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차란 또한 자동차의 탄생에 자연스레 따라오는 현상이었다. 세계 최초의 자동차인 벤츠 특허차(페이텐트 바겐) 또한 세차를 했다는 기록이 있고, 국내도 50년대부터는 컴프레셔를 이용한 손세차장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세차 산업은 이보다 한참 후에야 발전하기 시작했다. 또 최근들어 세차가 단순히 차를 씻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운전자들의 본격적인 취미로 자리잡게 되면서 세차 산업 또한 큰 폭으로 뒤바뀌고 있다.
- 세차의 역사…자동차 대중화가 낳은 '신 산업'

최초의 세차장은 1914년 자동차의 천국이던 디트로이트에서 시작했다. 이전까지 자동차를 구입하는 층은 상당한 부자였기 때문에 운전수를 별도로 고용했을 뿐 아니라 하인까지 뒀으니 세차를 하는 것 또한 별 문제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1908년, 일반 중산층 가정에서도 구입할 수 있을 대중차 '포드T'가 등장하면서부터는 얘기가 달라졌다. 중산층이라면 스스로 운전과 세차를 해야 하는 불편이 생겼다.
비즈니스 아이디어가 넘치던 미국인 2명은 이 기회를 놓치지 않고 시기 적절하게 세차 사업을 시작해 나름대로 번창할 수 있었다. 물론 당시는 자동세차의 개념이 없어 모두 손으로 세차를 했다. 다만 이들은 포드의 컨베어벨트 생산 시스템을 모방해 작업자들이 대기하고 있는 영역까지 차를 밀어 비누칠을 하거나 물을 뿌리는 등의 단계를 거치도록 했다.

1946년부터는 자동차 앞범퍼에 고리를 걸어 차가 저절로 끌려가고, 천장의 스프링쿨러를 통해 물이 나오고, 선풍기를 통해 건조하는 등 반자동 세차장들이 속속 등장했다.
1950년대 들어 미국 사업가이자 엔지니어인 댄한나(Dan Hanna)는 30여개의 반자동 세차장을 운영했는데, 세차장의 운영 속도를 높이기 위해 터널식 자동세차 시스템을 발명했다. 누구나 저렴한 가격에 세차를 할 수 있게 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60년대 들어서는 독일 등 세계 각지에서 자동 세차 시스템이 개발됐다. 독일인들은 62년에 나온 이 세차 시스템이야말로 근대적 자동세차기의 시초로 보고 있어 미국 업체와의 자존심 싸움도 벌어지고 있다.
다양한 자동세차기가 등장하면서 주유소마다 한대씩 설치하는게 당연시 됐고, 산업 규모 또한 비약적으로 커져 국제세차연맹(International Carwash Association)이 탄생하는 등 호황을 누렸다.
- 자동 세차의 몰락, "내 차에 감히 스크래치를?"
그러나 최근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부터는 자동 세차를 꺼리는 운전자들이 늘었다. 자동 세차를 하면 도장 표면에 미세한 '잔기스(micro scratch)'가 생긴다는 이유에서다.
차를 아끼는 마니아들은 아직 할부도 끝나지 않은 새차를 터널식 자동세차기에 밀어 넣는 일은 내키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매번 비싼 돈을 들여가며 손세차를 맡기긴 부담이 적지 않다. 경우에 따라선 손세차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결벽에 가까운 마니아 층도 생겨났다.
자동차 온라인 커뮤니티를 조금만 살펴봐도 자동세차기를 이용했다가 봉변을 당한 일화를 쉽게 접해볼 수 있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솔수세미가 차를 씻어주기는 커녕 흠집을 내거나 자동세차기의 센서 이상으로 차체가 파손되는 일도 허다하는 하소연들이다.

때문에 최근에는 솔이 없는 자동세차기도 등장했다. 일반 자동세차기처럼 터널에 들어서면 터널 곳곳에 마련된 고압세척기가 물을 뿌려 차량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그후 세제가 뿌려지고 약 5분 후 고압세척기가 다시 물을 뿌리는 방식이다. 제조 업체에 따르면 물의 압력이 강력해 솔만큼 깨끗하게 표면을 닦아낸다고 한다.
이 방식은 차량 도장면에 흠집을 거의 내지 않는다는 장점이있다. 하지만 세제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시간이 부족해 손세차에 비해 깨끗하지 못하다는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또 물 사용량이 많고, 세차 시간이 길어져 이용 가격도 일반 자동세차에 비해 월등히 비싸진다.
- 셀프세차로 돌아온 세차 산업
다양한 세차 기기의 발명에도 불구하고, 결국 상당수 마니아들은 다시 손수 세차하는 방식으로 돌아왔다. 자동세차기나 손세차 업체의 세차 품질을 믿지 못할 뿐더러 가격이 비싸다는 이유에서다.
더구나 홀로 셀프 세차장을 찾는 점에 착안해 세차장에서 '급만남'을 갖는 ‘세차장 번개’도 유행처럼 번져가고 있다. 값비싼 세차용품을 나눠쓰거나 세차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 있다는 점은 덤이다.

