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융합이란? 질문에 '그란투리스모'로 답했다

[시승기] 융합이란? 질문에 '그란투리스모'로 답했다

BMW 3시리즈 그란투리스모 럭셔리라인 시승

발행일 2013-12-30 15:05:23 이한승 기자

BMW 3시리즈 그란투리스모 럭셔리라인 시승

 
3시리즈 그란투리스모 럭셔리라인이라는 모델명에는 BMW에서 이 모델에 담고자하는 컨셉트가 그대로 담겨있다. 3시리즈의 다이내믹함과 그란투리스모의 편안함 그리고 여유, 럭셔리라인의 고급스러움을  3GT에 온전히 녹아들게 만들었다. Made by BMW.
 
3GT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고자 하는 BMW의 두 번째 시험작이다. 5시리즈 그란투리스모는 출시 직후 보다 시간이 흐른 현재시점에서 더 인기가 많다. 은근한 그만의 매력을 구매자들이 알아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3GT 역시 시장에서 받아들이기엔 시간이 다소 필요해 보인다.
 
예쁜 여자를 여자를 마주쳤을 때, 남자의 시선은 고정된다. 작은 얼굴에 오목조목한 이목구비, 희고 맑은 피부, 날씬하면서 적당히 볼륨감 있는 몸매의 그녀를 보고 있으면 저절로 미소가 그려진다. 이런 여자에게는 남자가 끊이질 않는다. 피곤함과 기다림은 기본적인 덕목이다.
 
하지만, 진정한 기쁨은 진흙 속의 진주를 발견했을 때 배가 된다. 나쁘지 않은 외모라고 평소 생각됐지만, 특별한 관심은 가지 않았던 그녀. 펑퍼짐한 옷 차림과 옅은 화장, 그리고 안경 속에 가려져 알아채지 못했던 매력을 하나하나 발견하게 된다면, 당신은 이내 중독될 것임에 틀림없다.
 
◆ 한 마디로 표현하기 힘든 첫 인상
3시리즈 그란투리스모는 이렇다라고 단정짓기 어려운 외관 디자인을 갖고 있다. 앞모습에서 3시리즈임을 알아차리고, 가까이 다가섰을 때 눈 높이에서 크게 내려가지 않는 루프라인을 보면서 SUV인가 싶다가도 루프에서 트렁크리드로 완만하게 떨어지는 라인은 쿠페 모델을 떠올린다. BMW 라인업 중에서 호프마이스터킥이 가장 완곡하게 표현된 모델이기도 하다. 
 
패스트백 스타일의 후면부는 과거 쥬지아로가 디자인 했던 모델들을 떠오르게 한다. 루프에서 트렁크리드까지의 라인을 보고 있으면, 스포티보다는 우아한 느낌이 든다. 3GT의 외형 디자인은 한 눈에 반할 모양새가 아니다. 스포츠카를 떠올리는 낮고 넓은 디자인이 아니면서, 한 덩치 하는 SUV의 중압감도 없다. 첫 인상은 무덤덤했다. 
 
하지만, 사진 촬영을 위해서 여러가지 각도에서 살펴보면서 이 차의 디자인에 매료되었다. 봉긋하게 올라온 뒷 휀더의 라인과 마주하는 패스트백 스타일의 실루엣은 이 모델의 백미다. 짙은 블루 컬러에서 포인트를 주는 측면 윈드쉴드를 둘러싼 크롬몰딩은 포르쉐 997 타르가를 연상시킨다. 리어램프의 사이즈와 형상, 밋밋한 뒷범퍼의 디자인만 손봐도 이 모델의 포스는 4배 강해질 것이다.
 
◆ 공간에서의 강점
3GT 모델의 센터페시아 디자인은 특별한 부분이 없다. BMW 식구임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시승한 모델은 럭셔리 라인모델로 브라운 컬러의 내장이 잘 어울린다. 라인급 모델은 일반모델과 달리 시트소재로 천연가죽을 사용하고 있어서 촉감이 비교적 좋다. 야간에 볼 수 있는 도어패널의 간접조명 무드등은 급을 넘어서는 고급스러움을 보여준다.
 
