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 공개

BMW,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 공개

베이징 모터쇼에서 다양한 모델들의 아시아 및 중국 데뷔 무대 계획

발행일 2014-04-20 14:49:24 박태준 기자
▲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Studio Shot)
BMW는 올해 베이징 모터쇼에서 다양한 모델들의 아시아 및 중국 데뷔 무대를 계획하고 있다. 모든 모델은 더욱 세분되어 가는 고객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한편, 일부 모델은 전혀 새로운 세그먼트를 창조해낼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BMW는 이번 베이징 모터쇼에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카를 세계 최초로 공개하면서 BMW의 미래지향적인 기술을 보여줄 계획이다. 또한, 새로운 스포츠 액티비티 쿠페 모델인 뉴 X4를 선보이고, 공간 기능성에 주력한 완전히 새로운 개념의 프리미엄 소형차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와 뉴 M3 세단, M4 쿠페가 아시아 데뷔 무대를 치른다. 특히, 말(馬)의 해를 기념하여, 중국 시장에 특별히 선보이는 BMW 7시리즈 호스 에디션이 눈길을 끈다. 이 외에도 새로운 4도어 쿠페 모델인 4시리즈 그란 쿠페와 BMW 최초의 순수 전기차 i3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i8을 선보인다.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BMW Vision Future Luxury concept)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은 BMW가 오랜 기간 추구해온 럭셔리 세단의 통찰력을 미래지향적인 새로운 시각으로 나타낸다. BMW 브랜드의 DNA에 있어 혁신적인 기술력과 현대적인 고급스러움은 가장 중요한 요소다. 이 모델은 뛰어난 디자인과 혁신적인 기술 등을 통해 시장을 이끌어 가는 BMW의 비전을 매우 직관적으로 담았다.
 
▲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은 특히 디자인을 통해 이러한 철학을 잘 전달하고 있다. 측면에서 봤을 때 정밀하고 깔끔한 비율이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우아함을 잘 나타낸다. 긴 휠베이스와 짧은 오버행은 실루엣에 세련된 역동성을 준다. BMW 고유의 스타일에서 미세하게 제작된 실루엣은 차량 측면을 따라 원형의 라인을 만들고 이 라인 아래의 볼륨감 있는 외관은 BMW가 늘 그래왔던 것 처럼 숙련된 디자이너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수작업으로 조각된 디자인은 컴퓨터가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넘어 차량 표면에 특별한 감성적 매력을 주는데 이는 따뜻하고 반짝이는 효과를 주는 리퀴드 타입의 백금 청동을 사용한 외부 도장으로 더욱 강조되었다. 
쿠페 스타일의 루프라인과 비스듬한 트렁크, 안정감있는 외관의 표면과 균일하고 정교한 마무리는 최적의 공기의 흐름을 제공한다. 한편, 문틀 부분에 있는 우아한 카본 스트립은 알루미늄과 카본을 기본으로 한 혁신적인 경량 엔지니어링 컨셉트를 잘 보여준다.
 
실내 디자인은 형태와 혁신적인 기능 모두를 아우르는데, 멀티 레이어 방식의 개별적인 구성요소와 명확한 기하학적 구조가 조화되어 하나의 통합적인 구조를 만들어 낸다. 특히, 카본 소재를 실내 곳곳에 적용해 경량화 실현했다. 뒷좌석에는 카본 소재로 둘러진 2개의 디스플레이, 터치 커맨드 태블릿 스크린이 BMW 비전 퓨처 럭셔리의 통합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이 디스플레이는 전면 디스플레이와 함께 BMW 커넥티드드라이브(ConnectedDrive) 비스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뮤직 스트리밍, 동영상, 게임 등 다양한 온라인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뒷좌석의 탑승자를 위해 럭셔리한 개인공간을 제공하는데 두 개의 크고 깊은 형태의 싱글 시트는 자신만의 안락한 공간을 보장해 준다.
 
