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드 2017 뉴 쿠가를 시승했다. 뉴 쿠가는 새로운 그릴과 헤드램프, 리어램프를 적용해 디자인을 업그레이드한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유럽에서는 폭스바겐 티구안의 강력한 경쟁자로 여겨지는 모델로 국내에서도 티구안과 경쟁 구도를 갖는다.
뉴 쿠가는 국내에서는 생소한 유럽 포드가 개발, 생산한 유럽차다. 포드코리아가 국내에 판매 중인 디젤 라인업인 포커스, 몬데오, 쿠가는 모두 유럽 포드 차량이다. 특히 몬데오와 쿠가는 기존 미국형 모델인 퓨전과 이스케이프에서 모델이 변경됐다.
쿠가는 티구안의 라이벌
포드코리아의 디젤 라인업은 폭스바겐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해치백 모델인 포커스는 폭스바겐 골프, 중형 세단인 몬데오는 파사트, 소형 SUV 쿠가는 티구안과 경쟁한다.


그러나 포드의 디젤 라인업은 폭스바겐 대비 국내에서 큰 인기를 얻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심지어 배출가스 사태로 인해 폭스바겐의 국내 판매가 완전히 중단됐음에도 포드코리아는 반사이익을 보지 못하고 있다.
포드코리아는 페이스리프트 쿠가의 출시를 통해 반전을 꾀하고 있다. 4천만원 전후의 수입 SUV 시장은 잠재수요가 상당히 큰 시장이다. 한 체급 높은 산타페급 국산 SUV와의 가격 차이가 적어 진입장벽이 낮기 때문이다. 티구안은 이런 수요를 충족시킨 베스트셀링카다.
현대차가 연상되는 외관
신형 쿠가는 부분변경을 거치며 전면 디자인이 크게 변경됐다. 육각형 스타일의 대형 그릴은 포드의 최신 모델에 적용되는 아이템으로 강인하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조한다. 공교롭게도 현대차에 적용되는 그릴과 유사해 수입차가 주는 느낌은 덜하다.


그릴을 제외하면 쿠가는 전형적인 유럽 스타일 디자인을 갖는다. 직선을 강조한 캐릭터라인과 면을 강조한 보디패널, 비교적 작게 위치한 램프류 디자인은 절제된 조형미가 돋보인다. 부분변경을 통해 LED 주간주행등과 HID 헤드램프가 기본으로 적용됐다.
경쟁력 있는 실내공간
신형 쿠가는 전장 4525mm, 전폭 1840mm, 전고 1690mm, 휠베이스 2690mm로 전장과 전폭, 휠베이스에서 기존 티구안 대비 큰 차체를 갖는다. 특히 실내공간과 밀접한 휠베이스는 쿠가가 86mm 크게 나타나 2열 공간은 한결 여유롭다.
실내는 독특한 형상의 대시보드가 시선을 잡아둔다. 인포테인먼트 모니터 부분의 디자인은 작은 로봇이 내장된 것처럼 위트있는 디자인을 적용했다. 전면에 위치한 송풍구가 모두 하늘을 보고 있어 의아했지만, 실제 바람은 위를 향해 배출되지 않는다.
의문스러운 품질검사
문제는 조립 품질이다. 시승차는 신차 임에도 대시보드 연결부에서 500원짜리 동전이 드나들 단차를 드러냈다. 시승차 만의 문제로 보여지나 이같은 차량이 품질검사를 통과했다는 점은 의아하다. 또한 대시보드 상단은 스크래치에 취약해 이미 많은 흠집이 생겨났다.
조립 품질과 실내 소재에 대한 불만은 뒤로한채 시승을 시작했다. 운전석은 기대 이상의 시트포지션을 제공한다. 특히 시트는 사이드볼스터가 몸을 단단히 잡아주는 등 착좌감과 그립감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다. 스티어링 휠은 다소 미끄럽고 합성가죽 냄새가 손에 배는 모습을 보여 소재의 개선이 필요하다.
최고출력 180마력, 최대토크 40.8kgm
국내에서 판매되는 신형 쿠가는 트렌드와 티타늄 트림으로 모두 2.0 디젤엔진이 적용된다. 2.0 4기통 TDCi 디젤엔진은 3500rpm에서 최고출력 180마력, 2000rpm에서 최대토크 40.8kgm를 발휘하며, 6단 습식 듀얼클러치 변속기와 조합된다.