전동식 트렁크를 들어올리면, 넓은 적재공간을 마주할 수 있다. 알루미늄 레일로 마감되어 있어 고급스럽다. 사용하지 않더라도 시각적으로 만족감을 준다. 착탈식으로 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러기지 스크린과 폴딩식 뒷 시트는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만족스러웠다.
 
신형 3시리즈(F30) 세단의 실내공간은 실내 길이부분에서 5시리즈에 근접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여기에 3GT는 롱 휠베이스 모델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무릎공간에 여유가 많다. 뒷 시트는 4:2:4로 선택적으로 폴딩이 가능하다. 파노라마 썬루프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시트포지션은 세단과 SUV의 중간 높이로 탑승이 편했다.
 
◆ 스포츠 디젤과 ZF 8단의 궁합은 굿
불과 몇 해 전에는 BMW에서 520d에 장착한 4기통 엔진과 8단 변속기의 조합은 놀라운 혁신이었다. 하지만, 현재 시점에서 이 조합은 국내에서 판매되는 BMW모델의 가장 일반적인 조합이 되었다. 스포츠 디젤이라고 불리는 이 엔진은 회전이 부드럽고, 터빈이 동작하는 회전대가 매우 낮다. 제원상 비슷해 보이는 타사의 엔진과 느낌이 다르다.
 
100km/h에 도달했을 때, 이미 4단에 들어가 있는 촘촘한 기어비는 가볍게 차를 견인하는 핵심이다. 시프트 업이 빠르고 부드러우면서 직결감이 좋다. 이 정도로 세팅이 잘 된 오토 트랜스미션이라면, 듀얼 클러치 자동화 변속기보다 이쪽을 선택하고 싶다. 중고속에서 가속 페달을 놓으면 항속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저속에서 페달을 놓으면 저단 기어로 바뀌면서 퓨얼컷을 유도한다.
 
◆ 저항감 적은 주행특성과 고속주행 안정성
최근 이피션시 다이내믹이 채용된 BMW 모델을 살펴보면, 차의 구름저항이 거의 없는 느낌이 든다. 3GT 역시 다르지 않다. 연비향상 타이어도 아니고, 고속에서 기어가 중립으로 바뀌는 세일링 모드가 선택된 모델도 아니지만, 잘 굴러간다. 낮은 회전수를 유지하는 엔진과 변속기는 정지된 느낌이다. BMW는 각종 저항과의 싸움에서 승리한 것처럼 보인다.
 
낮은 저항감각은 숫자로 확인하지 않아도 높은 연비를 가늠하게 했다. 제한 속도 70~80km/h 구간에서 과격한 주행과 짧은 정속주행을 혼합한 연비는 꾸준히 14km/ℓ 초중반에 수렴한다. 정속주행시 연비는 20km/ℓ를 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100~110km/h 구간에서 초고속 주행과 짧은 정속주행을 혼합한 연비는 12km/ℓ를 기록한다. 400km를 주행한 후에도 연료게이지는 아직 반이나 남아있다고 가리킨다.
 
고속주행에서 단단하게 조여지는 핸들의 감각은 나쁘지 않다. 꾸준한 보타를 요구하지도 않는다. 중고속에 도달하는 동안의 속도가 빠르고 안정감이 높아서 60km/h에서 150km/h까지 과속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할 수 있다. BMW가 나긋나긋해졌다고 해도 여전히 과속을 부축이고, 운전자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준다.
 
한계속도에 다가서는 초고속주행에서는 안정감이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견이지만, 최근 경량화로 인해 안정감이 떨어지는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중고속에서는 부족함이 없었다. 3GT는 18인치 휠과 17인치 휠에서 오는 안정감의 차이가 컸다. 가급적 18인치를 추천한다.
 
