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다 어코드가 어느덧 9세대로 접어들었다. 막연히 '9세대'라면 잘 와닿지 않을테니 부연하자면, 어코드 1세대는 1976년에 만들어졌고 무려 37년이란 장구한 역사를 지닌 차다.
미국 시장에서 최초로 생산·판매됐던 일본차일 뿐 아니라, 차가 출시된지 얼마 되지 않아 베스트셀링카의 자리를 부여잡은 차기도 하다. 80~90년대 어코드의 인기는 하늘을 찔렀다. 1~2년도 아니고, 무려 15년 연속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차가 됐을 정도다. 한국 시장에서도 어코드의 인기는 드높았다. 지난 2008년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베스트셀링카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변화무쌍한 한국 시장에선 주변 상황이 크게 바뀌었다. 갑자기 독일차가 큰 인기를 끌면서 일본차들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이다.

주변 분위기는 어느정도 제외하고 보면 이번 9세대 모델도 세계 최고 수준의 높은 완성도와 상품성을 지닌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히 편안하고 무난한 중형차가 아니라, 안정적이고 우수한 주행성능을 발휘하는게 강점이다. 미국 시장에서의 수십년 쌓아온 인기로 미뤄 볼 때 높은 내구성도 짐작할 수 있겠다.
◆ 우아하고 단정한 모습, 제네시스와 닮기도
외관 디자인은 이전 세대 모델의 잔상이 조금 남아있지만 세세하게 살펴보면 큰 폭으로 변했다. 이전 세대 모델은 지나치게 선이 많고 불필요하게 강조된 부분이 있었다. 이를테면 앞범퍼는 스포티함이 과도해 이질감이 느껴지고 테일램프는 필요 이상으로 도드라졌다.

이에 비해 신형 어코드는 굉장히 단정해졌고 중후한 느낌마저 든다. 단순함을 강조해 쉽게 질리지 않는 디자인을 택했다. 한층 부드러워졌지만 곳곳에 매력 포인트도 심어뒀다.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 사이에 크롬 장식을 채워 넣어 자칫 단순해보일수 있는 앞모습을 다채롭게 꾸몄다. LED 주간주행등도 더해져 심심하지 않게 디자인됐다. 옆모습은 평범해 보이지만 쭉 뻗은 두 개의 선으로 입체감을 살렸다.

어코드의 뒷모습은 국내 출시 전부터 소비자들에게 논란의 대상이 됐다. 현대차 제네시스와 비슷하다는 지적을 받아서다. 실제로도 꽤 비슷하다. 테일램프 모양이나 색상 배열이 구형 제네시스와 혼동을 줄 정도로 닮았다. 하지만 제네시스는 이 차보다 한단계 비싼 차이므로 비슷한게 오히려 장점이라는 일부 주장도 있었다.
◆ 더욱 세련된 실내, 2개의 모니터로 편의성 높여
실내 디자인은 편의성이 강조된 한편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세련돼졌다. 이전 세대 모델이 지나치게 미국 취향에 맞게 설계됐다면 신형 어코드는 미국에서 생산되지만 세계적인 추세를 잘 따르고 있다.

실내에 들어서면 아이나비가 적용된 8인치 터치스크린 내비게이션과 터치스크린 오디오시스템 등 두 개의 모니터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각각의 모니터가 서로의 역할을 확실하게 책임지고 있으니 편의성은 매우 높다. 또 내비게이션, 오디오시스템, 공조장치 등이 명확하게 분리돼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다.

생각보다 실내 마감이 꼼꼼하고 스티어링휠이나 시트의 가죽 소재도 질감이 좋다. 또 눈으로 보기에도 실내 디자인이 빈틈없이 잘 짜여있어 허술해 보이지 않는다.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전장과 휠베이스가 각각 70mm, 25mm 줄었지만 실내 공간은 오히려 넓어졌다. 혼다코리아 관계자는 “시트 각도, 배치 등을 새롭게 해 더 넓은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체감상으로는 이전 모델과 큰 차이를 느낄 수 없을 정도다.
◆ 기본기 튼튼, “부드럽고 여유롭다”
시승한 차는 3.5리터 V6 SOHC i-VTEC 엔진이 장착된 어코드 3.5 EX-L이다. 최고출력은 282마력, 최대토크는 34.8kg·m다. 새로운 6단 변속기가 장착됐다. 2.4리터 모델은 CVT변속기가 장착된다.

높은 배기량의 엔진이 장착된 모델답게 답답함은 느껴지지 않는다. 엔진 배기량에 비해 차체가 가볍기 때문에 경쾌함이 느껴지고 속도도 쉽게 올라간다. 그렇지만 스포티한 성격은 아니다. 어디까지나 부드러움이 강조됐다. 변속기도 스포티함보다는 부드럽고 느긋하다. 수동 변속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점도 이 차의 성격을 말해준다. 하지만 똑똑하게 엔진회전수를 조절하면서 스스로 엔진브레이크를 걸기도 한다.
제동성능은 부족함이 없지만 국산차와는 반응성이 다르다. 초기 응답성이 뛰어나진 않지만 페달을 반쯤 밟고 나서부터 끈질기게 몰아세운다. 서스펜션은 부드럽다. 무르진 않다. 적당히 차체를 받쳐주고 충격도 상쇄시킨다. 상당히 세련됐다. 덕분에 코너링에서도 불필요한 거동이 없다. 국산 중형차보다 가장 나은 점 중 하나다.

오른쪽 아웃사이드미러에 장착된 후방 카메라를 통해 사각지대를 최소화시키는 레인와치는 독특한 시스템이다. 우측 깜빡이를 작동시키면 이와 동시에 내비게이션 모니터에 우측 후방 카메라 영상이 뜬다. 사각지대를 줄여줄 수 있는 반짝이는 아이디어지만 없어도 그만인 기능이다.

◆ 가격 책정 아쉬워…“동급에서 가장 비싸”
최근 국내 시장에서 일본차 업체는 신형 모델을 출시해도 가격을 동결하거나 오히려 낮춰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가격대비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이 최근 일본차들이 다시 인기를 되찾아가는 이유다. 그런데 어코드는 가격대비 성능이 그리 우수해보이지 않는다.
우선, 시승한 어코드 3.5 EX-L은 라인업중 최고사양으로, 판매가격은 4190만원에 달한다. 닛산 알티마의 3.5리터 모델보다는 약 400만원가량 비싸고 캠리 하이브리드 모델과도 비슷한 가격이다. 한두단계 윗급차인 현대 제네시스 3.3(4312만원~)와도 가격차이가 120만원에 불과하다.
주력 트림인 2.4 EX-L 모델도 3490만원으로, 도요타 캠리 2.5나 닛산 알티마 2.4(3350만원) 등 경쟁차종들에 비해 140만원 이상 비싸다.
차의 성능과 상품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약간 과도한 가격정책이 더 아쉽게 느껴진다. 물론 노장은 죽지 않겠지만, 다만 사라질까 우려된다.
단점 - 동급 최고 가격 - 가격에 비해 평범한 실내 - 지나치게 가벼운 핸들 장점 - 편안한 공간 - 부드러우면서도 탁월한 서스펜션 - 이전에 비해 정숙한 실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