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4세대 쏘렌토, 세단처럼 편안한 SUV

[시승기] 4세대 쏘렌토, 세단처럼 편안한 SUV

발행일 2020-03-27 08:48:31 김한솔 기자

기아차 4세대 쏘렌토 디젤을 시승했다. 신형 쏘렌토는 3세대 플랫폼을 바탕으로 대형 SUV 수준으로 커진 실내 공간과 세련된 디자인, 신규 파워트레인이 적용됐다. 신규 파워트레인, 서스펜션을 통해 승차감과 정숙성은 돋보이나 속도가 붙을수록 느껴지는 진동은 아쉽다.

4세대 쏘렌토는 3세대 이후 6년만에 풀체인지된 모델이다. 신형 쏘렌도 디젤의 트림별 가격은 트렌디 2948만원, 프레스티지 3227만원, 노블레스 3527만원, 시그니처 3817만원이다. 시승차는 2.2 디젤 4WD 시그니처트림 풀패키지로(6인승) 가격은 4652만원이다.

신형 쏘렌토의 차체 크기는 전장 4810mm, 전폭 1900mm, 전고 1700mm, 휠베이스 2815mm다. 3세대 쏘렌토와 비교해 전장, 전폭, 전고가 10mm 커졌다. 특히 휠베이스는 35mm 길어졌으며, 2열 레그룸은 93mm, 3열 후방 트렁크 용량은 45ℓ 증가했다.

4세대 쏘렌토의 외관은 ‘정제된 강렬함’을 콘셉트로 디자인됐다. 전면부 라디에이터 그릴과 LED 헤드램프를 하나로 연결해 과감함을 더한 타이거 노즈가 적용됐다. 방향지시등은 주간주행등과 통합됐으며, 새로운 디자인의 LED 안개등이 범퍼 하단에 탑재됐다.

측면부는 3세대 플랫폼을 통해 후륜구동 SUV를 연상케 한다. 헤드램프부터 리어램프까지 하나의 선으로 연결했으며, 펜더는 볼륨감이 강조됐다. 3열 윈도의 크기를 키워 개방감을 높였고, A필러에서 D필러까지 크롬으로 이어졌다. 스퍼터링 휠은 20인치다.

후면부는 세로형 버티컬 타입 LED 램프와 가로로 쓰여진 레터링 타입 엠블럼, 와이드 범퍼 가니시 등이 적용됐다. 후진등은 범퍼 하단에, LED 방향지시등은 프레스티지 트림부터 기본 탑재된다. 루프 상단 스포일러 속 히든 리어 와이퍼를 통해 깔끔한 후면부를 완성했다.

실내는 기능적 감성을 콘셉트로 디자인됐다.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10.25인치 디스플레이, 터치식과 아날로그 버튼이 조합된 공조기, 다이얼 타입 전자식 변속기(SBW)가 적용됐다. 송풍구는 상/하로 나뉘어 활용성이 높아졌다. 버튼류는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크리스탈 라인 앰비언트 라이팅의 밝기는 다소 아쉽다. 늘어난 2열 무릎공간과 독립시트를 통해 180cm 성인이 앉아도 여유롭다. 2열 컵홀더는 도어트림으로 이동했다. 3열은 2열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경우 180cm 성인이 앉기엔 다소 좁다.

3열에도 충전용 USB 포트, 보조 에어컨 필터가 포함된 후석 매뉴얼 에어컨, 유아용 시트 고정장치, 2열 스마트 원터치 워크인 기능 등이 제공된다. 또한 3열과 2열은 5:5 분할 폴딩이 가능하다. 트렁크 개폐 버튼은 번호판 상단이 아닌 레터링 엠블럼 하단에 있다.

시승한 모델은 신형 쏘렌토 디젤 모델로 스마트스트림 D2.2 디젤 엔진과 스마트스트림 습식 8단 DCT 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202마력, 최대토크는 45kgm다. 복합연비는(6인승, 20인치 휠, 4WD 기준) 13.0km/ℓ, 도심 11.8km/ℓ, 고속도로 14.9km/ℓ다.

