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트랙스 크로스오버, 매력적인 주행성능과 공간

[시승기] 트랙스 크로스오버, 매력적인 주행성능과 공간

발행일 2023-03-26 04:59:16 이한승 기자

쉐보레 트랙스 크로스오버 ACTIV를 시승했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새로운 엔트리 모델로, 준중형 세단은 물론 소형 SUV까지 대체하는 경쟁력을 지녔다. 특히 고속주행시 안정감을 비롯해 넓은 실내공간, 퍼포먼스와 효율성까지, 엔트리급에서 눈에 띄는 가치를 제공한다.

GM은 2022년 10월 한국 출범 20주년을 맞아 한국내 성장 비즈니스 전환을 위한 전략과 목표를 제시했다. 차세대 글로벌 신제품(트랙스 크로스오버) 생산을 위한 최신식 설비투자를 창원공장에 단행하고, 쉐보레-캐딜락-GMC의 멀티 브랜드 전략으로 판매 확대를 도모한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디자인이나 상품성 뿐만 아니라, 합리적인 가격 책정을 통해 출시 초반 좋은 분위기를 만들어가고 있다. 엔트리 트림의 가격을 2052만원, 최상위 트림의 가격은 액티브(2681만원), RS(2739만원)으로 책정했다. 풀패키지 가격이 2857~2872만원이다.

신형 트랙스의 미국내 가격은 지난달 공개됐는데, LS 2만400달러(2652만원)부터 액티브 2만3900달러(3107만원)다. 원달러 환율 1300원 기준으로 환산한 가격으로, 국내 가격은 원달러 환율 1100원 수준과 유사하다. GM의 최근 가격 책정은 타 브랜드보다 합리적이다.

시승한 모델은 트랙스 크로스오버 ACTIV(2681만원)에 테크놀로지 패키지(64만원)와 선루프(69만원)가 추가된 2814만원 사양이다. 트랙스 크로스오버 구입을 고려하는 소비자 중 액티브와 RS를 두고 고민할텐데, 개인적으로는 액티브의 전면부 완성도가 높다고 생각된다.

트랙스의 전면부는 쉐보레 SUV 디자인의 전환점이 된 쉐보레 블레이저의 분위기를 닮았다. 엔트리 모델부터 LED 주간주행등과 LED 프로젝션 헤드램프, LED 리어램프를 적용한 점은 놀라운 부분이다. 그릴과 사이드미러는 유광 블랙으로, 블랙 외장에서는 구분되지 않는다.

측면부에서는 날렵하면서 스포티한 프로포션이 특징이다. 전장 4540mm, 전폭 1825mm, 전고 1560mm, 휠베이스 2700mm의 차체는 신형 코나와 비교시 전장 +190, 전고 -25, 휠베이스 +40mm로 트랙스가 길고 낮은 형상이다. CUV와 SUV로 다르나 공교롭게 비교가 된다.

후면부는 공식 출시전까지 호오가 갈렸던 부분인데, 실물은 와이드하고 매끈한 인상이다. 리어램프는 무려 면발광이 제동등을 겸하는 5시리즈와 유사한 투웨이 방식이다. 크로스오버 특성상 최저지상고를 높여 설계한 디자인으로 인해 범퍼 하단부가 다소 허전해 보인다.

실내는 지금까지와는 다른 쉐보레의 차세대 디자인이 적용됐다. 수평형 대시보드와 듀얼 디스플레이가 분위기를 주도한다. 도어트림이나 하단부 소재는 플라스틱 사용이 많지만 차급을 고려하면 무난한 수준이다. 에어벤트 디자인과 구성은 최신 트렌드가 반영된 구성이다.

시트포지션은 경쟁사의 소형 SUV 대비 낮고 안정적이다. 실내공간은 동급에서 가장 여유로운 수준이다. 1열 레그룸은 물론, 2열도 중형세단에 가까운 공간을 제공한다. 등받이 각도나 쿠셔닝도 좋은 수준으로, 패밀리카로 사용해도 불만이 나오지 않을 거주성은 매력적이다.

트랙스 크로스오버에는 E-터보 프라임 1.2리터 3기통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139마력, 최대토크 22.4kgm를 발휘한다. 18인치 휠 기준 공차중량 1330kg, 국내 복합연비는 12.3km/ℓ(도심 11.2, 고속 14.0)다. 친환경 설계로 3종 저공해차 혜택이 가능하다.

운전석에서의 시트포지션은 안정적이다. 쉐보레가 잘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우수한 시트포지션이다. 8인치 전자식 계기판과 운전자를 향해 9도 기울어진 11인치 인포테인먼트 모니터는 분위기를 주도한다. 스티어링 휠 열선, 1열 시트에는 열선과 통풍이 함께 지원된다.

