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큐브 1000km 시승기…비교 불가능한 '원조' 박스카

닛산 큐브 1000km 시승기…비교 불가능한 '원조' 박스카

발행일 2011-11-22 16:19:03 전승용 기자

3~4년전 큐브 중고차를 구입하기 위해 중고차 웹사이트를 뒤적이던 추억이 떠오른다. 당시 큐브는 국내 정식 수입이 되지 않았지만 일명 '효리차'로 불리며 젊은이들에게 높은 인기를 모았다. 우핸들 차량이라는 불편쯤은 이 차의 매력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했다.

▲ 지난 8월 출시된 닛산 큐브

지난 8월, 드디어 큐브가 국내에 정식 출시됐다. 그런데 신차의 반가움 보다는 '너무 늦게 출시된 것이 아난가?'하는 아쉬움이 앞선다. 큐브는 국내 자동차 역사상 정식 수입 전 국내에 가장 많이 들어온 수입차일거다. 반대로 길에서 흔하게 보이는만큼 큐브 인기가 한물 간게 아닌가 싶었다.

그러나 이런 걱정은 기우에 불과했다. 큐브는 출시 이후 3달만에 1180대를 판매하며 수입차 판매 순위 5위권을 유지하는 높은 인기를 모으고 있다. 과연 젊은이들을 열광시키는 박스카 큐브의 매력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약 1000km의 거리를 달리며 시승을 해봤다.

◆ 큐브, 천천히 달릴 때 빛나는 차 

마침 코리아스피드페스티벌(KSF) 취재가 있어 큐브를 타고 서울에서 약 400km 떨어진 전남 영암으로 향했다. 서해안 고속도로에 접어들어 가속페달을 밟고 큐브의 주행 성능을 확인했다.

▲ 닛산 큐브의 저속 주행감은 부드럽고 안정적이다

저속구간에서의 큐브의 주행 성능은 부족함이 없다. 최고출력 120마력을 발휘하는 1.8리터급 4기통 DOHC 엔진은 무단자동변속기(CVT)와 결합돼 부드럽고 안정적인 가속력을 보여줬다.

처음에는 핸들이 생각보다 무겁게 느껴졌지만, 조금 더 주행 해보니 오히려 적당한 탄성이 느껴졌다. 차체가 높아 코너에서의 쏠림을 걱정하기도 했지만 예상외로 안정감이 느껴졌다.

시속 120km가 넘는 속도에 이르자 완전히 다른 차로 바뀌었다. 부드럽던 가속력은 눈에 띄게 더뎌졌고, 속도를 올릴 수록 엔진소음과 풍절음, 노면소음이 매우 크게 들려 불안함이 느껴졌다. 고장난게 아닐까 생각될 정도였다.

급가속을 위해 가속폐달을 끝까지 밟아보았다. 엔진은 굉음을 내며 힘을 발휘하려고 했지만 속도계가 올라가는 것은 무척 느렸다. 고속주행에서는 엔진소리와 가속력이 따로인 것 같은 괴리감이 느껴져 아쉬웠다.

▲ 닛산 큐브의 고속주행 성능은 조금 아쉽다

그러나 고속 안정성은 예상보다 뛰어났다. 120km/h 이상의 고속주행에서 차선을 이리저리 바꾸며 차량을 흔들어 봤지만 그리 큰 불안감은 느껴지지 않았다. 급커브 구간에서도 차체의 쏠림이 예상보다 적어 안정적으로 빠져나왔다. 

▲ 닛산 큐브에는 1.8리터급 DOHC 엔진이 탑재돼 최고출력 120마력의 동력 성능을 발휘한다

큐브는 한눈에 봐도 고속 주행에 유리한 차는 아니다. 네모난 디자인 때문에 일반 차량에 비해 공기저항을 많이 받는다. 공차중량은 일반 준중형 차량에 비해 100kg가량 더 무거워 가속력도 좀 느리다. 게다가 큐브는 배기량에 비해 엔진 성능이 우수한 차도 아니어서 아쉬움을 느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 모두 무리한 고속주행을 할 때 발생되는 문제일 뿐, 일반적인 도심 주행에서는 큰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았다.

큐브 디자인을 맡은 히로타다 쿠와하라가 “슈퍼카들은 빠른 속도에서 빛이 나지만, 큐브는 천천히 달릴 때 빛을 발하는 차”라고 말한 것이 조금 이해가 됐다.