스마트스트림 D2.2 엔진과 조합된 습식 8단 DCT는 현대차그룹 최초로 적용된 유닛이다. 기존 현대차그룹의 건식 7단 DCT와 달리 저속에서 울컥거리는 현상 없이 부드럽게 초기 가속이 가능하다. 시프트 다운시 변속감 역시 자동변속기 수준으로 부드럽다.

정차시 실내로 유입되는 엔진 소음과 진동은 3세대 쏘렌토와 비교해 적다. 엔진회전수 3000rpm 이상을 사용하지 않는 일반적인 주행시 모하비와 비슷한 수준의 엔진음이다. 엔진회전수를 높일 경우 디젤 엔진 특유의 엔진음이 발생하지만 3세대 쏘렌토 대비 적다.

100km/h 이상의 속도에서도 정숙성은 뛰어나다. 그러나 고속주행에서 속도를 계속 높이기 위해 가속할 경우 스티어링 휠에 엔진 진동이 전해지는데 추후 재확인이 필요하다. 정지상태에서 100km/h 부근까지 가속할 때에는 스티어링 휠에 진동이 느껴지진 않았다.

컴포트와 스포츠모드에서의 가속감은 1750rpm부터 터져 나오는 최대토크 덕분에 경쾌한 가속이 가능하다. 에코모드는 즉각적인 가속페달 반응 대신 빠른 기어변속을 통해 80km/h가 넘어가며 8단 기어가 맞물린다. 컴포트모드는 일상 주행에 적합하다.

스포츠모드는 엔진 회전을 4000rpm 이상까지 빠르게 올리며, 기어단수를 쉽게 내리지 않는다. 빠른 가속을 원할 경우 패들시프트를 사용해 최고출력이 발휘되는 3800~4000rpm 사이에서 변속하는 것을 추천한다. rpm이 레드존에 가까워질수록 가속은 더디다.

승차감은 단단하면서도 부드럽다. 현대차 신형 그랜저와 유사한 감각이다. 편안한 승차감 속에서도 불규칙한 노면과 요철을 통과할 때는 차량을 단단하게 잡아주며, 차체를 지면으로 강하게 잡아당긴다. 특히 신형 쏘렌토는 고속주행 안정감이 돋보인다.

저중심, 경량화, 강성을 높인 3세대 플랫폼과 탄탄하게 세팅된 서스펜션이 조화를 이뤄 불필요한 상/하 움직임을 최소화했다. 또한 속도를 높일수록 차량 앞부분이 들리는 듯한 느낌을 주던 3세대 쏘렌토와는 달리 신형 쏘렌토는 앞부분이 가라앉는 느낌이 강하다.

4세대 쏘렌토는 와인딩 로드에서도 좋은 움직임을 보인다. 랙 구동형 타입인 R-MDPS는 반복된 코너에서도 직결감이 뛰어나다. 롤 억제능력이 높아 안정적인 코너링이 가능하다. 안정적이면서도 빠른 코너 탈출은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도 한몫한다.

전자식 사륜구동 시스템은 전륜구동 방식을 기반으로 주행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후륜으로 구동을 배분한다. 일상 주행에서는 전륜구동, 급가속과 코너 탈출에서 가속시엔 후륜에도 힘이 전달된다. 사륜구동을 적용할 경우 험로 주행모드가 추가된다.

차로 유지보조 시스템은 차선 중앙으로 주행을 자연스럽게 유지하며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어우러져 운전자의 피로감을 줄여준다. 자동차 전용도로가 추가된 고속도로 주행보조(HDA)는 스스로 코너를 돌아나가며, 과속카메라 앞에서 속도까지 스스로 줄여준다.

