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스 카, F1 그랑프리, 그리고 자동차 브랜드 - 메르세데스-벤츠

레이스 카, F1 그랑프리, 그리고 자동차 브랜드 - 메르세데스-벤츠

발행일 2014-01-01 21:54:17 윤재수 칼럼리스트
대형 자동차 제조사는 반드시 모터스포츠에 참가해야만 할까? 꼭 그렇지는 않다. 
레이스에서 우승하면 자동차 판매에 도움이 될까? 장담할 수 없다.
F1 그랑프리에 출전해야만 기술적으로 앞선 기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다.
이처럼 눈에 보이는 효과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자동차 제조사들은 100 여 년 전부터
꾸준히 레이스 카를 만들었고, F1 그랑프리를 비롯한 각종 모터스포츠 이벤트에 사운을
걸었다. 단지 ‘레이스를 사랑한다’는 한 마디로 경쟁에 나섰다. 오너의 열정과 직원들의 노력, 그리고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금의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어 왔다. 지금 우리가 타고 있는, 혹은 꿈꾸고 있는 자동차의 브랜드는 대부분 모터스포츠와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앞으로 몇 주 동안 연재할 ‘레이스 카, F1 그랑프리, 그리고 자동차 브랜드’는 이처럼 모터스포츠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인 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이야기를 각 브랜드 별로 살펴보는 글이 될 것이다.
 
그 첫 번째 주인공은 바로 ‘실버 애로우’로 모터스포츠를 주름잡은 메르세데스-벤츠다.
 
 
▲ 메르세데스-벤츠를 빛낸 명차 SSKL과 전설적인 드라이버 루돌프 카라키올라
 
1920년대 중반 깊은 불황에 허덕이던 독일의 두 자동차 제조사 다이믈러-메르세데스와 벤츠가 합병한 직후 탄생한 SSK는 이태리, 프랑스, 영국의 강력한 레이스카 들과 경쟁하면서 그랑프리와 힐 클라임 등을 넘나들며 수많은 우승을 일궈냈다. SSK는 다시 더욱 가벼운 SSKL로 탄생하면서 1930년대 초반의 모터스포츠를 장악했다. 당시 메르세데스-벤츠를 대표하는 드라이버였던 루돌프 카라키올라는 특히 빗길에 강한 모습을 보이며 ‘뢰겐마이스터(Regenmeister)’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1930년대 중반 W25와 W125, W154 등으로 이어진 메르세데스-벤츠의 레이스카는 이태리 자동차들을 완전히 제압하면서 모터스포츠의 정상에 올랐다. 특히 같은 독일의 경쟁자였던 아우토 우니온과 함께 은색 레이스카로 대부분의 레이스를 지배한 ‘실버 애로우’는 유럽 최고이자 세계 최고의 브랜드로 확실하게 자리매김했다. W125는 1930년대 후반 테스트에서 무려 646 마력의 최대 출력을 기록했고, 최고 속도는 400 km/h를 넘었다.
 
 
▲ 2년 연속 F1 챔피언 타이틀을 획득한 W196 R과 후안 마뉴엘 판지오
 
전쟁 기간 80% 이상의 생산 시설이 파손되었던 메르세데스-벤츠는 F1 월드 챔피언십이 시작되고 다섯 번째 시즌에 이르러서야 최고의 모터스포츠 무대에 복귀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야심차게 준비한 W196R은 일반인들의 기대를 훨씬 뛰어넘었다. 열 두 차례의 챔피언십 그랑프리에 출전한 W196R은 후안 마뉴엘 판지오와 스털링 모스의 활약에 힘입어 폴 포지션 8회, 패스티스트 랩 9회와 함께 아홉 번의 우승이라는 놀라운 성적을 거두며 실버 애로우의 복귀 전까지 F1의 절대 강자였던 이태리 레이스 카들을 압도했다. 한편 1955년 스털링 모스는 메르세데스-벤츠 300SLR에 올라, 전후 처음으로 이태리 팀의 이태리 드라이버가 아닌 밀레 밀리아 우승자가 되었다. 하지만 F1 그랑프리와 각종 모터 스포츠 이벤트에서 절대 강자의 면모를 확인하면서 브랜드의 가치가 여전함을 입증했던 메르세데스-벤츠였지만 1955년 6월 르망 24시간 경기 중 벌어진 사고는 큰 시련을 불러왔다. 300SLR이 일으킨 사고는 드라이버와 함께 83 명의 관중의 목숨을 앗아갔고, 사고의 책임을 통감한 메르세데스-벤츠는 1987년까지 모터스포츠에 ‘직접’ 참가하지 못했다.
 