◆ 달려도 막혀도 안정적인 주행연비 

서울에서 전남 영암까지 왕복하고, 주말에는 막히는 시내를 주행하는 등 총 1000km 가량을 달리며 틈틈히 연비를 체크했다. 공인 연비와 실 주행 연비가 별다른 차이가 나지 않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 큐브의 공인 연비와 비슷한 수준의 주행 연비는 놀랍다

고속도로에서 시속 100~110km/h 사이로 주행을 할 때 큐브의 연비는 리터당 14.9km 수준으로 공인 연비인 14.6km/l를 조금 웃돌았다. 속도를 올려 120~180km/h 사이로 주행 했을 때도 13.2km/l 수준으로 만족스러웠다. 주말에 막히는 시내를 주행했을 때도 연비가 11.0km/l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고속도로 800km, 시내 200km 등 총 1000km를 주행하고 나서의 연비는 12.34km/l로 나타났다.

◆ 원조 박스카 큐브…직접 보면 둥글둥글

큐브를 보면 묘한 모순에 빠지게 된다. 분명 네모나게 생긴 박스카인데 보면 볼수록 둥글둥글하다는 생각이들기 때문이다. 자세히 살펴보니 전체적인 모습은 네모나지만 모서리 부분을 둥그런 느낌으로 다듬었다. 또, 앞뒤 범퍼와 보닛, 휀더 등 대부분의 외관을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해 각진 네모의 느낌보다 둥그런 느낌이 강하게 나타난다. 안개등과, 사이드미러, 창틀까지도 모두 둥글둥글해 더욱 매력적이다.

▲ 큐브는 네모난 박스카임에도 불구하고 둥글둥글한 느낌이 든다

큐브에 적용된 비대칭 디자인도 인상적이다. 조수석 뒷자리의 C필러를 과감히 생략해 오른쪽 창문이 트렁크까지 쭉 연결된다. 이같은 비대칭 디자인도 매력적이지만 내부가 훤히 보이는 느낌도 독특하다. 마치 큐브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을 충분히 즐기라고 말하는 듯 했다. 

▲ 조수석 쪽 C필러를 삭제한 큐브의 비대칭 디자인은 트렁트를 밀고 당기게 만들었다

트렁크는 앞으로 잡아당기는 여닫이로 설계됐다. 이런 방식의 트렁크는 처음이어서 생소했지만 몇 번 사용해보니 위로 올리는 방식의 트렁크보다 짐을 넣고 뺄 때 편리했다. 마치 냉장고에서 물건을 넣고 빼는 기분이어서 여성과 노인들에게는 더욱 편리한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 동급 최대의 실내 공간…편의 사양은 아쉬워

큐브의 넓은 시야에는 탄성이 절로 나온다. 큐브의 크기는 전장 3980mm, 전폭 1475mm로 국산 소형 해치백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전고는 1690mm로 소형 SUV인 스포티지R 보다 55mm나 높다. 여기에 군더더기 없는 실내 인테리어와 C필러를 생략한 디자인으로 실내 공간을 넓어 보이게 하는 효과를 얻었다.

▲ 닛산 큐브의 실내

무릎 공간도 다른 준중형급 모델에 비해 넓게 느껴졌다. 큐브의 휠베이스는 2530mm로 아반떼의 휠베이스인 2700에 비해 140mm 짧지만 체감 공간은 오히려 더 넉넉하다고 느껴졌다. 앞뒤 좌석 모두 무릎 공간에 여유가 있었고, 뒷좌석 의자는 뒤로 젖혀져 편의에 따라 더욱 넉넉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겉으로 봤을 때보다 넓어 보이는 실내, 짧은 휠베이스에 비해 더 넓은 공간 활용은 큐브에 어떤 마술을 부린 것이 아닌지 의심될 정도로 신기했다.

▲ 큐브의 하위트림에는 내비게이션이 없어 불편하다

실내 디자인은 깔끔하지만 소박하다. 기본적으로 인테리어에 워낙 군더더기가 없어 깔끔하지만 전반적인 실내 품질이나 마감이은 썩 좋은 편은 아니다. 편의 사양도 아쉬움이 있었다. 시승한 1.8S 모델에는 내비게이션 및 오토라이트 기능 등이 제외됐으며, 상위 트림인 1.8SL 모델에도 안개등 및 시트 열선 기능이 제외됐다. 그러나 큐브에는 기본 모델에도 ABS, EBD, VDC, 어드밴스드에어백 등의 적용돼 안전 사양에서는 모자람이 없다.