3GT가 세단보다 좀 더 나긋나긋한 승차감을 보여주는 것은 사실이다. 길어진 휠베이스와 비교적 부드럽게 느껴지는 하체가 더욱 그런 느낌을 준다. 하지만, 한계상황에 가까워질수록 부드러움 속의 단단함이 드러난다. 기본적인 탄탄함을 버리지 않았다.
 
3GT는 융합을 통해서 스타일, 공간, 연비, 주행성을 대체로 만족시키고 있다. 혹자는 이도저도 아니라고 부정적으로 표현할 수 있겠지만, 100m달리기 1등해 본 선수가 200m에서도 3등한 것과 100m에서도 3등인데 200m에서도 3등한 것과는 질적으로 다르다. BMW는 3GT라는 선수를 통해서 전 종목 준우승을 노리는 것 같다.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아이오닉 6N∙EV6 GT에 적용,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아이오닉 6N∙EV6 GT에 적용,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

현대차∙기아의 신기술, '2-스테이지 모터시스템'이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대한민국 기술대상' 최초 영예인 대통령상을 수상해 주목된다. 해당 시스템은 고출력 전기차의 구동 시스템으로도 도심과 같은 일상주행에서 높은 효율을 확보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전기차의 파워유닛은 크게 3가지, 전기모터, 감속기, 인버터로 구성된다. 전기모터는 회전력을 생성하고, 감속기는 그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한다. 인버터는 배터리의 직류 전력을 교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2세대 신형 텔루라이드 공개, 레인지로버 혹은 컬리넌

2세대 신형 텔루라이드 공개, 레인지로버 혹은 컬리넌

기아 2세대 텔루라이드가 공개됐다. 10일(현지시각) 공개된 신형 텔루라이드는 6년만에 선보이는 풀체인지 모델로, 1세대 모델의 고급스러움과 편안한 온로드 승차감을 기반으로 대담하고 정교한 디자인을 통해 존재감을 높였다. 2027년형 텔루라이드는 2026년 1분기 출고가 시작된다. 신형 텔루라이드의 외관은 박시한 스타일과 면을 강조해 미래지향적이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전면부의 대담하고 견고한 이미지를 비롯해 편평한 보닛과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MW코리아, '전기차 시승 멤버십' 참여 고객 2500명 돌파

BMW코리아, '전기차 시승 멤버십' 참여 고객 2500명 돌파

BMW코리아(대표 한상윤)가 국내 자동차 업계 최초로 선보인 전기차 시승 멤버십 프로그램 'BMW BEV MEMBERSHIP'이 운영 6개월 만에 누적 참여 고객 2500명을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BMW BEV 멤버십은 총 230대의 BMW 전기차가 투입된 대규모 프로젝트다. BMW BEV 멤버십은 고객이 BMW 전기차를 통해 브랜드 핵심 가치인 '운전의 즐거움'을 온전히 경험하고 자신의 라이프스타일과 주행 환경에 가장 적합한 전기차를 체험할 수 있도록 기획된 프로그램이다. 올해 5월부터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폴스타5, 플레이스테이션 및 그란투리스모에 첫선

폴스타5, 플레이스테이션 및 그란투리스모에 첫선

폴스타가 플레이스테이션 4 및 5 그란 투리스모 7에 전기 퍼포먼스 GT 폴스타 5를 새롭게 추가한다. 그란 투리스모 7버전의 폴스타 5는 지난주 LA에서 열린 그란 투리스모 월드 시리즈(GT World Series) 행사에서 처음 공개됐으며, 12월 그란 투리스모 7에 정식 추가될 예정이다. 폴스타와 소니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인 폴리포니 디지털(Polyphony Digital)은 폴스타 5 디지털 모델을 제작했다. 폴스타 R&D 센터의 전문가들과 함께 폴스타 5 프로토타입 차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BYD 돌핀 국내 인증, 60kWh 배터리..주행거리 354km

