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자연의 바람을 느껴라! 아우디 A5 카브리올레

[시승기]자연의 바람을 느껴라! 아우디 A5 카브리올레

발행일 2014-02-06 23:20:32 김진우 기자

루프를 활짝 열고 주행하는 오픈카를 타면 어떤 느낌이 들까? 기자는 어릴 때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서 루프를 여는 오픈카가 일반 스포츠카보다 성능이 월등히 좋다고 믿었다. 그 이유는 바로 주행 중 루프를 여는 이유가 엄청난 성능으로 빨리 달려서 바람의 영향으로 자동차 루프가 오픈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물론 커 가면서 이러한 믿음은 거짓으로 판명 되었다.

우리나라는 오픈카 불모지라고 볼 수 있다. 기후적으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해서 여름에는 너무 덥고 겨울에는 너무 춥다, 무엇 보다도 국내 자동차 브랜드가 오픈카를 거의 판매하지 않는다. 기아 엘란, 지엠대우 G2X, 이 정도만 기억하며 그나마 이들 차종도 국내 자동차 메이커가 독자 개발한 모델이 아닌 외국 메이커가 생산한 모델을 라이센스 생산 하거나 아예 수입 후 앰블럼만 바꿔 판매한 형태이다. SUV의 경우 신진 지프나 쌍용 코란도 등이 소프트탑 형태로 오픈을 할 수 있었지만 승용차는 아니다.

반면에 수입차는 일찍부터 루프를 오픈 하고 주행할 수 있는 오픈카를 구매할 수 있는 모델이 적지 않다. 소비자들은 선호하는 수입차 브랜드, 성능, 디자인 등을 참고하여 오픈카를 구매할 수 있다.

최근 아우디 A5 카브리올레를 시승하게 되었다. 그런데 시승했던 시기가 1월 중순 우리나라에서 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한겨울이다. 창문을 모두 닫고 달려도 히터를 작동하지 않으면 실내에서 추위를 느끼는데 루프를 오픈 하고 달리면 차가운 외부공기가 바로 유입된다. 기온이 항상 영상을 유지하는 제주도가 이럴 때 그립다.

루프를 열고 운전할 수 있는 오픈카는 봄과 가을철이 알맞다. 여름에는 너무 덥고 자외선이 강해서 루프를 열고 주행하기가 부적절하고 겨울철에는 반대로 너무 추워서 문제가 된다.

가장 추운 1월에 A5 카브리올레를 시승했는데 시승할 때 꼭 루프를 열고 주행해야 할 필요는 없다. 루프를 한번도 열지 않고 시승 후 반납해도 된다. 하지만 명색이 A5 카브리올레는 루프를 여는 오픈카! 그래서 버튼을 눌러 루프를 열었다. 그리고 평소에 타던 차에는 느끼지 못한 북극과 같은 찬바람이 살갗을 파고든다.

칼날 같은 차가움과 쾌적함을 동시에

A5 카브리올레는 소프트탑 이지만 운전자가 불편하게 수동으로 여는 방식이 아닌 정지 상태는 물론 시속 50km/h까지 주행할 때도 버튼으로 루프를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루프를 여는 순간 차가운 겨울바람이 유입되면서 동시에 실내 온도가 자동으로 가장 높은 온도로 설정되고 에어벤트에서 나오는 송풍량도 가장 강해진다.

대시보드 에어벤트에서 강한 히터바람이 나옴과 동시에 운전석과 조수석 헤드레스트 아래쪽에 에어벤트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을 에어 스카프라고 하는데 따뜻한 실내에 있다가 갑자기 추위에 노출되면 차가운 바람에 노출된 목 부위 혈관이 수축되어 일시적으로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겨울철 외출할 때 목도리나 스카프 등을 매는 이유가 있으며 A5 카브리올레 탑승할 때는 에어 스카프가 목을 보온하는 역할을 대신한다.

1월 한겨울의 추위는 매섭다. 대게 이런 날씨에 루프를 열고 주행하면 미쳤다 라는 반응이 적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아우디 A5 카브리올레를 탑승하면 차가운 겨울바람 그리고 따뜻한 바람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묘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오픈카의 가장 큰 장점이 바로 한적한 교외에서 상쾌한 바깥 공기를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직접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새 차를 구매할 때 생기는 새차증후군도 루프를 오픈할 수 있는 오픈카는 그 증후군에서 해방할 수 있다.

루프를 열고 닫을 때 걸리는 시간은 약 15초인데 이 정도면 절대로 느리진 않다. 그리고 소프트탑의 장점은 바로 버튼을 눌러 열고 닫을 때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하드탑이 아닌 소프트탑 모델이라 천 재질 이어서 오너가 주기적으로 소프트탑을 꼼꼼히 관리를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세차할 때 소프트탑 부위는 카샴푸를 쓰지 말고 소프트탑 전용 세정제 등을 별도로 써야 소프트탑 수명을 늘릴 수 있다.

A5 카브리올레 루프를 열고 닫을 때 아쉬운 점이 있다면 버튼 원터치 기능이 없어 루프를 완전히 열고 닫을 때까지 버튼을 계속 눌러야 한다. 실제로 루프를 여는 버튼을 누르는 도중 녹색 신호로 바뀌면서 주행하다가 루프를 완전히 열지 못해 뒤쪽에서 소리가 나면서 도로 바깥쪽에 잠시 세우고 루프를 완전히 연 경험도 있다.

