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은 연이는 신차출시로 국내 자동차 시장이 뜨겁게 달아올랐다. 르노삼성을 제외한 국산차 업체는 모두 신차를 출시하였으며 유럽과 미국의 수입차도 신차 및 연식변경, 에디션모델을 연이어 출시했다. 경차에서부터 SUV, 스포츠카, 최고급세단까지 종류도 다양했다.

◆친환경·고효율 차량 출시 두드러져
현대기아차는 쏘나타와 K5의 하이브리드모델을 출시했다. 두 모델의 연비는 무려 21km/L에 달한다. 또한 시속 20km 이하에서는 전기모터로만 주행이 가능하다. 판매가격은 세제 세택을 고려해봤을 때 일반 쏘나타·K5와 300만원 정도로 가격차가 크지 않은 것도 장점이다. 이밖에 현대기아차는 연비를 향상시킨 아반떼 블루세이버와 LPG와 가솔린의 장점을 살린 모닝 바이퓨얼을 출시했다.
폭스바겐코리아는 리터당 22.2km의 연비를 자랑하는 제타를 출시했다. 골프의 여러 장점을 그대로 살린 준중형세단 제타는 연비효율을 극대화한 1.6 TDI 블루모션과 다이내믹한 주행성능에 초점을 둔 2.0 TDI, 총 2종류로 판매된다.
BMW코리아는 320d 이피션트다이내믹스 에디션 모델을 출시했다. 국내 수입차 중 드물게 수동변속기를 탑재해 연비효율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연비는 리터당 24.2km에 달하며 하이브리드를 제외하면 국내에서 가장 뛰어난 효율성을 자랑한다. 50대만 한정 판매되는 것은 아쉬운 부분이다.

◆나만의 특별한 프리미엄…다양한 '에디션' 출시
현대차는 명품브랜드 ‘프라다’와 공동으로 제작한 제네시스 프라다를 출시했다. 제네시스 프라다는 내외관 디자인에 프라다의 혁신성과 정교함이 반영되어 한층 업그레이드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네시스 프라다는 주문 생산 방식을 통해 국내에 1200대만을 한정 생산 및 판매할 계획이다.
BMW코리아는 미니 클럽맨 탄생 50주년을 맞아 ‘미니 50 햄튼’을 출시했다. 영국 로열패밀 리가 주로 거주한 런던 남서부 도시 햄튼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된 ‘미니 50 햄튼’은 올해 5월부터 1년 동안만 생산·판매된다.
이밖에 쌍용차는 캠핑트레일러 견인이 가능한 렉스턴 아웃도어 에디션을 출시했으며, 크라이슬러코리아는 지프브랜드 70주년을 맞아 뉴컴패스 70주년 에디션을 출시했다.

◆품격 높은 고급 세단 출시
쌍용차는 체어맨의 3세대 모델은 체어맨H 뉴클래식을 출시했다. 14년 동안 국산 최고급차의 대명사로 여겨졌으며 에쿠스와 경쟁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대형 세단이 갖추어야 할 주행성능과 안전성에서 전문가들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아우디코리아는 2억 5800만원에 달하는 아우디 A8L W12를 출시했다. 6.3리터 12기통 엔진이 장착된 이 차량은 알루미늄 바디 ASF, 신형 전자제어식 8단 팁트로닉 변속기와 상시 4륜구동 콰트로 등 최신기술이 적용된 최고급 대형 세단이다.
한불모터스는 푸조의 고급 세단인 신형 508을 출시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한국 시장에 최초로 출시됐다. 신형 508은 초기 제품 기획단계에서부터 아시아 시장을 겨냥해 디자인, 첨단 사양, 고급 소재 등이 세심하게 채택됐다.
5월에 국내 출시 된 차들 중 어떤 차가 가장 주목할만한 차인지 자동차 전문지 탑라이더의 기자들이 살펴봤다. - 김상영 기자 : 쏘나타·K5 하이브리드 국산차 최초의 가솔린하이브리드 차량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현대기아차에서 독자 개발한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된 점도 눈여겨 볼 부분이다. 191마력의 출력과 리터당 21km의 연비를 지닌 국산중형차. 설명이 필요 없다. - 김한용 기자 : 푸조 508 푸조 브랜드가 주는 선입견을 탈피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차다. 그동안의 푸조는 실용성에 가려져 고급스러움을 등한시 했지만, 이번 푸조 508은 디자인, 실내공간, 마감품질 등 모든 분야에서 큰 성장을 했다. 독일차를 능가하는 품질의 프랑스차가 한국에선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기대가 된다. - 전승용 기자 : 폭스바겐 제타 1.6 블루모션 폭스바겐의 준중형 세단인 제타 1.6 블루모션은 22.2km/l, 2.0 TDI는 18.0km/l라는 동급 최고 수준의 연비를 달성했다. 게다가 성능 좋기로 유명한 폭스바겐 파워트레인은 주행 능력도 우수하다. ◆ 탑라이더의 ‘이달의 차’ : 현대기아차 쏘나타·K5 하이브리드 3가지 차종을 놓고 경합을 벌인 가운데, 최종 선택한 것은 현대기아차의 신형 하이브리드 차다. 국내 최초 풀하이브리드카에 기대하는 것은 적지 않다. 남들의 것을 따르던 국내 메이커들의 자세가 이제는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전환점이 된다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외국 메이커는 기술을 추구하면서 구입비용 등 경제성을 등한시 한 경우도 있는데, 현대기아차는 철저히 경제적 관점으로 접근했으며 기술적 완성도가 뛰어나 인기도 높다. 하이브리드카를 만들었다는 사실보다 오히려 과감하게 토크컨버터를 삭제하고 전기모터를 이용한 자동변속기 등 부수적으로 얻은 기술 향상이 더 큰 의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