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 캡티바 2.0 디젤…"정숙성과 안정성이 매력적"

쉐보레 캡티바 2.0 디젤…"정숙성과 안정성이 매력적"

발행일 2012-03-20 13:44:31 전승용 기자

쉐보레 캡티바 2.0 디젤은 기존 2.2 디젤과 외관 및 실내 디자인은 거의 같은 모습이지만, 배기량을 낮추고 기본 사양을 추가하는 등 내실을 다진 상품성 개선 모델이다. 한국GM은 쉐보레 캡티바 2.0 디젤을 캡티바의 메인 트림으로 정하고 판매량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다운사이징 된 엔진…여전히 강력한 토크

쉐보레 캡티바 2.0 디젤은 기존 2.2리터급 터보차저 디젤엔진을 다운사이징해 배기량을 낮춘 모델이다. 최고출력은 21 마력 낮아졌지만 ECU 튜닝을 통해 2.2 모델과 같은 40.8kg.m의 강력한 토크를 발휘하도록 해 경쟁력을 높였다. 연비도 14.1km/l로 2.2 모델(13.9km/l) 보다 조금 향상됐다.

▲ 캡티바 2.0 디젤

시동을 켜고 가속페달에 발을 올리자 커다란 덩치와 무게에 어울리지 않게 가벼운 움직임을 보였다. 저속에서 주행감은 부드러우면서도 안정된 느낌이다. 40.8kg·m의 최대토크가 1750~2250rpm 사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1905kg의 육중한 체구를 움직이는데 부족함은 없다. 가속 페달을 조금 더 깊이 밟자 강력한 구동력이 몸으로 전해지며 보다 민첩한 가속력을 발휘했다.

스티어링 휠은 유압식을 사용하는데, 핸들감은 조금 가벼운 편이다. 반면 브레이크는 묵직한 편이어서 주행 초기에는 약간의 이질감이 느껴지기도 했지만 곧 익숙해졌다.

◆여유로운 주행 성능…고속에서는 조금 아쉬워

유명산 인근의 오르막 길을 주행할 때도 캡티바의 성능은 만족스러웠다. 가파른 언덕에서 욕심을 내 속도를 높이려 했을 때는 조금 버거운 느낌이 들기도 했지만, 일상적인 주행 스타일로 운전을 하자 별다른 부족함 없이 안정적으로 경사진 산길을 올라갔다.

고속에서의 가속감은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저속에서 완벽하게 차량을 받쳐주던 토크가 고속에서는 그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느낌이다. 직선 구간에서 140km/l 이상의 속도에서는 가열찬 엔진음에 비해 속도계가 조금 더디게 움직였다. 캡티바 2.0 모델의 공차 중량이 2.2 모델에 비해 80kg 늘어난 탓도 있는 듯 하다. 이에 대해 한국GM 측은 기본 사양이 증가돼 차체 중량이 무거워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 캡티바 2.0에 장착된 2.0리터급 터보차져 디젤엔진

그러나 고속 주행이나 코너에서의 차체 안정성은 매우 우수했다. 이는 전자식 주행안정 제어장치(ESC)의 개입이 빠르기 때문이다. 고속 코너링이나 노면이 미끄러우면 상황에서 ESC가 재빨리 개입돼, 토크를 줄이면서 차체를 안정화 시킨다.

캡티바 2.0에는 기존 모델과 마찬가지로 하이드로매틱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됐다. 변속감은 부드럽지만 운전 스타일에 따라서는 응답성이 조금 더디다는 생각이 들 수도 있겠다.

◆디젤차 맞아? 정숙한 실내 "놀라워"

캡티바를 시승하며 가장 인상 깊은 점은 차체 정숙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이다. 최근 디젤 엔진 기술이 매우 발달해 진동, 소음이 크게 줄어들었다고는 해도 이 정도 정숙성은 놀랍다. 동급 최고 수준은 물론, 가솔린 모델보다도 조용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다.