계단을 빠르게 뛰는 느낌을 주는 촘촘한 8단 자동변속기

과거 대형세단을 중심으로 선보인 8단 자동변속기는 이제 중 소형 차종까지 확대 적용되고 있다. 기어 단수가 많아지면서 각 단 기어비 간격은 더 좁아 지면서도 고속도로 항속할 때 엔진 회전수를 최대한 낮출 수 있어 항속주행 연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8단 자동변속기 덕택에 시속 100km/h에서 8단으로 주행할 때 엔진 회전수는 1700rpm으로 매우 낮은 회전수를 유지한다.

A5 카브리올레 8단 자동변속기는 1단 50km/h, 2단 85km/h, 3단 130km/h, 4단 165km/h, 5단 205km/h까지 주행할 수 있다. 엔진은 2.0L 가솔린 터보 엔진이며 실린더에 직접 연료를 분사하는 직분사 시스템이 적용되어 연소효율성을 높였다. 그 결과 최고출력 211마력, 최대토크 35.7kg.m의 파워를 낸다.

6500rpm까지 높은 회전영역을 쓸 수 있는 가솔린 엔진이지만 1500rpm부터 4200rpm까지 35.7kg.m나 되는 높은 최대토크가 터진다. 이는 V6 3.5L 자연흡기 가솔린 엔진과 비슷한 수준이다. 최고출력이 나오는 시점도 낮아서 4300rpm부터 211마력 이라는 최고출력을 내뿜는다.

의아한 점이 있다면 1500rpm부터 최대토크가 나오는 데도 불구하고 주행 중 엑셀레이터 페달을 조금이라도 깊게 밟으면 기어가 낮은 단수로 변속되며 가속이 된다. 개인적으로 기어 단수가 최대한 고정되면서 꾸준히 가속되는 셋팅을 더 선호하는 아마도 A5가 스포츠카 모델인 점을 감안해 스포츠 주행성향을 고려한 듯 하다.

211마력 가솔린 터보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결합된 A5 카브리올레는 가속력 그리고 최고속도를 측정한 결과 계기판 기준으로 213km/h에서 속도가 제한되며 약간 오르막 구간에서 0 - 200km/h 가속력 측정한 결과 약 33초 걸린다. V6 3.0L - 3.5L 엔진이 탑재된 대형세단과 비슷한 수준인데 A5 카브리올레 공차중량이 1845kg 인 점을 감안하면 가속력은 뛰어난 수준이다.

루프가 오픈되는 카브리올레 특성상 루프를 오픈할 때 별도의 소프트탑 수납 공간 및 전복사고 발생 시 승객을 보호하는 롤 오버바 등이 추가로 설치되고 전복될 때 탑승 공간이 최대한 찌그러지는걸 방지하는 필러의 강성을 높여 설계한다. 이로 인해 무게증가로 이어지게 되며 A5 카브리올레의 공차중량은 1845kg이며 A5 쿠페 공차중량이 1690kg 대비 155kg이 무겁다. 

극한의 스포츠주행 보다는 루프를 열고 여유로운 주행을 권장

아우디의 스포츠카 모델 A5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서킷이나 와인딩 주행에 적합하도록 스티어링휠을 돌릴 때 무거운 편이며 서스펜션 감쇄력이 단단하다. 그래서 승차감이 딱딱하며 과속 방지턱, 요철 등의 노면 정보를 거의 그대로 느낄 수 있다.

A5 카브리올레는 속도를 내며 와인딩 로드를 즐겨도 어느 정도 재밌게 탈 수 있다. 중미산 고속 코너에서 스티어링휠을 잡아 돌려도 좌우 롤링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아쉬운 점은 겨울철이라서 코너 곳곳에 빙판이 형성되어 있었고 타이어 또한 A5 카브리올레 순정 타이어가 아닌 겨울용 윈터타이어가 장착되어 있어서 정확한 운동성능을 가늠할 수 없었다. 그리고 A5 쿠페보다 155kg 더 무거운 공차중량 때문에 슬라럼 한계가 낮다. 더 높은 성능을 원한다면 A5 쿠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A5 카브리올레는 혼자서 혹은 연인들이 빠른 속도를 즐기면서도 때로는 루프를 열고 여유로운 주행을 만끽하며 자연 바람을 느끼며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뒷좌석 레그룸은 보기보다 매우 좁고 불편하며 연비가 낮기 때문에 데일리 용도 혹은 패밀리카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고급휘발유 그것도 권장이 아닌 반드시 주유해야 된다고 하는데 요즘 웬만한 도시에서는 고급휘발유를 따로 판매하니 크게 문제되지는 않지만 인구가 적고 한적한 지역은 고급휘발유 주유소를 찾기 쉽지 않다.

하지만 휴가를 갈 때 혹은 주말 드라이브 나간다면 A5 카브리올레 만한 차는 없을 것이다. 애인이 있는 운전자라면 A5 카브리올레는 더할 나위 없는 최선의 선택이지만 애인이 없는 운전자라도 나쁜 선택은 아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