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BMW, 1등의 이유…'파생모델'이 뭐기에

현대차·BMW, 1등의 이유…'파생모델'이 뭐기에

발행일 2013-06-26 17:39:06 김상영 기자

국산차 선두인 현대차와 수입차 시장 선두를 달리고 있는 BMW는 묘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두 업체 모두 주요 인기차에서 비롯된 다양한 파생모델을 내놓고 있다는 점이다.

본래 볼륨카(대량 판매 되는 차)는 소량 판매 차에 비해 높은 품질 수준을 유지 할 수 있어 신뢰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많이 판매될 수록 획일적인 느낌이 든다는 단점 또한 필연적으로 지니고 있다. 파생 모델이 여기에 스포츠성이나 실용성을 가미해 단점을 보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이렇게 의미있는 결과를 기대한 것은 아니었다. 현대차와 BMW 관계자들 또한 파생모델이 이렇게 인기를 얻을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고 밝혔을 정도다.

▲ 현대차 아반떼(위)과 아반떼 쿠페(아래)

현대차 관계자는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더욱 다양해지고 요구는 빠르게 바뀌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더 다양하고 새로운 차종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BMW의 입장과 전략도 비슷하다. BMW 관계자는 “소비자가 무엇을 원하든 3시리즈로 해결할 수 있다”면서 “쿠페, 세단, 왜건에서 컨버터블, 고성능 모델까지 한 차종에 다양한 파생모델이 있기 때문에 어떤 소비자도 만족할 것”이라고 말했다.

◆ BMW…세그먼트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모든차 제공

BMW는 크기만 정하면 엔진이나 연료는 물론 형태까지 원하는 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예를 들어 BMW 3시리즈는 국내서 판매되고 있는 차를 통틀어 가장 다양한 파생모델을 갖고 있다.

우선 세단 모델은 가솔린 엔진과 디젤 엔진으로 크게 나뉘고 하이브리드 모델도 마련됐다. 여기에 배기량은 성능이냐 연비냐에 따라 엔진 배기량도 2.0리터에서 3.0리터까지 선택할 수 있다. 여기 추구하는 주행 스타일에 따라 후륜구동 모델과 4륜구동 모델을 선택할 수 있다. 

형태도 다양하다. 개방감을 즐긴다면 컨버터블을 선택할 수도 있고, 짐을 많이 실을 수 있는 왜건인 투어링과 멋과 실용성을 가미한 그란 투리스모(GT)가 새롭게 자리했다.

또 슈퍼카 같은 고성능을 원한다면 1억원대에 420마력을 발휘하는 M3도 선택 할 수 있을텐데, 이 또한 쿠페와 컨버터블로 나뉘어져 있어 운전자의 욕구를 더욱 자극한다. 심지어 SUV를 원하는 소비자를 위해 3시리즈의 높이를 키운 모델인 X3도 나와있다. 소비자들은 생각할 수 있는 어떤 차든 구입 할 수 있는 셈이다.

▲ BMW 3시리즈 GT

BMW코리아 관계자는 “다양한 파생모델로 인해 소비자들을 BMW 브랜드에 집중시킬 수 있었다”면서 “이제는 엔진 라인업 다양화 뿐 아니라, 형태의 다양화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에게 이것이냐 저것이냐를 놓고 행복한 고민에 빠지게 만드는 전략이라는 설명이다.

이달 7일 출시된 3시리즈 GT는 볼륨모델까지는 아닐거라고 BMW코리아는 판단했지만 이미 올해 배정된 물량이 거의 소진됐을 정도의 인기다. 예상을 뛰어넘는 판매고에 BMW코리아는 독일 본사에 추가 물량을 서둘러 요청했다고 알려졌다.

◆ 현대차 아반떼 쿠페…“스포츠카 유행 이끈다”

현대차는 최근 스포츠 이미지를 강조하고 있다. 주행성능이 보강된 모델이나 터보 엔진이 장착된 차량을 전면에 내세워 이미지 변화를 꿰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대표하는 모델이 아반떼 쿠페다. 

베스트셀링카를 기반으로 새로운 파생모델을 만든다는 것은 어쩌면 큰 모험이다. 기아차 포르테 쿱을 통해 현대차는 조금의 가능성을 보았겠지만 부담이 컸다. 자칫 잘못하면 잘 나가고 있는 기존 아반떼의 이미지마저 갉아먹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아반떼 쿠페에는 아반떼의 흔적도 많이 남아 있다. 문짝을 두개 제거했지만 세단과 비슷한 요소들을 대폭 삭제하진 않았다.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쿠페의 멋을 살리기 위한 노력도 진행했다.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등의 디자인을 세단과 다르게 적용했고 HID 헤드램프, 고성능 차량의 이미지를 강조한 트윈머플러, 리어 스포일러, 새로운 알로이휠 등이 적용됐다.