또한, BMW 비전 헤드업 디스플에이(Vision Head Up Display)가 최초로 적용되었다. 기존 운전자만 볼 수 있었던 헤드업 디스플레이와 달리 주행 정보가 앞 유리창 가운데에 표시되어 동승자와 같이 정보를 공유하고 컨트롤할 수 있다는 특징이다.
 
BMW 비전 퓨처 럭셔리 컨셉에 적용된 BMW 레이저 라이트는 BMW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로, 전력 소모가 적고 주변 온도를 높이지 않으면서 훨씬 더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이 특징이다. 조사 거리는 최대 600m에 달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LED 라이트의 두 배에 달하는 수치다. 에너지 효율 또한 LED 라이트보다 30% 더 높다. 또한, L자 모양의 리어 램프에는 BMW 최초로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방식이 적용되었다. 자동차 조명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OLED는 기존 LED 보다 더욱 얇고, 가벼우며 모든 표면에서 균일하게 빛을 발생한다.
 
BMW 뉴 X4
BMW 뉴 X4는 X6를 잇는 완전히 새로운 스포츠 액티비티 쿠페(Sports Activity Coupe)다. 새로운 세대의 X 패밀리 고유의 유전자가 접목되어 강렬하고 다이내믹한 인상과 우아하고 세련된 미적 감각을 동시에 자아낸다. 특히, BMW X3보다 20mm 낮은 시트 포지션과 2시트 형태의 뒷좌석은 쿠페의 캐릭터를 더욱 강조하고, 기본 40:20:40 분할 접이식 뒷좌석 등받이는 여유롭고, 스마트한 공간 활용성을 제공한다. 
 
▲ BWM 뉴 X4
 
BMW X4의 스포티한 특징은 역동적인 실루엣과 비율로 더욱 부각되는데, 전장 4,671mm, 전폭 1,881mm, 전고 1,624mm 길이의 바디는 스포티하면서도 파워가 넘치는 강인한 측면과 함께 우아함을 잘 보여준다. 전면부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대형 공기 흡입구와 프론트 에이프런의 캐릭터 라인은 트윈 헤드라이트와 함께 X4의 스포티한 캐릭터를 더욱 강조한다. 운전석 위에서부터 후면까지 낮게 떨어지는 쿠페 루프라인과 BMW 특유의 측면 스웨이지 라인은 BMW X4만의 역동성과 우아함을 나타내고, 후면의 L자형 LED 리어램프는 야성적인 인상을 강조해 준다.
 
BMW 이피션트다이내믹스(EfficientDynamics) 기술이 적용된 최첨단의 BMW 트윈파워 터보 엔진은 강력한 성능과 효율성을 발휘한다. BMW X4 xDrive35i는 최고출력 306마력, 최대토크 40.8kg•m의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고, 정지 상태에서 100㎞/h까지 5.6초에 도달한다. 3.0ℓ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한 BMW X4 xDrive35d는 최고출력 313마력과 최대토크 64.2kg•m의 힘을 발휘하며,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가속시간은 5.2초에 불과하다. 2.0ℓ 디젤 엔진과 스텝트로닉 8단 변속기를 탑재한 BMW X4 xDrive20d는 최고출력 190마력과 최대토크 40.8kg•m의 힘을 발휘한다.
 
BMW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
BMW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는 BMW의 대표적인 가치인 역동적인 주행력과 함께 스타일리시한 디자인, 우아하고 안락한 공간 기능성을 한꺼번에 아우르며 프리미엄 소형차 분야에 새로운 클래스를 만들어 낼 준비를 마쳤다.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는 새로운 2시리즈의 두 번째 모델로, 스포티한 존재감과 조화로운 비율로 쿠페의 발자취를 고스란히 따르고 있다.
 