셀프세차장을 이용한다 해도 마음이 편한 것은 아니다. 셀프세차장에 구비된 세차용품은 마치 대중목욕탕의 공용비누 같아서 찝찝하다. 특히 세차장의 솔에 묻은 모래 등의 이물질이 결국 차에 스크래치를 일으키므로, 마니아들은 이 또한 기피한다. 또, 솔이나 스폰지를 이용해 비누칠을 하기 전에 차에 묻은 이물질을 1차 제거하는 초벌 세차 과정 또한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 셀프세차를 위한 다양한 용품
셀프세차를 즐기는 인구가 늘다보니 수많은 세차 용품이 쏟아지고 있다. 스프레이 방식의 간단한 카샴푸에서부터 왁스와 광택 및 디테일링 용품까지 전문 손세차장에서 받을 수 있었던 고급 서비스까지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국내 자동차 용품 전문기업 불스원에서는 수입 용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제품을 많이 출시하고 있다. 또 대형마트나 주유소 등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불스원 ‘카샴푸’는 가장 일반적인 셀프세차를 돕는다. 카샴푸와 물을 일정 비율로 섞고 위시미트로 표면을 닦아주면 된다. 불스원에서는 스프레이 용기에 담긴 카샴푸도 판매 중이다. 물에 따로 희석하지 않고 바로 쓸 수 있어서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독일 브랜드 소낙스는 프리미엄 세차 용품을 판매하고 있다. 소낙스는 전세계 100여개국에 공식수입원을 두고 있으며 유럽시장 점유율은 66%에 달하는 세계적인 카케어 브랜드다. F1 머신조차 소낙스의 제품으로 관리 받고 있으니 우수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소낙스 ‘익스트림 샴푸 2in1’은 일반적으로 물에 희석해 사용하나 원액을 사용하면 새의 배설물 또는 곤충의 잔해를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 차량 도장면 외에도 컨버터블 차량의 소프트탑이나 금속, 유리, 플라스틱, 고무 등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국맥과이어스는 주로 광택 용품을 위주로 판매하고 있지만 세차와 광택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제품도 선보이고 있다.
‘울티메이트 워시&왁스 Anywhere’는 용액을 분사하고 극세사 타월로 닦아주면 모든 과정이 끝난다. 물로 차량을 씻어낼 필요가 없다. 폴리머 화학 성분이 왁스 보호막을 형성해 세차와 왁스가 동시에 진행된다.
- 바르는 방식에서 뿌리는 방식으로
일명 ‘스노우폼’이라고 불리는 카샴푸는 최근 세차마니아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 세차패드나 스펀지로 차의 구석구석을 닦는 수고를 덜어주기 때문이다.
고압세척기와 ‘폼랜스’ 또는 '폼건' 불리는 도구를 연결해 차 외관에 스노우폼을 뿌려주기만 하면 된다. 스노우폼은 마치 면도거품과 같은 고밀도의 거품을 생성한다. 도포된 거품은 높은 점착력을 가지고 있어 차량 외부의 오염물질에 반응한다. 그러면서 도장면 보호를 위해 입혀진 왁스나 실런트류의 코팅을 훼손하지 않는다. 10~30분 정도 지난 후 고압세척기로 물을 뿌려주기만 하면 웬만한 때는 말끔히 씻긴다.

스노우폼은 간편하고 쉽게 세차하기 위한 제품으로 오랜 시간 방치된 묶은 때는 완벽히 제거되지 않는다. 하지만 스노우폼으로 먼저 흙먼지나 가벼운 때를 제거하고 세차패드를 사용하면 세차 중 도장면에 흠집이 나는 것을 크게 방지할 수 있다.

스노우폼 테스트용으로 마련된 차는 메르세데스-벤츠의 최고급 슈퍼카인 SLR 맥라렌. 수억원을 호가하는 희귀 스포츠카인 대다가 독특한 생김새와 디테일 덕에 세차하기가 무척이나 까다롭다. 라디에이터 그릴이나 에어덕트, 휠 등을 직접 손으로 하자니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샴푸를 뿌려주는 방식을 사용하는 스노우폼을 써보니 시간 단축은 물론 손이 닿지 않는 부위까지 깨끗하게 씻긴다.


- 폼랜스는 선택, 수동방식의 폼건을 사용할 수도
고압세척기에 연결해 스노우폼을 거품 형태로 뿌려주는 폼랜스는 들어오는 물의 압력을 조절해 뿌려지는 스노우폼의 양이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폼랜스는 세차 시간 단축 및 노동력을 아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

또한 스노우폼을 일반 카샴푸처럼 위시미트와 버킷을 이용한 일반세차에도 적용 가능하다. 일반 세차를 할 때는 스노우폼 카샴푸를 1:100 비율로 희석해 사용하면 된다.

고압세척기 연결을 하는 폼랜스가 아닌 수동식 펌프 방식인 폼건을 구입하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오아시스 노즐을 장착한 펌프식 폼건은 약 40회 펌핑 후 10초 정도 사용할 수 있다. 또 미니 컴프레셔와 함께 사용하면 약 15분간 연속분사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