또한 신형 쿠가 전 모델에는 토크 온 디멘드 기능을 제공하는 인텔리전트 AWD 시스템이 기본으로 적용된다. 토크 배분은 계기판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공차중량은 1850kg, 복합연비는 12.4km/ℓ(도심 11.3, 고속 14.1)다.
부드러운 변속감의 듀얼클러치 변속기
신형 쿠가에는 아이들링 스탑과 습식 듀얼클러치 변속기가 적용된다. 특히 습식 듀얼클러치 변속기는 폭스바겐 티구안의 건식 듀얼클러치 변속기와 구분되는 부분으로 매끄러운 변속감이 일품이다. 반면 변속 속도는 무난한 수준이다.
쿠가는 아이들링시 차내로 전달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했다. 디젤차에서 가장 유심히 살펴보는 부분으로 디젤차의 스트레스는 소음보다는 진동에서 비롯된다. 소음 유입은 평범하다. 영하의 추운 날씨로 인해 아이들링 스탑은 동작되지 않았다.
인상적인 핸들링 감각
쿠가의 발진가속은 경쾌하다. 2.0 디젤엔진 중에서도 고출력에 속하는 엔진은 저회전부터 강한 토크감을 전달한다. 저회전의 토크감과 고회전으로 이어지는 출력의 변화가 매끄러워 가속력과 가속감은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풀가속에서는 변속시 스로틀 닫힘을 지연시키며 변속시 마다 차체를 밀어내는 스포티한 감각도 보여준다.
신형 쿠가 주행감각의 가장 큰 특징은 핸들링이다. 유격이 거의 없고 비교적 타이트한 기어비로 인해 핸들링에 따른 차체 머리의 움직임이 민첩하다. 핸들링에 따른 차체의 움직임과 서스펜션의 반응도 날카롭다. 동급 SUV 중에서는 가장 다이내믹한 감각이다. 시승한 모델은 트렌드로 17인치 휠이 적용됐다.
유럽차 성향의 서스펜션
승차감은 비교적 단단한 타입이다. 롤과 피칭을 억제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빠르고 짧은 요철에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등 주행성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반면 일반적인 과속방지턱과 완만한 요철은 부드럽게 소화한다. 승차감과 주행성능을 함께 추구하는 서스펜션 감각은 완성도가 높다.
신형 쿠가는 140km/h 미만의 속도에서 안정감이 꾸준히 이어진다. 직진은 물론 요철을 포함한 고속코너에서도 안정감을 잃지 않는다. 반면 그 이상 속도를 높이면 하체의 안정감이 떨어진다. 속도를 높여가면 차체와 지면의 그립이 약해지는 감각이 전달된다. 티타늄 트림에 적용되는 18인치 휠과 고성능 타이어와의 조합이 궁금해진다.
인텔리전트 AWD의 장단점
80km/h 전후의 주행에서 쿠가의 출력은 다소 거칠게 표현된다. 동급 SUV 중 180마력급 모델에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 가속페달을 밟는 양 대비 토크 발생이 과한 면이 없지 않다. 반면 150마력대 소형 SUV에서 나타나는 가속시 출력의 목마름은 없다.
인텔리전트 AWD라고 불리는 쿠가의 사륜구동 시스템은 대부분의 주행에서 네 바퀴에 동력을 전달한다. 강한 가속에서는 전후 토크 배분이 50:50에 가까워지고 완만한 가속에서는 전륜에 더 많은 토크를 전한다. 필요시에만 후륜에 동력을 전하는 사륜구동 시스템 대비 효과적인 그립을 보이는 반면 연비 면에서는 손해보는 설정이다.
트림 구성은 최선인가?
포드코리아는 신형 쿠가의 주력 모델로 3990만원의 트렌드 트림을 내세웠다. HID 헤드램프, 썬루프, 후방카메라, 내비게이션, 자동주차보조, 키리스 엔트리, 사륜구동 시스템, 17인치 휠을 기본으로 적용한 것을 감안하면 비교적 공격적인 설정이다.
그러나 트렌드 트림 옵션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쓰임새가 적은 자동주차보조 보다는 비슷한 가격의 파워 테일게이트를 적용하는 편이 셀링 포인트가 될 수 있다. 특히 유럽에서 400만원 저렴한 120마력의 1.5 디젤 전륜구동 쿠가를 판매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 하다.
신형 쿠가는 티구안이 시장에 다시 등장하기 전까지 고객들의 구매리스트에 올라가야만 한다. 풀체인지를 앞둔 티구안이 판매중지 직전까지 높은 인기를 얻었던 것을 감안하면 신형 티구안과의 싸움도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