BYD 돌핀 국내 인증, 60kWh 배터리..주행거리 354km

BYD코리아의 엔트리급 전기차, 돌핀(돌핀 액티브)이 국내에 롱레인지 모델로 출시된다. BYD코리아는 최근 돌핀 60.48kWh의 국내 인증을 완료했다. 인증 모델의 주요 사양으로는 최고출력 204마력, 60.48kWh 배터리팩, 복합 주행거리 354km(도심 388, 고속 312)로 롱레인지 사양이다. BYD코리아는 국내에 중형 세단 전기차 씰(SEAL), 준중형 해치백 전기차 아토3(ATTO 3), 중형 SUV 전기차 씨라이언7(SEALION 7)을 선보였으며, 소형 해치백 전기차 돌핀(DOLPHIN)의 출시를 앞두고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혼다 CR-V 부분변경, 11월 국내 출시..바뀌는 부분은?

혼다 CR-V 부분변경, 11월 국내 출시..바뀌는 부분은?

혼다 CR-V 부분변경이 11월 국내에 출시된다. 신형 CR-V는 디자인 변화는 최소화하고 완성도를 높인 것이 특징으로, 북미시장 기준 터프한 분위기의 트레일스포트(TrailSport) 트림을 추가했다. 트림 구성은 기존과 유사하게 상위 트림에 하이브리드가, 하위 트림은 가솔린 터보가 적용된다. 2026년형 CR-V로 불리는 CR-V 부분변경에는 공격적인 디자인의 신규 18인치 휠이 적용되며, 오프로드 특화 모델인 트레일스포트에는 전용 올터레인 타이어와 신규 컬러인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르노 트윙고 E-TECH 공개, 매력적인 도심형 전기차

르노 트윙고 E-TECH 공개, 매력적인 도심형 전기차

르노는 6일(현지시각) 도심형 전기차, 트윙고 E-TECH를 공개했다. 트윙고는 1992년 선보인 르노의 아이코닉한 소형차로 A-세그먼트 시티카를 대표한다. 트윙고 E-TECH는 불과 2년전 공개된 콘셉트카를 양산차로 구현했다. 출고는 2026년 초 시작되며 가격은 2만유로(3344만원) 미만이다. 유럽의 A-세그먼트 시장은 규모가 줄었다고 생각되지만, 여전히 전체 시장의 5%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의 운전자들은 도심 생활이나 세컨드카로 설계된 합리적인 시티카를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현대차 픽업트럭, 2027년 첫선..포드 레인저와 경쟁

현대차 픽업트럭, 2027년 첫선..포드 레인저와 경쟁

현대자동차가 2030년까지 픽업트럭 라인업을 4종으로 확대할 전망이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카세일즈는 현대차 호주법인 CEO 돈 로마노와의 인터뷰를 통해 현대차가 토요타 하이럭스, 포드 레인저와 경쟁할 래더 프레임 픽업트럭을 출시할 예정이며, 출시 시점은 2027년 중반이다. 현대차는 지난 9월 2025 CEO 인베스터데이를 통해 현재 북미시장에 판매중인 싼타크루즈 외에 바디 온 프레임(BoF) 중형 픽업트럭을 2030년까지 선보일 계획을 밝혔다. 여기에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폭스바겐, 투아렉 오너 화보 'The Essence of Hidden Luxury' 공개

폭스바겐, 투아렉 오너 화보 'The Essence of Hidden Luxury' 공개

폭스바겐코리아가 플래그십 SUV 투아렉 오너의 라이프스타일 스토리와 철학을 담은 ‘The Essence of Hidden Luxury’ 화보를 공개했다. 지난 10월 시작된 ‘투아렉 오너 클럽’은 오너와 함께 소통하고 교류하는 라이프스타일 커뮤니티 활동으로 변호사, 마케팅 전문가, 신경외과 전문의, 기업인 등 자신만의 기준으로 리더의 삶을 살아가는 여섯 명의 오너들로 구성되었다. 오너 클럽의 첫번째 활동인 이번 화보는 ‘보여지는 화려함보다 본질의

업계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