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삼성그룹 앞지른 이유…13개의 심장 '총정리'

현대차가 삼성그룹 앞지른 이유…13개의 심장 '총정리'

발행일 2011-12-16 19:13:03 김한용∙김상영 기자

현대기아차는 올해 11월까지 국내외시장에서 368만387대의 차량을 판매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올해 추정 순이익만 해도 18조원을 넘을 전망이다. 삼성그룹의 순이익(17조여원)마저 추월했다.

판매량 증가와 순이익 개선의 배경에는 신차효과와 환율효과가 주효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최근 중국과 인도, 브라질 등을 비롯한 신흥시장에서도 고른 성장을 보이며 시장지배력이 강화됐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성장의 원동력으로, 다양하고 성능이 뛰어난 엔진 라인업을 손꼽는다. 

16일, 현대기아차에 따르면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현대기아차의 승용차 엔진은 총 13종이다. 가솔린 엔진으로 카파, 감마, 세타2, 누우, 람다2, 타우 등이 주력으로 사용되고 있고 디젤 엔진은 U2, R, A2, S2 등이 사용되고 있다. 또 신흥시장에서 입실론2, 알파2, 베타2 등의 엔진이 사용되고 있다.

◆ 경·소형차의 뜨거운 심장…카파엔진

카파엔진은 현대기아차의 경차나 소형차에 장착된다. 국내에는 1.0리터 3기통 카파엔진이 모닝에 장착된다. 유럽과 인도시장에 판매되는 소형차에도 탑재되고 i10·i20에 1.2리터, 1.25리터 4기통도 장착된다.

▲ 현대기아차 카파엔진

1.0리터 3기통 카파엔진은 최고출력 82마력, 최대토크 9.6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고압주조 알루미늄 실린더블록과 래더 프레임이 적용됐다. 감마엔진에도 적용된 오프셋 크랭크샤프트로 진동, 마찰손실을 최소화했다. 최적화된 피스톤 스커트와 피스톤링에 크롬 몰리브덴 코팅으로 마찰저감과 내구성을 강화했다. 또, 10만 마일까지 조정이 필요 없는 벨트 텐션 설계로 무게와 비용 저감 효과를 가져왔다.

이밖에 흡기 매니폴드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 무게를 가볍게 했으며 밸브 장치에 롤러 스윙암 적용으로 마찰, 소음 저감과 연비향상을 꾀했다.

◆ 140마력의 1.6리터 감마 GDi 엔진

감마 GDI 엔진은 고압 연료를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을 채택해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증대시키는 한편 노킹 현상도 개선시켜 동력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현대기아차의 프라이드, 엑센트, 아반떼, 쏘울 등 소형 및 준중형차에 주로 장착된다.

▲ 현대기아차 감마 1.6 GDi 엔진

1.6리터 감마 GDi엔진은 연비 저감에 대응하는 동시에 고출력의 가솔린 엔진 개발을 위해 지난 2007년부터 약 32개월간의 개발기간을 거쳐 완성됐다. 최고출력 140마력, 최대토크 17.0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중형차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면서 연료효율은 높다.

고압 연료를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는 직접분사 연소계 시스템, 흡배기 밸브의 타이밍을 조절해주는 흡배기 가변밸브 타이밍 시스템, 엔진의 회전과 부하 상태에 따라 공기 흡입통로를 자동적으로 조절해주는 가변 흡기 시스템(VIS) 등이 적용돼 높은 엔진 성능과 및 배출가스 저감을 이뤘다.

◆ 세타 2.0 GDi 터보…6기통을 능가하는 강력한 출력

현대기아차는 지난 2009년 세타 2.4 GDi 엔진을 선보였다. 이 엔진은 현대기아차의 순수 독자기술로 개발한 국내 최초의 직분사 엔진으로, 중형급 승용차 및 SUV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출력 엔진 개발과 고유가 시대를 대비한 연비 개선이라는 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다.

▲ 세타 2.0 터보 GDi 엔진

쏘나타, K5 등에 장착되며 201마력의 최고출력과 25.5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성능과 연료효율에 있어서 세계 최고 수준이다. 엔진 회전수에 따라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흡배기 가변 밸브 기구와 엔진 회전과 부하에 따라 흡입통로를 조절, 출력을 높여주는 가변흡기 시스템(VIS) 등의 첨단기술을 적용해 흡기효율을 극대화하고 주행성능 및 연비가 향상됐다.