▲ BMW 뉴 2시리즈 액티브 투어러
 
엔진은 최첨단 BMW 이피션트다이내믹스(EfficientDynamics) 기술과 새로운 터보차저가 적용된 신형 3기통과 4기통 엔진이 탑재된다. 엔진 라인업에 따라 최소 134마력에서 최대 228마력까지 힘을 발휘한다. 다양성과 기능성 측면에서 프리미엄 소형차의 특정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특별히 전륜 구동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차체 크기는 전장 4,342mm, 전폭 1,800mm, 전고 1,555mm로 1시리즈보다 더욱 커졌으며, 트렁크 공간은 468ℓ로 뒷좌석을 모두 접으면 최대 1,510ℓ까지 확장할 수 있다.
 
BMW 뉴 4시리즈 그란 쿠페
BMW 뉴 4시리즈 그란 쿠페는 BMW의 지속적인 모델 범위의 확장을 보여준다. 쿠페와 컨버터블에 이어 4시리즈의 3번째 모델로 데뷔한 그란 쿠페는 4도어 및 균형 잡힌 차체 비율을 바탕으로 동급보다 길고 넓어졌으며 역동적인 모습을 자랑한다. 뉴 4시리즈 그란 쿠페는 쿠페 특유의 매끄러운 유선형 외관과 함께, 4도어와 넓게 열리는 트렁크 등의 실용성까지 갖추고 있다.
 
▲ BMW 뉴 M4 쿠페
 
BMW 뉴 4시리즈 그란 쿠페는 전장 4,638mm, 전폭 1,825mm, 휠베이스 2,810mm로, 2도어 쿠페의 치수와 같다. 이 두 모델은 전면부 모양도 동일하여, 더블 키드니 그릴, 듀얼 라운드 헤드라이트, 프런트 에이프런의 거대한 공기 흡입구 같은 BMW의 전형적인 디자인을 공유한다. 하지만 루프는 BMW 뉴 4시리즈 그란 쿠페가 12mm 더 높고, 112mm 더 길며, 완만한 곡선을 그리면서 트렁크쪽으로 곡선이 부드럽게 흐른다. BMW의 전형적인 짧은 오버행, 긴 보닛, 후방 깊숙이 자리 잡은 실내는 뉴 4시리즈 그란 쿠페의 디자인을 보완하며 완벽한 균형과 압도적인 존재감을 동시에 표현한다.
 
길어진 루프라인은 BMW 뉴 4시리즈 그란 쿠페의 우아함과 세련미를 강조하면서, 중형차 부문에서 새로운 미학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실내 공간의 안락함은 물론, 더욱 늘어난 헤드룸을 제공한다. 4개의 도어를 갖춰 탑승자가 편리하게 차에 타고 내릴 수 있으며, 프레임이 없는 도어 디자인은 BMW 중형 쿠페의 특징적인 디자인으로 고급스러운 차량 콘셉트를 강조한다.  4+1인승 자동차의 기능적인 우아함은 눈에 띄는 블랙 패널 룩의 라운드 인스트루먼트 및 프리스탠딩 플랫스크린 iDrive 모니터로 더욱 두드러진다. 접근이 쉬운 넓은 트렁크 입구와 여유로운 적재 공간으로 짐을 싣고 내리기가 더욱 편리하다. 트렁크 용량은 2도어 버전보다 35ℓ 늘어난 480ℓ로 최대 1,300ℓ까지 확장할 수 있다. BMW 뉴 420d 그란 쿠페는 최고출력 184마력을, 뉴 435i는 최고출력 306마력의 힘을 발휘한다.
 