일상주행에서의 승차감은 부드러운 셋업이다. 최근 출시되는 신차들이 대체로 과속방지턱을 넘는 거동이 좋은 편인데, 트랙스 역시 쇼크를 소화하고 자세를 추스리는 동작이 안정적이다. 리어 서스펜션은 토션빔 구성이지만 뻣뻣함이나 불쾌감이 적은 좋은 거동을 보인다.

정차시 엔진의 소음과 진동의 실내 유입은 효과적으로 차단했다. 소음에 대한 역위상 사운드를 방출하는 액티브 노이즈 컨트롤(ANC)이 전 트림 기본인데, 이는 국산차 최초다. 과거 3기통 엔진의 소음과 진동이 걱정될 수 있지만, 이제 기술적으로 안정화된 모습을 보여준다.

일상주행에서의 가속력은 꽤나 빠르게 속도를 높여간다. 1.6 가솔린 자연흡기 보다는 빠르고, 과거 i30 1.4 터보와 유사한 퍼포먼스다. 저회전부터 발생되는 22.4kgm의 최대토크는 2.4리터 가솔린 자연흡기 엔진 수준이다. 정지에서 100km/h 가속은 8초 후반을 마크한다.

풀가속에서는 180km/h 넘어서까지 쉬지 않고 가속한다. 배기량을 고려하면 대단한 가속력이다. 최고속도는 계기판 기준 197km/h 부근에서 제한된다. 고회전을 사용한 급가속시 엔진 소음 유입은 다소 많아진다. 하지만 초고속영역에서의 실내 정숙성은 중상급 이상이다.

코너링에서는 좌우 롤이 상당히 발생한다. 최저지상고를 높였음에도 부드러운 서스펜션 셋업 때문인데, 볼보의 크로스오버 라인업과 유사한 모습도 보여진다. 반면 롤을 허용하는 상태에서의 거동이 리니어하게 유지되고, 코너링 한계는 비교적 높다 밸런스가 좋은 편이다.

운전보조장치는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과 차선유지보조를 함께 지원한다. 엔트리 트림에서도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을 더하는 가격은 35만원에 불과해 역대 국산차 중 최저가다. 말리부를 통해 반자율주행 기술을 초기에 도입한 만큼, 기술적 완성도는 상위권에 속한다.

연비면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데, 시승을 마친 누적 평균 연비는 16.0km/ℓ, 90km/h 항속 주행시 평균 연비는 22.0km/ℓ에 달한다. 저배기량 터보 엔진 특성상 고속도로 항속 주행에서의 실연비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이들링 스탑 부재는 아쉬울 수 있는 부분이다.

트랙스 크로스오버는 쉐보레의 달라진 차만들기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모델이다. 국내 소비자들의 입맛에 맞는 국내형 사양을 추가하고도 가격은 주력 시장보다 저렴하게 책정했다. 차체와 공간의 여유로움에 완성도까지, 2023년 트랙스의 미래는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기아 셀토스 풀체인지 포착, 선명하게 드러난 주간주행등

기아 셀토스 풀체인지 포착, 선명하게 드러난 주간주행등

기아 신형 셀토스가 포착됐다. 신근님이 인스타그램 laffey_sin_geun에 게재한 신형 셀토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외관에 기존 기아 신차와 다른 새로운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특히 신형 셀토스에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이 처음 도입된다. 내년에 공개된다. 셀토스는 지난 2019년 공개된 기아 소형 SUV로 동급 대비 큰 차체와 상품성, 가성비 등을 앞세워 국내 최다 판매량 기록을 세운 바 있다. 또한 셀토스는 지난해 미국에서 약 6만대가 판매되는 등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프론트랜더 공개, 하이브리드 탑재한 소형 SUV

토요타 프론트랜더 공개, 하이브리드 탑재한 소형 SUV

토요타는 프론트랜더(Frontlander)를 25일 공개했다. 프론트랜더 토요타 코롤라 크로스의 중국 버전으로 브랜드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으며, 업그레이드된 ADAS 시스템 등 다양한 최신 사양을 탑재했다. 프론트랜더는 가솔린과 하이브리드로 운영된다. 프론트랜더는 토요타 소형 SUV 코롤라 크로스의 중국 버전이다. 참고로 코롤라 크로스는 2020년 첫 출시 이후 지난해 전 세계 판매량 3위를 차지하는 등 토요타의 가장 성공적인 모델 중 하나로 자리매김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YD코리아, 추석 맞이 무상점검 서비스 캠페인 실시

BYD코리아, 추석 맞이 무상점검 서비스 캠페인 실시

BYD코리아가 다가오는 추석 연휴를 맞아 장거리 운행 전∙후 무상점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풀문, 풀체크(Full Moon, Full Check) 무상점검 서비스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추석 연휴 시작 전 4일간(9월 29일~10월 2일)과 연휴 후 6일간(10월 10일, 10월 13일~17일), 총 10일에 걸쳐 전국 15개 BYD Auto 서비스센터에서 진행된다. BYD코리아는 이번 서비스 캠페인을 통해 △고전압 배터리 손상 및 변형 점검 △소모품 교체 필요 여부 점검 △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코리아, ‘골플루언서(Golf+Influncer) 2025’ 성황리에 마무리