▲ 캡티바 2.0 디젤의 실내

한국GM에 따르면 캡티바 2.0은 차음 유리를 기본으로 장착하고 신소재의 차음재와 흡음재를 다량 적용해 소음과 진동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직접 확인해보니 보닛 안쪽 등 차 곳곳에 사용된 흡음재가 일반 차량에 비해 두꺼웠으며 실내로 유입되는 공간에 세심하게 차음재를 사용했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안전·편의 사양도 대만족

유로 NCAP에서 별 다섯 개를 받은 만큼 캡티바 2.0의 안전성은 매우 우수하다. 캡티바 2.0에는 운전석과 동승석, 사이드 및 커튼 에어백 등 총 6개의 에어백이 기본으로 장착됐으며, 3열 좌석까지 3점식 안전벨트를 적용했다. 1열 안전벨트에는 사고 시 에어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듀얼 프리텐셔너가 장착됐다.

▲ 캡티바 2.0 디젤의 임포테인먼트 창

또, 전자식주행제어장치(ESC)와  앞뒤 차량 하중 변화에 따라 차량의 뒤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셀프 레벨라이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EPB) 등이 적용됐다. 

여기에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에어컨 조작 버튼, 2·3열 시트를 손쉽게 접고 펴도록 한 이지테크 기능 등 다양한 편의 사양을 적용했다.

◆조금만 더 저렴하게 나왔으면…이 가격이 최선입니까?

개인적으로 캡티바 2.0 모델의 가장 아쉬운 점은 가격이다. 캡티바 2.0 모델의 가격은 2608~2826만원으로, 2.2 모델의 가격(2742~2941만원)에 비해 130만원 가량 저렴하다(자동변속기 기준).

한국GM 측은 캡티바 2.0 모델을 출시하며 2.2은 활동적이고 레저를 즐기는 소비자들을, 2.0은 경제성과 실용성을 중요시 여기는 소비자들을 위해 만든 것 이라 밝혔다.

▲ 캡티바 2.0 디젤

그러나 캡티바 2.0의 가격을 조금만 더 내려서 출시 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도 남는다.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국내 시장에서 보다 저렴한 가격에 출시 했더라면 현대기아차와 더욱 좋은 경쟁 구도를 만들며 판매량을 올릴 수 있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국GM 관계자는 "캡티바 2.0 모델의 가격은 탑재된 사양을 고려했을 때 절대 비싼 것이 아니다"면서 "경쟁 모델인 기아차 쏘렌토R에 비해서는 약 158만원, 현대차 싼타페에 비해서는 약 92만원 가량 저렴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2026년형 출시, 가격은 2787만원

현대차 캐스퍼 일렉트릭 2026년형 출시, 가격은 2787만원

현대차는 2026년형 캐스퍼와 캐스퍼 일렉트릭을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2026년형 캐스퍼·캐스퍼 일렉트릭은 트림에 따라 고객 선호도가 높은 인포테인먼트 사양과 안전 및 편의 사양을 기본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출고 이벤트도 진행된다. 가격은 1460만원부터다. 2026년형 캐스퍼 가격은 기본형 스마트 1493만원, 디 에센셜 1771만원, 인스퍼레이션 2017만원, 밴 스마트 1460만원, 스마트 초이스 1560만원이다. 2026년형 캐스퍼 일렉트릭은 세제혜택 반영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신형 CLA 인기 초대박, 공장에 3교대 근무 도입

벤츠 신형 CLA 인기 초대박, 공장에 3교대 근무 도입

벤츠 신형 CLA 흥행이 주목된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카스쿱에 따르면 벤츠는 신형 CLA의 높은 수요로 인해 생산 라인에 3교대 근무제를 도입했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로 벤츠 차세대 플랫폼,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등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출시된다. 신형 CLA는 지난 3월 공개된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4월 유럽 등 일부 지역에 먼저 출시됐는데, 수요가 높아져 벤츠는 생산 라인에 3교대 근무제를 도입했다. 특히 벤츠 직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제네시스 G90, 쿠웨이트 내무부 의전차 선정..47대 제공

제네시스 G90, 쿠웨이트 내무부 의전차 선정..47대 제공

제네시스 브랜드는 플래그십 세단 G90가 쿠웨이트 내무부 공식 행사 및 의전 차량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제네시스 차량의 우수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쿠웨이트 정부의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졌으며, 총 47대 중 40대는 행사 운영, 7대는 의전용이다. 이번에 선정된 모든 차량은 쿠웨이트 교통국이 승인한 사양 및 디자인 기준에 맞춰 제작됐다. G90는 제네시스의 디자인 철학과 첨단 기술이 집약된 플래그십 모델로, 우아한 외관