▲ 큐브의 실내 곳곳에는 다양한 수납 공간이 마련됐다

◆ 수입차 최고의 가격 경쟁력

큐브의 가격은 1.8S 모델이 2190만원, 1.8SL 모델이 2490만원(부가세 포함)으로 국내에서 판매 중인 수입차 중 가장 저렴하다. 이 가격은 몇년 전 인기를 끌던 큐브의 병행수입 가격보다도 저렴한 것이어서 가격 경쟁력을 더욱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큐브를 출시하며 한국닛산의 켄지 나이토 대표는 “엔고 현상이 지속되고 있지만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하려 노력했다”고 밝혔다.

▲ 큐브는 조수석 C필러가 없어 실내 공간이 더 넓어보인다

최대한 저렴한 가격에 출시하려다보니 큐브의 실내 인테리어 및 기타 편의 사양은 조금 부족한 수준이어서 일부 소비자들은 조금 서운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러나 큐브를 시승해보니 가격대비 만족도가 매우 높아 이러한 서운함을 모두 잊게 만드는 매력적인 차였다. 또, 처음부터 모든 것을 갖추진 않았지만 하나하나 직접 꾸며가는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차라는 생각이 들었다.

[닛산 큐브]
외관 = 8.5점 (디자인 만으로도 사고 싶다)
실내 = 6.5점 (공간은 넓지만 계속 꾸며야 한다)
성능 = 5.5점 (저속에서는 부드럽지만 고속에서는 힘이 부족하다)
승차감 = 8점 (오랜 시간 운전해도 피곤함이 적다. 서스펜션도 만족스럽다)
가격 대비 가치 = 8.5점 (가격대비 만족도는 매우 높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시승기] 투아렉 부분변경, 1/3 가격의 경제형 우루스

[시승기] 투아렉 부분변경, 1/3 가격의 경제형 우루스

폭스바겐 신형 투아렉을 시승했다. 신형 투아렉은 3세대 부분변경 모델로 전후면 디자인 변화와 함께 에어 서스펜션, 후륜 조향, 매트릭스 헤드램프, 다인 오디오, 소프트 클로징을 기본으로 탑재해 상품성이 뛰어나다. 신형 투아렉은 장거리 고속주행이 잦은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다. 폭스바겐코리아는 3세대 부분변경 모델, 신형 투아렉을 지난 2024년 8월 출시했다. 3가지 트림으로 세분화된 기존 모델과 달리, 고급 사양을 기본으로 적용하고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EV5 실차 살펴보니, 패밀리 SUV..공간감 인상적

EV5 실차 살펴보니, 패밀리 SUV..공간감 인상적

기아는 전동화 패밀리 SUV, EV5를 출시하고 4일부터 계약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EV5는 E-GMP 기반 전용 전기차 모델로 정통 SUV 바디타입을 적용했다. 동급 최고 수준의 안전, 편의사양과 공간 활용성이 특징으로, 가격은 롱레인지 에어 4855만원, 어스 5230만원, GT 라인 5340만원이다. EV5는 전장 4610mm(-75), 전폭 1875mm(+10), 전고 1675mm(+10), 휠베이스 2750mm(-5)로 스포티지와 전장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치가 유사하다. 특히 오히려 높은 전고는 전용 전기 SUV에서는 찾아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더 기아 EV5 미디어 데이 Q&A

더 기아 EV5 미디어 데이 Q&A

Q. 최근 LFP 배터리 탑재 차량이 정말 많아졌다. 기아 레이도 LFP 배터리를 쓰고 있고,그만큼 성능도 충분히 올라온 것으로 보인다. 먼저 출시한 EV5 중국형의 경우 LFP 배터리 탑재 사양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국내 모델도 NCM 배터리 대신 LFP 배터리를 썼다면 가격 경쟁력 높일 수 있었지 않았을까 싶다. NCM 배터리의 탑재 배경은 무엇인가? A. (국내상품1팀 손용준 팀장) 배터리의 경우 시장별 각각의 니즈와 소비자들이 원하는 상품성, 국내 시장에 맞는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아우디 콘셉트 C 공개, 아우디 TT 후속 미리보기?

아우디 콘셉트 C 공개, 아우디 TT 후속 미리보기?

