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는 1990년 10월 현대 최초의 준중형 모델 엘란트라를 시판한 이후 이달 27일까지 내수와 수출 합쳐서 10,005,032대를 판매하여 24년만에 글로벌 누적 판매 1,000만대를 돌파했다고 밝혔으며 1990년 처음 출시 후 24년 만에 연평균 42만대, 매일 1,100대 이상이 꾸준히 판매된 셈이다.
아반떼는 국내시장에서는 약 260여만 대, 해외 177개국 시장에서는 약 740여만 대가 판매되어 10대 중 7대가 해외시장에 팔렸으며, 한국 단일 브랜드 차종으로는 최초로 ‘글로벌 국민차’의 지표인 1,000만대 판매를 돌파했다.
모델별로는 1세대 948,263대, 2세대 1,237,599대, 3세대 2,827,888대, 4세대 2,520,487대, 5세대 2,470,795대까지 총 10,005,032대가 팔린 대한민국 대표 준중형 모델이다.
아반떼는 국내에서 약 640만여 대가 생산되었으며, 미국, 중국, 인도 등 해외공장에서 약 360여만 대가 생산되어 판매되었다.
현대차 아반떼는 1990년 '엘란트라'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국내 자동차 시장 최초의 준중형급 차량으로 1세대부터 5세대 아반떼(MD)에 이르기까지 약 24년간 국내외에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지난 2012년에는 북미 올해의 차, 캐나다 올해의 차, 남아공 올해의 차 등에 잇달아 선정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1,000만대 이상 판매된 차량은 도요타 코롤라, 폭스바겐 골프ㆍ비틀, 혼다 시빅, 포드 포커스 등 10여 개 모델에 불과하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1990년부터 1995년까지 판매된 현대 엘란트라의 경우 현대자동차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된 차종이 아니고 파워트레인과 플랫폼은 일본 미쓰비시 미라지와 랜서의 것을 활용해서 개발한 차종을 아반떼 시리즈에 포함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1세대 아반떼 즉 엘란트라는 코드명 J1으로 개발되었고 후속 모델 2세대 아반떼는 코드명 J2이기 떄문에 코드명을 놓고 본다면 엘란트라 또한 아반떼라고 볼 수 있지만 2세대 아반떼는 섀시와 플랫폼 파워트레인 모두 현대자동차 독자개발한 모델이고 J1은 미쓰비시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한 모델이기 때문이다.
한편 현대차는 아반떼의 글로벌 천만대 판매를 기념하고 고객의 사랑에 보답하고자 국내 아반떼 고객을 대상으로 다음달 8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아반떼 페스티벌(Avante Festival)’을 개최한다.
참가를 원하는 1~5세대 아반떼(엘란트라 포함) 보유 고객은 10월 30일까지 현대차 홈페이지(http://www.hyundai.com)로 응모할 수 있으며, 현대차는 추첨을 통해 총 2,000가족을 초청할 계획이다.
'아반떼 페스티벌'은 ▲샘 오취리, 장위안, 기욤 패트리, 줄리안 퀸타르트 등 인기 방송인 6명이 함께 아반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 '아반떼 글로벌 토크쇼' ▲악동뮤지션, 옥상달빛, 10cm 등 인기 뮤지션과 함께 하는 '아반떼 영 콘서트' ▲고객과 함께 하는 신발 기부 캠페인 '아반떼, 대한민국 국민의 발' ▲1~5세대까지의 아반떼의 역사를 한눈에 보는 '아반떼 히스토리 전시'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될 예정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이번 아반떼의 1천만대 판매 달성은 세계적으로 현대차의 우수한 상품성과 브랜드 파워를 입증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우수한 상품성과 디자인을 갖춘 자동차 개발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대한민국 자동차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