BMW 뉴 2시리즈 쿠페
BMW 뉴 2시리즈 쿠페는 1시리즈 쿠페의 혈통을 계승하는 새로운 시리즈로 스포티한 주행력과 심미적인 매력을 동시에 갖췄다. 1시리즈 쿠페보다 휠베이스가 30mm 더 길어졌으며, 전장은 72mm, 전폭은 32mm 늘어났다. 또한 프런트 헤드룸과 리어 레그룸이 확장돼 실내 거주성을 고려했고, 트렁크 용량도 20ℓ가 늘어난 390ℓ의 적재공간을 갖췄다. 곡선으로 표현되는 차량 측면은 날카로운 직선과 함께 역동적인 형상을 부각하며, BMW 쿠페의 전통적인 프레임리스 윈도우가 적용됐다. 키드니 그릴과 앞범퍼의 크기는 기존 1시리즈보다 더욱 커졌으며, 차량 후면은 살짝 위로 올라간 듯한 디자인으로 날렵한 이미지를 강조한다.
 
BMW 뉴 220d는 모두 최고출력 184마력의 힘을 발휘한다. 2시리즈의 고성능 모델인 M235i 쿠페는 직렬 6기통 3.0ℓ 터보 가솔린 엔진을 장착, 최고 출력 326마력, 최대 토크 45.9kg•m, 최고 시속은 250km이며, 정지 상태에서 100㎞/h까지 가속 시간은 4.8초에 불과하다.
 
BMW 뉴 M3 세단 & 뉴 M4 쿠페
새로운 M의 출발을 상징하는 뉴 M3 세단과 뉴 M4 쿠페가 베이징 모터쇼에서 아시아 최초로 공개된다. BMW 뉴 M3는 2도어 쿠페를 벗어나 4도어 세단으로 선보이고, 뉴 M4 쿠페는 M3의 전통을 새롭게 해석한 2도어 쿠페 모델로 탄생했다.
 
▲ BMW 뉴 M3 세단
 
BMW M3와 M4는 기존 모델보다 차체는 더욱 가벼워지고, 출력은 더욱 향상되었다. 기존 4.0ℓ V8 자연 흡기 엔진 대신 3.0ℓ 직렬 6기통 BMW M 트윈파워 터보 엔진을 장착했다. 새로워진 엔진의 무게는 기존 V8 엔진보다 약 10kg 가볍고 강력해져 최고출력 431마력과 최대토크 56.1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출력과 토크는 각각 11마력, 15.2kg.m 향상되었고 ℓ당 출력은 143마력으로 38마력 증가했다. 이는 M 디비전의 모든 모델 중 가장 높은 수치다. 더불어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는 밸브트로닉 기술과 더블바노스 연속 가변 캠샤프트 타이밍 기술이 적용되었다.
 
BMW M3와 M4는 차량 전면부의 대형 공기 흡입구와 측면의 매끄러운 차체 라인, 그리고 낮게 떨어진 후면 디자인을 적용해 역동적인 주행 성능과 기민성을 동시에 강조한다. 프런트 스플린터와 루프, 리어 디퓨저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 소재로 정교하게 만들어져 경량화를 이루었다.
 
차량 앞부분에 위치한 3개의 공기 흡입구를 통해 엔진과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냉각 공기가 전달되며, 공기 흡입구 측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에어 커튼과 펜더에 위치한 에어 브리더는 휠 하우스 부분의 공기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어 공기 역학성을 높인다.
 
BMW 7시리즈 호스(HORSE) 에디션
2014년 ‘말(馬)의 해’를 맞아 중국 시장에 BMW 플래그십 럭셔리 세단인 7시리즈의 호스(HORSE) 에디션도 선보인다. BMW 740Li xDrive 호스 에디션은 앞좌석 헤드 레스트에 한자 “馬”를 새기는 등, 인테리어 곳곳에 말을 상징하는 다양한 그래픽 요소를 적용하였다. 또한, 인디비주얼 페인트 옵션과 M 스포츠 패키지를 적용, 고급스러움과 역동성을 더욱 강조했다.
 