폭스바겐코리아, ‘골플루언서(Golf+Influncer) 2025’ 성황리에 마무리

폭스바겐코리아가 6월부터 9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한 ‘골플루언서(Golf+Influencer) 2025’를 성황리에 마무리했다. ‘골플루언서’는 인스타그램, 블로그, 유튜브 등 개인 SNS 채널을 통해 폭스바겐 타임리스 아이콘 골프와 함께하는 라이프스타일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인플루언서 활동 프로그램이다. 이번 활동은 2025년 신형 골프 출시와 함께 골프의 매력을 다각도로 조명하기 위해 처음 진행됐다. ‘골플루언서 2025’는 모집 단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 공개, 24K 금 엠블럼 적용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 공개, 24K 금 엠블럼 적용

메르세데스는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을 24일 공개했다.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은 마이바흐의 100년 전통에 대한 오마주를 담은 50대 한정판으로 24K 금으로 제작된 전면부 엠블럼과 전용 루프라이너, '1 of 50' 배지 등을 제공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션은 12기통 엔진을 탑재한 최초의 양산차 중 하나였던 1930년대 마이바흐 제플린의 철학인 '우아함과 파워의 조화, 장인정신'을 계승한다. 마이바흐 S클래스 V12 에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닛산 신형 센트라 공개, 미국서 아반떼 정조준

닛산 신형 센트라 공개, 미국서 아반떼 정조준

닛산은 신형 센트라(Sentra)를 24일 공개했다. 신형 센트라는 9세대 풀체인지로 닛산 아리야가 연상되는 브랜드 최신 디자인 언어가 외관에 반영됐으며, 실내에는 와이드 디스플레이 등 신규 사양이 배치됐다. 2.0리터 4기통 가솔린 자연흡기 단일로 운영된다. 센트라는 닛산의 준중형 세단으로 미국에서 현대차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 기아 K4, 혼다 시빅 등과 경쟁한다. 신형 센트라는 9세대 풀체인지다. 신형 센트라는 2.0리터 4기통 가솔린 자연흡기 단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AMG CLE 53 4MATIC+ 쿠페 출시, 가격은 1억770만원

AMG CLE 53 4MATIC+ 쿠페 출시, 가격은 1억770만원

벤츠코리아는 AMG CLE 53 4MATIC+ 쿠페를 출시한다고 25일 밝혔다. AMG CLE 53 4MATIC+ 쿠페는 CLE 쿠페의 고성능 버전으로 3.0리터 6기통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449마력을 발휘하며, AMG 라이드 컨트롤 서스펜션 등을 갖췄다. 가격은 1억770만원이다. AMG CLE 53 4MATIC+ 쿠페는 CLE 쿠페의 고성능 버전이다. 벤츠코리아는 이번 AMG CLE 53 4MATIC+ 쿠페 출시로 CLE 전 모델 라인업을 완성했다. AMG CLE 53 4MATIC+ 쿠페 가격은 1억770만원, 15대 한정판 리미티드 에디션은 1억3130만원으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피아트 500 하이브리드 공개, 2700만원대 가성비

피아트 500 하이브리드 공개, 2700만원대 가성비

피아트는 신형 500 하이브리드 사양을 24일 공개했다. 신형 500 하이브리드는 도심에 최적화된 소형 하이브리드 모델로 1.0리터 3기통 가솔린 엔진과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했다. 11월 유럽 시장에 출시되며, 가격은 1만7000유로(약 2700만원) 미만이다. 신형 500 하이브리드는 지난 2020년 피아트가 투입한 500 전기차를 기반으로 한다. 피아트는 신형 500 하이브리드를 11월 유럽부터 판매할 계획이며, 2026년 2월 고객 인도를 목표로 한다. 신형 500 하이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EX90 2026년형, 초급속 충전 추가..국내 출시는?

볼보 EX90 2026년형, 초급속 충전 추가..국내 출시는?

볼보는 2026년형 EX90을 23일 공개했다. 2026년형 EX90은 기존 400V 시스템을 대체하는 800V 시스템을 탑재해 초급속 충전 속도가 개선됐으며, 업그레이드된 주차 파일럿 어시스트 기능과 일렉트로크로믹 파노라파 루프가 도입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X90은 지난 2022년 공개된 볼보 차세대 플래그십 전기 SUV다. EX90은 국내 출시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됐다. EX90은 글로벌 기준 듀얼 모터와 싱글 모터 등 다양한 구성으로 운영되는데, 국내 트림은 미정이다.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