뉴스이한승 기자
마이바흐 서울 압구정에 오픈,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마이바흐 서울 압구정에 오픈,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세계 최초의 마이바흐 고객만을 위한 전용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Maybach Brand Center Seoul)' 공식 오픈했다. 브랜드센터는 맞춤형 고객 경험, 품격 있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결합해 엄선된 브랜드 경험을 고객에게 선사한다. 서울 프리미엄 상권인 강남구 압구정에 위치한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은 마이바흐 브랜드의 철학과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한국 전통미와 현대적 세련미를 잇는 이 공간은 고

뉴스이한승 기자
[시승기] 액티언 하이브리드, HEV 보다 EREV에 가깝다

[시승기] 액티언 하이브리드, HEV 보다 EREV에 가깝다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를 시승했다.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급성장한 하이브리드 SUV 시장을 겨냥한 모델로, 초기 액티언의 불안정한 서스펜션 셋업을 개선해 상품성을 높였다. 하이브리드 동작 특성상 REEV(Range-Extended EV)나 EREV(Extended Range EV)에 대한 이해는 필요하다. KG모빌리티는 최근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2025년 3월 토레스 하이브리드, 7월에는 액티언 하이브리드를 출시했으며, 2026년 중대형 xEV, SE10을 선보일 계획이다. 토레스

리뷰이한승 기자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 GT3 공개, 브랜드 첫 전용 레이스카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 GT3 공개, 브랜드 첫 전용 레이스카

람보르기니는 테메라리오 GT3를 14일 공개했다. 테메라리오 GT3는 테메라리오를 기반으로 한 첫 번째 GT3 레이스카로 브랜드 최초의 레이스 전용 차량이다. 테메라리오 GT3는 4.0리터 V8 트윈터보 엔진을 탑재했으며, 신규 서스펜션 등 레이스 운영에 최적화됐다. 테메라리오 GT3는 람보르기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슈퍼카인 테메라리오의 설계 초기부터 모터스포츠 파생 모델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차량이다. 설계부터 개발, 제작까지 산타가타 볼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이바흐 S클래스 실버 라이닝 출시, 10대 한정..가격 3억4860만원

마이바흐 S클래스 실버 라이닝 출시, 10대 한정..가격 3억4860만원

벤츠코리아는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Silver Lining)을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은 한국 전용 한정판 모델로 마이바흐 S클래스, 마이바흐 GLS, 마이바흐 EQS SUV로 구성됐다. 마누팍투어의 최상위 옵션이 적용됐으며, 가격은 2억7860만원부터다.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은 14일 세계 최초로 서울시 강남구에 문을 여는 마이바흐 브랜드 센터 서울 오픈을 기념하는 스페셜 모델이다.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은 마이바흐 S클래스, 마이바흐 GLS, 마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로터스 엘레트라·에메야 2026년형 출시, 가격 2천만원 '인하'

로터스 엘레트라·에메야 2026년형 출시, 가격 2천만원 '인하'

로터스자동차코리아는 2026년형 엘레트라·에메야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2026년형 엘레트라·에메야는 트림명이 차량 출력 수준을 반영한 600과 900으로 변경됐으며, 기존 대비 사양이 강화됐음에도 일부 트림 가격이 2천만원 인하됐다. 가격은 1억4490만원부터다. 2026년형 엘레트라·에메야는 트림명이 기존 기본형/S/R에서 차량 출력 수준을 반영한 600과 900으로 변경됐다. 2026년형 세부 가격은 600 1억4490만원, 600 GT SE 1억5390만원, 600 스포츠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쏘렌토 2026년형 출시, 가격은 3580~4888만원

기아 쏘렌토 2026년형 출시, 가격은 3580~4888만원

기아는 2026년형 쏘렌토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2026년형 쏘렌토는 모든 트림에 차로 유지 보조2와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가 기본 탑재됐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의 4스포크 스티어링 휠과 19인치 휠이 추가됐으며, 앰비언트 램프가 확대됐다. 가격은 3580만원부터다. 2026년형 쏘렌토 X-라인은 기존 시그니처 트림을 대체한다. 세부 가격은 2.5 가솔린 터보 프레스티지 3580만원, 노블레스 3891만원, 시그니처 4168만원, X-라인 4260만원, 2.2 디젤 프레스티지 3750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