4세대 쏘렌토는 주행성능, 안정감, 안전 및 편의사양 등이 3세대 대비 비약적으로 상승했다. 대형 SUV가 부담스러운 소비자에겐 충분한 대안이다. 연비는 와인딩 구간이 포함된 51km 구간에서 11.8km/ℓ, 고속도로가 포함된 42km 구간에선 17.6km/ℓ를 기록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메르세데스-AMG는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을 2일 공개했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마누팍투어 마운틴 그레이 마그노 외관 컬러와 19인치 휠, 고정형 리어 윙, 전용 AMG 퍼포먼스 시트 등 일반 모델과 차별화된 사양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CLA 45 S의 마지막 스페셜 모델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올해 하반기 미국과 유럽에서 한정된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인데,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 외관은 마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는 아말피(AMALFI)를 2일 공개했다. 아말피는 페라리 로마 후속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대형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640마력을 발휘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아말피는 페라리가 2019년 처음 공개한 로마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아말피는 고성능과 다재다능함, 세련된 미학, 현대적인 스포티함을 테마로 개발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신형 XC90·S90을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신형 XC90·S90은 부분변경으로 볼보 최신 디자인 언어가 외관에 반영됐으며, 다양한 신규 사양이 추가됐다. 특히 신형 XC90은 에어 서스펜션이 B6 트림까지 확대됐다. 가격은 6530~1억1620만원이다. 세부 가격은 신형 XC90 B6 플러스 8820만원, 에어 서스펜션이 포함된 B6 울트라 9990만원, T8 울트라 1억1620만원, 신형 S90은 B5 플러스 6530만원, B5 울트라 7130만원, T8 울트라 9140만원이다. 5년/10만km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영국 법인은 EV4 해치백의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1일(현지시간) 시작했다. EV4 해치백는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624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 ID.3보다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V4는 기아의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해치백으로 운영된다. EV4 세단은 지난 4월 국내 출시됐으며, EV4 해치백은 수요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EV4 해치백은 영국 기준 전체적인 트림에서 경쟁 모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기아 EV9 GT-라인 4WD를 시승했다. EV9은 국내 최초로 선보인 3열 대형 SUV 전기차로 출시된지 만 2년에 접어들었다. 출시 당시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6천만원대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한데, 유사한 체급의 하이브리드 SUV의 가격이 상승해 EV9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아의 전기차 로드맵 중 하나는 EV9의 성공이었다. 기아는 현대차 대비 5년 빠른 전동화 계획으로, 2025년부터 출시되는 풀체인지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채우고, 2030년부터 전기차만 출시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제네시스 G80 블랙 3.5T AWD를 시승했다. G80 블랙은 G90 블랙, GV80 블랙, GV80 쿠페 블랙에 이은 제네시스의 4번째 블랙 모델로, 컬러와 구성만으로 G80의 분위기를 젊은 감각으로 바꿔놨다. G70의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상황에서, 3040 소비자들에도 만족할만한 선택지로 생각된다. 제네시스 브랜드에게 G80은 브랜드의 시작과도 같은 모델이다. 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코드명 RG3로 1세대 BH, 2세대 DH를 잇는 3세대 G80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론칭시 가장 먼저 선보일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르노 세닉 E-TECH 일렉트릭을 시승했다. 세닉은 최근 국내 사전예약을 시작한 전기차로, 르노의 기술력과 디자인, LG에너지솔루션의 고성능 NCM 배터리가 결합돼 460km 주행이 가능하다. 르노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넓은 실내공간, 좁은 회전반경은 차세대 패밀리 SUV로 주목할만 하다. 르노 브랜드는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전동화에 가장 적극적인 제조사 중 하나로, 르노5, 르노4, 메간, 세닉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코리아는 풀체인지 모델, 더 뉴 아우디 A5와 더 뉴 아우디 Q5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두 모델은 아우디의 새로운 PPC 플랫폼 기반의 신차로, 디젤 모델 최초로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MHEV Plus) 기술이 적용됐다. 가격은 신형 A5 5789만원, 신형 Q5 6968만원부터다. 아우디 A5 전 트림에는 사륜구동 시스템 콰트로와 7단 S 트로닉 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된다. A5 40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4.7kgm, A5 45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72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코리아가 씰 다이내믹 AWD의 국내 판매 가격을 4690만원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씰 다이내믹 AWD는 총 출력 530마력을 발휘하는 듀얼 모터를 탑재했으며, 1회 완충시 407km를 주행할 수 있다. 씰 다이내믹 AWD 시승은 오는 19일부터 가능하다. 씰 다이내믹 AWD 가격은 세제혜택 적용 후 기준 4690만원이다. 이는 호주와 일본 대비 약 7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고객을 위한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지난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