▲ BMW 7시리즈 호스(HORSE) 에디션

 

▲ BMW 7시리즈 호스(HORSE) 에디션
 
BMW i3, i8
BMW i는 BMW 최초의 양산형 순수 전기차인 i3와 전 세계에서 가장 진보적인 스포츠카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는 i8을 동시에 선보이며 BMW의 미래지향적인 콘셉트를 광범위하게 드러낼 계획이다. 이 두 모델은 프리미엄 주행 범위 안에서 새로운 지속가능성에 초점을 둔 모델로 정평이 나 있다.
 
BMW i의 첫 양산 모델인 i3는 배기가스 배출 제로의 프리미엄 모델로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BMW 그룹 최초의 순수 전기차 양산 모델인 i3는 도시 주행 환경에서 운전의 즐거움과 지속 가능성, 그리고 차량 외부와의 연결성 면에서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롭고 혁신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BMW i의 비전이 담긴 디자인에는 BMW가 제시하는 스포티함은 물론, 4인승 차량의 실용적인 면이 반영되어 있다.
 
BMW i3는 최적의 균형과 무게 배분에 대한 혁신적인 성능 연구를 통해 BMW의 전통인 ‘운전의 즐거움’을 그대로 실현한다. 여기에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LifeDrive구조와 BMW eDrive 기술이다. 먼저 LifeDrive 구조는 넉넉한 공간, 뛰어난 주행 성능, 배터리와 승객을 위한 높은 수준의 안전성에, 경량차체를 실현한 새로운 BMW 차체구조다. LifeDrive는 드라이브 모듈과 라이프 모듈 등 2개의 분리된 독립적 기능과 구조로 구성된다. 드라이브 모듈은 차량의 서스펜션, 배터리, 드라이브 시스템 등의 동력장치로 설계되어 있으며 대부분 알루미늄으로 제작됐다. 탑승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라이프 모듈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신소재가 사용된다.
 
BMW i3의 성능을 실현하는 BMW e 드라이브 또한 새로운 혁신을 이뤄냈다. 차량 후륜 차축에 가까이 장착된 전기모터는 접지력을 증가시켜 도시 주행에 필요한 즉각적인 응답성을 발휘한다. 또한, 전기모터에서 발생하는 즉각적인 출력은 단단한 서스펜션 설정과 정확한 조향성, 최소 회전반경(9.86m)과 연결되어 BMW만의 역동적인 전기 이동성을 자랑한다. 이 전기모터의 최고출력은 170마력, 최대토크는 25.4kg.m이며 무게는 50kg에 불과하지만 전기차 분야에서 전례 없는 수준의 전력 밀도와 반응성을 실현한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60km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불과 3.7초, 시속 100km까지 도달하는 데에는 7.2초면 충분하다.
 
BMW i8은 BMW 최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이자 전 세계 최초의 미래지향적 스포츠카다. BMW i8은 BMW i 시리즈의 두 번째 모델로서, BMW가 추구하는 혁신적인 드라이빙의 즐거움을 선사하며, 지속가능성을 표방하는 획기적이고 고급스러운 기능들을 갖추고 있다.
 
BMW i8에는 BMW 이피션트다이내믹스의 가장 최신 기술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됐다. BMW 트윈파워 터보 기술이 적용된 고성능의 3기통 가솔린 엔진(최고출력 231마력, 최대토크 32.6kg•m)은 6단 자동변속기를 통해 출력을 차량 뒤축에 전달하고, BMW i8에 최적화된 하이브리드 동기모터(최고출력 131마력, 최대토크 25.5kg•m)는 2단 자동변속기를 통해 출력을 차량 앞축에 전달한다. 이러한 BMW 트윈파워 터보 기술과 지능형 에너지 관리 시스템이 적용된 BMW eDrive 기술의 결합을 통해 최고출력 362마력과 최대토크 58.1kg•m을 발휘한다. BMW i8의 성능은 일반 스포츠카의 특징을 그대로 구현하면서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4.4초 만에 도달하며, 약 40km/l의 소형차 연료 효율성과 배기가스 배출량(EU 기준)을 실현한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