▲ 현대차 아반떼 쿠페

또 기존 아반떼, 포르테 쿱과 차별화를 위해 중형차에 장착되는 최고출력 175마력의 2.0리터 누우 GDi 엔진을 장착했다. 1.6리터 GDi 터보 엔진이 장착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튜익스나 성능 개선 파츠는 추가적으로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현대차 맥스크루즈, 형보다 나은 동생

올해 국내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차는 현대차 맥스크루즈다. 최근 국내 SUV 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맥스크루즈는 출시 전부터 소비자들의 큰 관심을 끌며 높은 계약대수를 기록했다. 또 지난달에는 1009대가 판매되며 월 판매 목표인 500대를 2배 이상 뛰어넘었다. 싼타페가 다져놓은 터전에 맥스크루즈가 점차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주목할 점은 싼타페와 맥스크루즈의 간섭이 거의 없다는 것이다. 많은 업계 관계자들은 맥스크루즈가 출시되면 자연스럽게 싼타페의 판매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지만 싼타페의 인기도 여전하다.

맥스크루즈는 국내 SUV 중에서 가장 긴 전장을 자랑하는 대형 SUV로 기존 싼타페가 갖고 있던 장점을 그래도 계승하면서 맥스크루즈만의 개성을 크게 살렸다. 6인승과 7인승의 시트 구성은 활용도가 높고 넓은 실내 공간과 화물적재 공간은 일생생활이나 캠핑 등 어떠한 용도에도 적합하다.

▲ 현대차 맥스크루즈 실내

여기 테일 게이트를 전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고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220V 인버터, 와이드 파노라마 썬루프, 웰컴 시스템 등 다양한 편의사양까지 두루 갖췄다.

◆ 생김새부터 독특한 벨로스터, 다양한 파워트레인 제공

현대차 벨로스터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2+1 도어’를 갖춘 비대칭의 3도어 스포츠 쿠페다. 독특한 구조와 개성 넘치는 디자인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

▲ 현대차 벨로스터 터보

하지만 벨로스터의 개성 넘치는 외관만큼 장착되는 엔진과 변속기도 신선하다. 기본형 모델은 최고출력 140마력의 성능을 발휘하는 1.6리터 GDi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됐다. 이 모델은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소비자들에겐 안성맞춤이지만 더욱 스포티한 주행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엔 조금 부족했다.

이에 현대차는 국산차 최초로 더블 클러치 변속기가 장착된 벨로스터 DCT를 내놓았다. 직결감이 우수하고 변속속도가 빠른 더블 클러치가 장착돼 주행 만족도는 높였고 연비까지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 현대차 벨로스터 터보 튜익스

현대차는 한발 더 나아가 터보 엔진까지 얹혔다. 최고출력 204마력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하는 1.6리터 터보 GDi 엔진은 벨로스터를 더욱 특별하게 만들었다. 여기에 스포츠 서스펜션, 스태빌라이저 등을 새롭게 적용한 ‘D-스펙’ 트림을 운영해 독특함을 더했다.

◆ 기아차, K5로 경제성과 강력함을 동시에

기아차는 K5를 통해 과감한 시도를 하고 있다. 경쟁이 가장 치열한 국내 중형차 시장에서 가솔린, 하이브리드, 터보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이 장착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덕분에 소비자들은 취향이나 용도에 맞춰 차를 선택할 수 있다.

K5 하이브리드는 연료효율이 우수하다. 리터당 16.8km의 연비로 국산 중형차 중에서 연비가 가장 좋다. 또 하이브리드 전용 디자인도 적용돼 일반 모델과 차별화되기도 했다. 2013년형 K5 하이브리드는 전기모터 출력이 기존 30kW에서 35kW로 향상돼 전기차 모드 주행거리도 소폭 상승했다.

▲ 기아차 K5 터보


하이브리드차를 구매할 때 얻을 수 잇는 세제 혜택과 더불어 기아차는 10년 20만km 전용부품 무상보증, 차종교환 프로그램, 중고차 가격보장 서비스, 배터리 평생보장 프로그램 등 K5 하이브리드 소비자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도 시행하고 있다.

K5 하이브리드와 반대로 강력한 주행성능을 원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2.0리터 GDi 터보 엔진이 장착된 K5 터보도 판매 중이다.

K5 터보는 최고출력 271마력, 최대토크 37.2kg·m의 성능을 갖춰 세계적인 스포츠 세단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또 향상된 엔진 성능에 걸맞은 서스펜션 튜닝, 대구경 디스크 브레이크도 적용됐다.

최근 소비자들의 인식과 유행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이에 발 빠르게 대응하려는 자동차 업체의 움직임이 중요시 되고 있다. 그래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세그먼트의 차종이 잇따라 출시되며 좋은 호응을 얻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새로운 시도가 언제나 성공적인 판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고 말하면서 “언제나 도전하는 마음으로 더욱 다양한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시도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