지난해 현대기아차는 세타 2.0 GDi 엔진에 터보차저를 결합한 세타 2.0 터보 GDi 엔진이 장착된 쏘나타를 미국 시장에 선보였다. 쏘나타, K5에 장착된 이 엔진은 271마력의 최고출력과 37.2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 여러 차종에 장착되는 만능, 누우엔진

누우엔진은 1.8리터, 2.0리터 가솔린 모델과 2.0리터 LPI엔진, 엣킨슨 사이클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전용 엔진으로 분류된다.

▲ 현대기아차 누우엔진

150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하는 1.8리터 누우엔진은 미국, 캐나다 등지에서 판매되는 아반떼에 장착되며 178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하는 누우 2.0리터 GDi 엔진은 i40에 장착된다. 150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하는 4행정 1사이클 방식의 2.0리터 하이브리드 전용 누우엔진은 쏘나타·K5 하이브리드 차량에 장착된다.

누우 엔진은 가장 경쟁이 치열한 준중형급 가솔린 엔진 시장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차세대 가솔린 엔진으로, 지난 2006년부터 약 44개월의 연구기간과 약 2400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해 개발됐다.

현대차의 2.0리터급 엔진의 발전 과정은 놀라운 수준이다. 1995년 베타 엔진을 시작으로 지난해 발표한 2.0리터 터보 GDi 엔진까지 꾸준한 발전을 이뤘다. 여기에 누우엔진이 더해져 다양한 특색을 지닌 중형 엔진을 보유한 제조사가 됐다.

◆ 람다엔진…강력한 스포츠카의 심장

람다엔진은 3.0리터, 3.3리터, 3.8리터 엔진이 현대기아차의 준대형차량에 장착된다.

▲ 현대기아차 람다 3.8 GDi 엔진

올해 초 신형 그랜저에 국내 최초로 탑재된 람다 3.0 GDi 엔진은 최고출력 270마력, 최대토크 31.6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그랜저와 K7 등에 장착되는 람다 3.0 GDi 엔진은 연료를 실린더에 직접 분사해 고성능·저공해·고연비를 동시에 만족시킨다. 2012년형 제네시스에 국내 최초로 적용된 람다 V6 3.3 GDi 엔진은 최고출력 300마력, 최대토크 35.5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2012년형 에쿠스에는 람다 V6 3.8 GDi 엔진이 새롭게 장착돼 최고출력 334마력, 최대토크 40.3kg·m의 동급 최고 성능을 확보했다. 이 엔진은 2012년형 제네시스에도 장착된다.

람다 3.8 GDi 엔진은 현대기아차가 순수 독자기술을 통해 엔진 토크와 출력은 극대화하면서도 높은 연비를 추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최첨단 엔진으로 강화된 북미 배기규제인 ULEV2(ultra-low emission vehicle, 초저공해 차량)까지 만족한다. 최근 출시된 신형 제네시스 쿠페에 장착된 람다 3.8 GDi 엔진은 최고출력 350마력, 최대토크 40.8kg·m의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 3년 연속 ‘10대 최고 엔진’으로 선정된 타우엔진

타우 V8 5.0리터 GDi 엔진은 2012년형 에쿠스와 제네시스 프라다에 장착된다. 현대차의 독자 기술로 개발돼 최고출력 430마력, 최대토크 52.0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경쟁 수입차를 압도하는 성능과 연료효율을 가졌다.

▲ 현대기아차 5.0 V8 타우엔진

타우 V8 5.0 GDi 엔진은 지난해 미국 자동차 전문미디어 ‘워즈오토(Ward’s auto)’의 ‘2011 10대 최고엔진(2011 10 Best Engines Winners)’에 선정됐으며, 이로 인해 타우엔진은 2009년과 2010년 4.6리터 엔진의 수상을 포함해 미국 10대 최고엔진에 3년 연속 이름을 올리며 기술력을 전 세계에 입증한 바 있다.

특히 엔진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흡기밸브와 배기밸브의 타이밍을 조절하는 흡배기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Dual-CVVT), 흡기효율 최적화 및 서지탱크 용적 최적화를 실현한 TIS(Tuned Intake System) 흡기 시스템, 고압주조 알루미늄 블록, 고강성 구조 알루미늄 오일팬 등을 적용해 엔진의 경량화와 함께 배출가스, 소음, 진동을 최소화했다.

◆ 유럽을 무대로 활약하는 U2 엔진

U2 엔진은 유럽에서 사용되는 1.1리터와 1.4리터와 1.6리터, 1.7리터로 나뉜다. U2 엔진에는 고효율 전자식 가변 터보차저 VGT와 엔진과 배기가스를 정화해주는 디젤매연 정확장치가 적용됐다. 유로5 배기규제를 충족시켜 높은 토크와 우수한 연료효율이 특징이다.