아우디는 콘셉트 C(Concept C)를 3일 공개했다. 콘셉트 C는 아우디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을 담은 쿠페로 전면부 세로형 직사각형 그릴과 날렵하게 디자인된 헤드램프 및 리어램프, 유선형 실루엣 등이 특징이다. 콘셉트 C는 2027년 차세대 쿠페로 양산될 예정이다. 콘셉트 C는 아우디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을 담은 쿠페 콘셉트카다. 콘셉트 C는 2027년 양산 및 출시가 예정됐는데, 아우디는 콘셉트 C 양산형 모델이 도어핸들, 센서, 그리고 몇 가지 사소한 변경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EV5 출시, 정통 SUV 스타일 준중형 전기차

기아 EV5 출시, 정통 SUV 스타일 준중형 전기차

기아는 EV5를 출시하고 4일부터 계약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EV5는 E-GMP 기반 전용 전기차 모델이며 정통 SUV 보디타입의 준중형 모델이다. EV5는 81.4kWh 배터리로 최대 460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신규 사양을 탑재했다. 가격은 4855만원부터다. EV5 세부 가격은 세제혜택 적용 후 및 개소세 3.5% 기준 롱레인지 에어 4855만원, 어스 5230만원, GT 라인 5340만원이다. 기아는 정부 및 지자체 전기차 보조금을 고려할 경우 EV5 기본 트림인 에어를 서울시 기준으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주행거리 '739km' 인증, 국내 최고 수준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주행거리 '739km' 인증, 국내 최고 수준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가 국내 인증됐다. 에스컬레이드 IQ는 풀사이즈 전기 SUV로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1회 완충시 739km로 국내 주행거리 인증을 완료했다. 에스컬레이드 IQ는 듀얼 모터 사륜구동으로 총 출력 689마력을 발휘하며, 7인승으로 운영된다. 에스컬레이드 IQ는 풀사이즈 전기 SUV로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국내 출시 및 고객에게 인도될 예정이다. 미국에서 먼저 공개된 에스컬레이드 IQ 가격은 13만달러(약 1억8000만원)부터인데, 캐딜락코리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지프 '패덤 블루 에디션' 국내 출시, 30대 한정판

지프 '패덤 블루 에디션' 국내 출시, 30대 한정판

지프는 패덤 블루 에디션(Fathom Blue Edition)을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패덤 블루 에디션은 지프의 세 번째 스페셜 컬러 에디션으로 랭글러 20대, 글래디에이터 10대로 구성됐으며, 모파 정품 액세서리인 선라이더 플립 탑이 기본이다. 가격은 8290만원부터다. 패덤 블루 에디션은 올 여름 지프가 전개해 온 '컬러 마이 프리덤' 캠페인을 완성하는 마지막 퍼즐로 도심 속 청량함을 상징한 '모히또', 태양 아래 뜨거운 에너지를 표현한 '주스'에 이어 콰이어트 프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아이오닉3 콘셉트 티저 공개, 스포티한 소형 전기차

현대차 아이오닉3 콘셉트 티저 공개, 스포티한 소형 전기차

현대차가 2일 콘셉트 쓰리(Concept Three) 티저를 공개했다. 콘셉트 쓰리는 현대차 전용 EV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소형 콘셉트카로 현대차의 신규 디자인 언어인 '아트 오브 스틸'이 반영됐다. 또한 측면부는 스포티함이 강조됐다. 콘셉트 쓰리는 오는 9일 공개된다. 콘셉트 쓰리는 현대차 전용 EV 브랜드 아이오닉의 첫 소형 콘셉트카다. 현대차는 오는 9일부터 14일까지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규모의 모빌리티쇼 'IAA 모빌리티 2025'에 4년만에 참가해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혼다 박스 포토존 전시 이벤트 실시, 스몰 펀 모터사이클 고객 확대

혼다 박스 포토존 전시 이벤트 실시, 스몰 펀 모터사이클 고객 확대

혼다코리아가 ‘스몰 펀’ 모터사이클 전국 주요 거점 전시 이벤트 “혼다 박스 포토존(Honda Box Photo Zone)”을 실시한다. 해당 이벤트는 지난 8월 30일(토)부터 31일(일)까지 진행된 서울 구로구 9로평상 카페에서의 전시를 시작으로 오는 9월 14일(일)까지 매 주말 대전 및 부산에서 열린다. 이번 “혼다 박스 포토존” 전시 이벤트는 혼다의 스몰 펀 모터사이클 고객 확대를 위해 시행 중인 ““Let’s Ride, Just Style!(달려! 내 스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