 
▲ 1989 르망 24시간에서 우승을 차지한 자우버-메르세데스 C9
 
1980년대 말부터 직접적인 모터스포츠 복귀의 기지개를 켜기 시작한 메르세데스-벤츠의 움직임 중 눈에 띄는 것은 스위스의 자우버와 합작한 르망 24시간 도전이었다. 피터 자우버의 팀은 공식적인 메르세데스의 팩토리 팀이 되어 활약했고, 메르세데스의 5L 터보 엔진으로 무장한 C9은 1989 르망 24 시간 우승을 포함해 참가한 21 차례의 프로토타입 레이스 중 폴 포지션 7 회, 패스티스트 랩 5 회와 함께 13 승이라는 압도적인 승률을 기록했다.
 
메르세데스는 1993년 자우버와 함께 마침내 F1 그랑프리에 복귀했고, 1995년에는 맥라렌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F1의 강자로 부상했다. 강력한 메르세데스 엔진으로 무장한 맥라렌은 수 년 간의 부진을 씻고 1998년과 1999년 미카 하키넨을 챔피언의 자리에 앉히며 실버 애로우의 영광을 되살렸다. 2000년대 들어서도 페라리의 라이벌로 수많은 우승을 일궈냈던 맥라렌-메르세데스는 2008년 루이스 해밀튼이 다시 한 번 왕좌에 오르면서 메르세데스의 브랜드를 빛냈다.
 
 
▲ 2013 모나코 그랑프리를 제패한 메르세데스 F1 W04
 
2010년 메르세데스-벤츠는 55년만에 팩토리 팀을 F1에 복귀시키면서 실버 애로우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F1의 황제로 군림했던 미하엘 슈마허를 은퇴에서 복귀시키며 완벽한 독일의 내셔널 팀으로 부활한 메르세데스는 2012년 중국 그랑프리에서 니코 로스버그가 우승을 차지하면서 57년만에 F1 정상의 자리에 오르는 감격을 누렸다. 2012년부터는 고성능 브랜드 AMG를 F1 팀의 전면에 내세우면서 메르세데스 AMG가 세계 최고의 스포츠 세단 브랜드라는 이미지를 사람들의 머리에 각인시키기 시작했다.
 
2013년 한 단계 더 발전한 메르세데스는 2010년 F1 복귀 이래 최고의 성적을 거뒀다. 여덟 차례의 폴 포지션과 세 차례의 그랑프리 우승을 이뤄낸 메르세데스는 최근 몇 년 간 F1의 절대 강자로 군림하던 레드불의 유일한 라이벌로 나서며 페라리와 로터스, 맥라렌 등을 제치고 포인트 순위 2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F1 외에도 DTM, V8 수퍼카 등 최고 수준의 모터스포츠 이벤트와 챔피언십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는 메르세데스 AMG 브랜드는 끊임 없는 경쟁을 통해 자신들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세계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우리나라에 가장 먼저 진출한 해외 자동차 브랜드인 메르세데스-벤츠는 배 나온 사장님들을 위한 안락한 꽃마차가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강력한 스포츠 세단이라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왔다. 유난히 은색 도장을 강조하는 것 역시 메르세데스가 자랑하는 실버 애로우의 전통 때문이다. AMG는 단순히 값비싸고 기름 많이 먹는 엔진을 단 호사스러운 차가 아니라 세계 정상에 군림하는 레이스카의 혼을 담고 있는 자동차다. 메르세데스-벤츠와 AMG의 F1과 모터스포츠, 레이스카에 대한 열정을 제대로 이해한다면 우리가 타고 있는, 혹은 우리가 드림 카로 꿈꾸고 있는 실버 애로우가 더욱 사랑스럽게 보일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실차 살펴보기, 2026년 1월 출시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실차 살펴보기, 2026년 1월 출시

제네시스는 21일 ‘GV60 마그마(GV60 Magma)’를 공개했다. GV60 마그마는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모델로 2026년 1월 한국을 시작으로 유럽, 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오는 12월 10일부터 제네시스 수지에서 GV60 마그마 실차를 관람할 수 있다. GV60 마그마는 전고를 20mm 낮추고, 와이드 펜더와 275mm 광폭 타이어를 적용해 낮고 넓은 비례를 강조했다. 사이드 스커트와 에어브리더 라인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공기 흐름을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혼다 CR-V 2026년형 실차 살펴보니, 상품성 업그레이드

혼다 CR-V 2026년형 실차 살펴보니, 상품성 업그레이드

혼다코리아가 '혼다 뉴 CR-V 하이브리드 익스피리언스 위크'를 통해 CR-V 하이브리드 2026년형 실차를 공개했다. 전시 팝업 이벤트는 11월 21일-23일 스타필드 하남, 11월 28일-30일 타임빌라스 수원에서 열린다. 가격은 2WD 5280만원, 4WD 5580만원(VAT 포함, 개소세 인하분)이다. 2023년 국내에 선보인 6세대 CR-V 하이브리드는 혼다의 독자적인 신형 2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주행 성능, 뛰어난 연료 효율성이 특징이다. 2026년형에는 안전사양으로 혼다 센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혼다 CR-V, 스타필드 하남과 타임빌라스 수원서 팝업 이벤트