▲ 현대기아차 U2 엔진

U2은 경차와 중형차 등 다양하게 쓰이는 현대기아차의 대표적인 디젤 엔진으로 국내에서는 엑센트, i30, i40 등에 장착되고 있다. 1.6리터 U2 엔진은 128마력의 최고출력과 26.5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1.7리터 U2 엔진은 140마력의 최고출력과 33.0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 SUV의 강력한 원동력…R엔진

현대기아차의 주력 SUV에 장착되는 R엔진은 성능과 효율에 있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낮은 배기량에서도 높은 최고출력과 최대토크를 발휘해 유럽의 디젤 엔진에 전혀 밀리지 앉는다.

▲ 현대기아차 R엔진

R엔진은 3년 6개월간의 연구기간 동안 500여대의 시험 엔진 테스트를 거쳐 완성됐다. 엄격한 개발과정 때문에 성능은 물론 제작 단가도 낮고 내구성 등 모든 면에서 뛰어나다.

국내에 판매되는 SUV에 장착되는 2.0리터 R엔진은 184마력의 최고출력과 40.0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2.2리터 R엔진은 200마력의 최고출력과 44.5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 A2·S2 엔진과 신흥시장에서 사용되는 구형 엔진

A2 디젤 엔진은 포터2, 봉고3 등 상용차에 장착된다. 2.5리터 엔진은 94~123마력의 최고출력을 발휘한다. 최대토크는 22.5~25.0kg·m다.

▲ 현대기아차 S2 엔진

S2 디젤 엔진은 현대기아차의 3.0리터 고성능 V6 디젤엔진이다. 베라크루즈, 모하비 등 프리미엄 SUV에 장착되는 S2 엔진은 245마력의 최고출력과 46.0kg·m의 최대토크를 발휘한다.

이밖에 현대기아차는 현재 중국, 인도 등 신흥 시장에서 구형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0.8리터, 1.0리터 입실론2 엔진과, 1.4리터, 1.6리터, 1.8리터 알파2·베타2 엔진이 사용되고 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포드 브롱코 스포츠 전기차 공개, 650km 주행..팰리세이드급

포드 브롱코 스포츠 전기차 공개, 650km 주행..팰리세이드급

포드는 브롱코 뉴 에너지(New Energy)를 17일 공개했다. 브롱코 뉴 에너지는 중국 시장을 위한 새로운 브롱코 스포츠로 글로벌 사양과 비교해 차체 크기가 대폭 커졌으며, 1.5리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전기차 주행거리는 최대 650km다. 브롱코 뉴 에너지는 중국 시장을 위한 새로운 브롱코 스포츠로 한국과 미국 등 글로벌에는 출시되지 않는다. 브롱코 뉴 에너지 차체 크기는 전장 5025mm, 전폭 1960mm, 전고 1815mm, 휠베이스 2950mm로 글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테슬라 모델Y 롱보디 선공개, 6인승으로 업그레이드

테슬라 모델Y 롱보디 선공개, 6인승으로 업그레이드

테슬라 모델Y L이 선공개됐다. 중국 특허청을 통해 공개된 모델Y L은 전장과 휠베이스를 늘린 롱보디 모델로 일반 모델과 다르게 최대 6명이 탑승할 수 있다. 모델Y L은 듀얼 모터 구성으로 총 출력은 456마력이다. 하반기에 공식 공개되는데,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모델Y L은 모델Y 주니퍼에 도입된 신규 모델이다. 모델Y L은 롱보디 모델로 차체 크기는 전장 4976mm, 전폭 1920mm, 전고 1668mm, 휠베이스는 3040mm다. 일반 모델과 비교해 전장은 179mm, 휠베이스는 50mm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레인지로버 전기차 프렁크 없다, 자동차에서 가장 '더러운' 부분

레인지로버 전기차 프렁크 없다, 자동차에서 가장 '더러운' 부분

랜드로버는 16일(영국시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사양 일부를 공개했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MLA 플랫폼을 기반으로 117kWh 용량의 차세대 배터리를 탑재했으며, 내연기관과 같은 트렁크 용량을 제공한다. 프렁크 공간은 없다. 올해 말 공식 공개를 앞뒀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5세대 레인지로버 기반 전기차다. 랜드로버는 올해 말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월드프리미어를 진행할 계획이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2026년 글로벌 판매가 시작되는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 ID.3 GTX 파이어 아이스 공개, 보그너와 협업

