 매장을 방문해서 시승차를 보고 타는 것이 시승기 등의 기사로 보는 것보다 더 좋다고 본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맥라렌 아투라 스파이더 국내 첫 선, 한국 전용 한정판도 공개

맥라렌 아투라 스파이더 국내 첫 선, 한국 전용 한정판도 공개

맥라렌은 4일 아투라 스파이더와 한국 시장 전용 MSO 컬렉션 이그니션 스피어 국내 공개와 함께 공식 리테일 파트너 브리타니아오토와 맥라렌 서울의 새로운 시작을 공식 발표했다. 맥라렌 서울은 한층 업그레이드된 오너십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7월 4일 진행된 리론칭 이벤트는 맥라렌이 한국 시장에서의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음을 알리는 특별한 순간으로 완성됐다. 또한 ‘아투라 스파이더(Artura Spider)’의 한국 공식 첫 공개와 함께 한국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폴스타, 폴스타 7의 유럽 생산지로 슬로바키아 코시체 공장 확정

폴스타, 폴스타 7의 유럽 생산지로 슬로바키아 코시체 공장 확정

폴스타가 생산 기반을 유럽으로 확장하며 글로벌 생산 다변화 전략의 다음 단계를 밟고 있다. 폴스타는 프리미엄 콤팩트 SUV 폴스타 7(Polestar 7)의 2028년 출시를 앞두고, 슬로바키아 코시체에서 해당 모델을 생산하기 위해 볼보자동차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폴스타 7은 폴스타가 최근 발표한 전략에 따라, 지리홀딩스 그룹 내 아키텍쳐와 볼보자동차의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그룹 차원의 부품 공유는 물론 차세대 배터리 밀도 및 성능을 갖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코리아, ‘동탄 시승 센터’ 신규 오픈으로 고객 체험 강화

토요타코리아, ‘동탄 시승 센터’ 신규 오픈으로 고객 체험 강화

토요타코리아는 오는 7월 5일 경기도 오산시에 ‘토요타 동탄 시승 센터’를 새롭게 오픈한다. ‘토요타 동탄 시승 센터’는 다양한 토요타 차종의 자유로운 시승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토요타만의 주행 감성과 성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이번 시승 센터는 2024년 3월 문을 연 토요타 동탄 서비스센터에 시승 프로그램을 더한 복합 거점으로, 경부고속도로 오산IC 인근에 위치해 오산·화성·평택 등 경기 남부 지역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그룹,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자동차 그룹으로 선정

폭스바겐그룹,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자동차 그룹으로 선정

폭스바겐그룹이 자동차관리센터(Center of Automotive Management, CAM)가 수여하는 2025 자동차 혁신 어워드(2025 AutomotiveINNOVATIONS Award)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자동차 그룹으로 선정됐다. 이와 함께 폭스바겐 승용차 브랜드는 가장 혁신적인 대중 브랜드로, 아우디는 가장 혁신적인 프리미엄 브랜드로 선정됐다. CAM은 2011년부터 매년 글로벌 완성차 및 부품 제조사의 기술력과 혁신 역량을 평가하고 있다. 올해는 전 세계 30개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 공개, 올블랙으로 고급감 '업'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 공개, 올블랙으로 고급감 '업'

랜드로버는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을 3일 공개했다.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은 올블랙 테마를 바탕으로 외관의 모든 디테일이 글로스 블랙 컬러로 마감되는 등 스포티함과 고급감이 업그레이드 됐다. 오는 10일 실차가 공개되며, 하반기 판매가 시작된다. 랜드로버는 오는 7월 10일부터 영국에서 개최되는 2025 굿우드 페스티벌 오브 스피드에서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 실차를 공개할 계획이다. 레인지로버 스포츠 SV 블랙의 영국과 미국 등 글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MW 신형 1시리즈·2시리즈 그란쿠페 출시, 가격은 4840만원

BMW 신형 1시리즈·2시리즈 그란쿠페 출시, 가격은 4840만원

BMW코리아는 신형 1시리즈·2시리즈 그란쿠페를 출시한다고 4일 밝혔다. 신형 1시리즈·2시리즈 그란쿠페는 풀체인지로 새로운 파워트레인과 최신 ADAS 시스템, 티맵 기반 한국형 BMW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사양을 탑재했다. 가격은 4840만원부터다. 신형 1시리즈·2시리즈 그란쿠페 가격은 트림에 따라 뉴 120 4840~5280만원, 뉴 M135 xDrive 6180만원, 뉴 220 4990~5350만원, 뉴 228 xDrive 5700만원, 뉴 M235 xDrive 6240만원이다. 정규 사양에 옵션이 추가된 퍼스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EV6 2026년형 조용히 출시, 가격 4660~6000만원

기아 EV6 2026년형 조용히 출시, 가격 4660~6000만원

기아가 3일 2026년형 EV6를 출시했다. 2026년형 EV6는 트림에 따라 스티어링 휠 진동 경고와 전/측방 주차 충돌방지 보조,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2 등이 기본 사양으로 추가됐으며, 선택 옵션 구성 일부가 변경됐다. 가격은 4660~6000만원으로 책정됐다. 2026년형 EV6 세부 가격은 개별소비세 3.5% 및 세제혜택 후 기준 스탠다드 라이트 4660만원, 에어 5140만원, 어스 5540만원, 롱레인지 라이트 5060만원, 에어 5540만원, 어스 5940만원, GT 라인 6000만원이다. 스탠다드는 동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푸조 신형 3008 하이브리드 실차, 예술적 디자인과 기술력

푸조 신형 3008 하이브리드 실차, 예술적 디자인과 기술력

푸조 브랜드는 3일 올 뉴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를 공개했다. 국내 판매는 7월 11일부터 시작되며, 가격은 알뤼르 4490만원(개소세 3.5%, 4425만1000원), GT 4990만원(4916만3000원)으로 8년전 가격과 동일하다. 안심 가격 보장 제도를 통해 모든 전시장에서 동일한 가격에 판매된다.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인 신형 3008은 도심형 C-SUV로 스텔란티스의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 STLA 미디엄이 최초로 적용됐다. 해당 플랫폼은 디자인, 공간, 파워트레인, 기술 전반에 푸조의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푸조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출시, 가격은 4490만원부터

푸조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출시, 가격은 4490만원부터

푸조 브랜드는 3일 올 뉴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를 공개했다. 국내 판매는 7월 11일부터 시작되며, 가격은 알뤼르 4490만원(개소세 3.5%, 4425만1000원), GT 4990만원(4916만3000원)으로 8년전 가격과 동일하다. 안심 가격 보장 제도를 통해 모든 전시장에서 동일한 가격에 판매된다. 신형 푸조 3008의 외관은 패스트백 실루엣과 루프라인이 특징이다. 푸조의 새로운 엠블럼을 중심으로, 바디 컬러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그라데이션 그릴, 그리고 사자 발톱 형상의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