혼다 CR-V, 스타필드 하남과 타임빌라스 수원서 팝업 이벤트

혼다코리아가 ‘2026년형 뉴 CR-V 하이브리드’의 출시 및 CR-V 출시 30주년을 기념해 소비자 대상 전시 팝업 이벤트를 진행한다. ‘혼다 뉴 CR-V 하이브리드 익스피리언스 위크’ 전시 팝업 이벤트는 11월 21일-23일 스타필드 하남, 11월 28일-30일 타임빌라스 수원에서 열린다. 이번 팝업 이벤트는 고객 니즈를 반영해 안전·편의 사양을 강화한 ‘2026년형 뉴 CR-V 하이브리드’를 보다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30년간 이어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폴스타 CEO

폴스타 CEO "부산공장은 북미 수출을 위한 핵심 거점"

"폴스타는 부산에서 폴스타 4를 생산해 북미로 수출할 예정입니다" 마이클 로쉘러 폴스타 CEO는 최근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로쉘러 CEO는 지난 2024년 10월 폴스타 글로벌 CEO로 선임됐으며, 과거 오펠, 빈패스트, 니콜라 CEO를 역임했다. 폴스타 브랜드는 앞으로 유럽, 북미, 아시아를 3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략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폴스타4를 르노 부산공장에서 생산해 북미로 수출할 예정으로, 부산은 안정적인 공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신형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와 터보 파워트레인 제공

신형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와 터보 파워트레인 제공

기아 미국법인은 20일(현지시각) 신형 텔루라이드의 사양을 공개했다.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인 신형 텔루라이드는 팰리세이드와 동일한 터보 하이브리드와 가솔린 터보가 적용되며, 7인승과 8인승으로 판매된다. 기본형과 X-라인, X-프로 트림으로 구성되며, 출고는 2026년 1분기부터다. 2027년형 텔루라이드로 판매될 신형 텔루라이드의 외관 디자인은 면을 강조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우아한 보디패널과 공격적인 볼륨의 펜더는 역동적인 디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마그마 GT 콘셉트 공개..양산 가능성은?

제네시스, 마그마 GT 콘셉트 공개..양산 가능성은?

제네시스는 20일(현지시각) 프랑스에서 열린 '제네시스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를 통해 헤일로카 '마그마 GT 콘셉트'를 공개했다. 향후 10년간 제네시스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장소에서 공개된 마그마 GT는 단순히 디자인 결과물을 넘어서, 브랜드 미래의 고성능 역량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마그마 GT 콘셉트는 지난 9월 뉴욕에서 열린 현대차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발표한 성능 로드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네시스는 퍼포먼스 아이콘으로 헤일로카를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현대차, 크레이터 콘셉트 공개..미래 오프로더 예고

현대차, 크레이터 콘셉트 공개..미래 오프로더 예고

현대자동차는 20일(현지시각) LA오토쇼 2025에 앞서 크레이터(CRATER) 콘셉트를 공개했다. 크레이터는 미래형 오프로더 콘셉트로 컴팩트 SUV를 기반으로 한다. 현대차의 오프로더 트림인 XRT에서 영감을 받았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 산타크루즈, 팰리세이드에 XRT 트림을 운영한다. 크레이터는 현대차가 선보일 미래 XRT 모델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현대차는 크레이터를 통해 끊임없이 탐험하려는 열정이 형성된 비전, 고객들이 깊이 탐험하고 모험의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650마력 럭셔리카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650마력 럭셔리카

제네시스는 20일(현지시각) 프랑스 폴 리카르 서킷에서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개최하고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모델 ‘GV60 마그마(GV60 Magma)’를 공개했다. 낮고 넓은 차체를 기반으로 마그마 전용 컬러와 3홀 디자인 등 마그마만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GV60 마그마는 전고를 20mm 낮추고, 와이드 펜더와 275mm 광폭 타이어를 적용해 낮고 넓은 비례를 강조했다. 사이드 스커트와 에어브리더 라인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실차 살펴보니..압도적 존재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실차 살펴보니..압도적 존재감

캐딜락이 에스컬레이드 IQ(ESCALADE IQ)를 국내에 출시했다. 에스컬레이드 IQ는 풀사이즈 전기 SUV로, 가격은 2억7757만원이다. 205kWh 배터리팩을 통해 주행거리는 739km에 달하며, 에어 서스펜션, 사륜 조향 시스템, 어라이벌 모드, 그리고 핸즈프리 ADAS 슈퍼크루즈를 지원한다. 에스컬레이드 IQ는 캐딜락의 시그니처 디자인을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해 강렬하면서도 세련된 존재감을 완성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수직형 LED 헤드램프, 블랙 크리스탈 실드, 일루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