폭스바겐 ID.3 GTX 파이어 아이스 공개, 보그너와 협업

폭스바겐은 ID.3 GTX 파이어 아이스(Fire+Ice)를 공개했다. ID.3 GTX 파이어 아이스는 1990년대 폭스바겐 2세대 골프 아이스 파이어에서 영감을 얻은 스페셜 모델로 보그너(BOGNER)의 스포츠웨어 브랜드 아이스 파이어와 협업해 개발됐다. 단 1990대만 한정 생산된다. ID.3 GTX 파이어 아이스는 지난해 폭스바겐이 공개한 ID.3 콘셉트카의 양산형 버전이다. ID.3 GTX 파이어 아이스는 1990년 2세대 골프의 파이어 아이스 스페셜 에디션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오레지널 모델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ST1 2026년형 출시, 가격은 5655~7253만원

현대차 ST1 2026년형 출시, 가격은 5655~7253만원

현대차는 2026년형 ST1을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2026년형 ST1은 고객 의견을 반영해 트림에 따라 기본 옵션이 강화됐으며, 카고 모델에는 구매 부담을 낮추기 위한 경제형 트림인 스타일이 새롭게 도입됐다. 주행거리는 최대 317km다. 가격은 5655만원부터다. 2026년형 ST1 가격은 카고 스타일 5874만원, 스마트 6040만원, 프리미엄 6418만원, 카고 냉동 스마트 6875만원, 프리미엄 7253만원, 샤시캡 스마트 5655만원, 하이탑 스마트 5800만원이다. 2026년형 ST1 출시를 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팰리세이드 XRT 프로, 6800만원대..3.5 가솔린 탑재

현대차 팰리세이드 XRT 프로, 6800만원대..3.5 가솔린 탑재

현대차는 16일 신형 팰리세이드의 미국 가격을 공개하고 이달 말부터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신형 팰리세이드는 미국에서 3.5 V6 가솔린 엔진을 탑재했으며, 전용 서스펜션과 옵션 등을 갖춰 오프로드 주행에 특화된 XRT 프로 트림 선택이 가능하다. 신형 팰리세이드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팰리세이드의 미국 가격은 3만8935달러(약 5400만원)부터로 최근 국내에 출시된 폭스바겐 아틀라스의 미국 가격보다 소폭 비싸다. 신형 팰리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카렌스 전기차 공개, 490km 주행..7인승 미니밴

기아 카렌스 전기차 공개, 490km 주행..7인승 미니밴

기아는 카렌스 클라비스(Carens Clavis) 전기차를 15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카렌스 클라비스 전기차는 4세대 카렌스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카렌스 클라비스의 전기 모델로 1회 완충시 490km를 주행할 수 있다. 7인승으로 운영된다. 국내 출시는 없을 전망이다. 카렌스 클라비스는 지난 2021년 인도 등 일부 시장 전용 모델로 재탄생한 4세대 카렌스의 고급화 및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카렌스 클라비스는 1.5 가솔린/디젤이 먼저 출시됐으며, 전기차 도입으로 라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폭스바겐 골프 GTI, 믿기지 않는 가성비 스포츠카

[시승기] 폭스바겐 골프 GTI, 믿기지 않는 가성비 스포츠카

폭스바겐 신형 골프 GTI를 시승했다. 신형 골프 GTI는 8.5세대 모델로, 12.9인치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함께 디테일이 개선됐다. 완성도 높은 서스펜션 셋업은 굽은 길에서 즐거운 운전과 함께 일상주행에서의 승차감도 만족하는, 5175만원에 만날 수 있는 가장 특별한 스포츠카다. 폭스바겐코리아는 지난 6월 8.5세대 모델, 신형 골프 GTI를 출시했다. 전기차와 SUV에 관심이 집중된 상황에서 조용히 선보였는데, 내용면에서는 역대 GTI 중 가장 알찬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혼다코리아, 자동차 일산 서비스센터 신축 및 확장 이전 오픈

혼다코리아, 자동차 일산 서비스센터 신축 및 확장 이전 오픈

혼다코리아(대표이사 이지홍)가 고객 만족도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혼다 자동차 일산 서비스센터(Honda Cars KCC)를 신축 및 확장 이전하고 지난 14일 공식 오픈했다. 새로워진 혼다 자동차 일산 서비스센터는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은행마을로(식사동) 46-31에 위치하며 KCC 모터스에서 운영한다. 혼다 자동차 일산 서비스센터는 고양 IC와는 차량으로 5분 내외 거리에 주거 단지와도 인접해 고객 접근성이 우수하며, 경기 서북부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