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에 출시되는 국내외 하이브리드 자동차

2011년에 출시되는 국내외 하이브리드 자동차

발행일 2010-12-17 10:10:08 김상영 기자

고효율, 고연비의 친환경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이 날로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2011년에는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출시가 더욱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구동방식도 다양해져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더욱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하이브리드

국내에서 생산되는 하이브리드 차량 중 최초로 순수 전기차 모드로 주행이 가능한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차량인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세계 최초로 개발된 병렬형 하드타입 하이브리드 시스템인 ‘블루 드라이브’가 적용되었다. 이로써 현대자동차는 자신만의 독자적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춘 회사가 되었다. ‘블루 드라이브’는 작은 모터의 용량으로도 좋은 성능을 발휘하며 효율적인 면에서 매우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쏘나타 하이브리드’에는 니켈수소 배터리가 아닌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는 기존의 니켈수소 배터리보다 출력밀도와 에너지밀도가 높으며 중량도 가벼워 연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2.4ℓ 세타Ⅱ 하이브리드 엔진과 6단 하이브리드 전용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고, 171마력의 엔진출력과 41마력의 전기모터(30kW) 출력으로 212마력의 출력을 낸다. 순수 전기차 모드로 100km까지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연비는 리터당 15.7km~ 16.5km 정도이다.

▲ 현대자동차의 쏘나타 하이브리드

기아자동차의 K5 하이브리드

기아자동차도 중형급 세단 ‘K5’에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장착한 ‘K5 하이브리드’를 출시한다. ‘K5 하이브리드’에도 기존 도요타와 GM이 사용하는 복합형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달리 ‘쏘나타 하이브리드’와 같은 병렬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했다.
외관은 라디에이터 그릴과 안개등에 고휘도 실버 소재를 적용하고 5홀 16인치, 17인치 전용 알루미늄 휠을 장착해 기존 K5와 차별화했고 실내에는 4.2인치 슈퍼비전 클러스터를 장착해 에너지 흐름 상태와 동력원 상태, 연료와 배터리 충전 상태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게 하였다.
‘K5 하이브리드’는 168마력을 내는 하이브리드 전용 세타Ⅱ 2.4ℓ 엔진과 41마력의 30kW급 전기 모터를 탑재했다. 하이브리드 전용 6단 자동변속기를 장착했으며 가볍고 성능이 우수한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다. 연비는 리터당 15.3km~ 17km 정도이다.

▲ 기아자동차의 K5 하이브리드
 
렉서스의 CT200h

도요타의 렉서스는 렉서스 최초의 해치백이면 첫 엔트리카급 하이브리드 차량인 ‘CT200h’를 국내 출시한다. 전통적으로 럭셔리 브랜드를 지향하는 렉서스에서 엔트리카급 하이브리드 차량을 내놓은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또한 세단이 아닌 해치백모델을 선보인 것도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NORMAL, ECO, SPORT, EV의 4가지 주행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NORMAL 모드에서는 엔진의 에너지를 전기모터에 저장하는 비중이 높고 ECO 모드에서는 엔진보다는 전기모터 자체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다. SPORT 모드에서는 파워풀한 주행감과 핸들링을 느낄 수 있고, EV 모드에서는 순수하게 전기모터로만 주행을 할 수 있다.
98마력의 고효율 1.8ℓ VVT-i 엔진과 80마력의 전기모터는 0km →100km 까지 10.3초의 높은 가속력을 자랑한다. 연비는 리터당 26.3km 이다.

▲ 렉서스의 CT200h

푸조의 3008 HYbrid4

2011년 국내에 출시될 푸조의 ‘3008 HYbrid4’는 세계 최초의 양산형 디젤 하이브리드 차량이다. 가솔린 엔진에 비해 연료 효율성이 뛰어난 디젤엔진을 사용하여 같은 배기량의 가솔린엔진보다 연료 효율성이 약 30%가량 더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3008 HYbrid4’의 하이드리드 시스템은 전륜에는 디젤엔진과 후륜에는 전기모터가 병렬식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가동하여 4륜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3008 HYbrid4’은 오토(Auto), ZEV(Zero Emission Vehicle), 4륜구동(4WD), 스포츠(Sport)의 4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2.0ℓ HDi 디젤엔진은 163마력의 출력을 내며 전기모터는 37마력의 출력을 낸다. 뛰어난 디젤엔진의 효율로 연비는 리터당 26.3km에 달한다.

▲ 푸조의 3008 HYbrid4

혼다의 CR-Z

혼다는 2010년 ‘올해의 일본차’로 선정된 하이브리드 스포츠카 ‘CR-Z‘를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2도어 쿠페 형태의 파격적인 디자인을 자랑하는 ‘CR-Z‘는 1.5L i-VTEC 엔진과 혼다만의 독창적인 하이브리드 시스템인 IMA (Integrated Motor Assist)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최고출력 122마력, 최대토크 17.7kg·m의 성능을 갖고 있으며 일본기준 25.0km/L(CVT 모델)의 공인연비를 기록했다.
아울러 이 차는 일반 주행에 적합한 ‘노멀’(Normal)과 역동적인 주행을 즐길 수 있는 ‘스포트’(Sport), 연비 향상에 중점을 둔 ‘에콘’(Econ) 세 가지 주행 모드를 제공한다.

▲ 혼다의 CR-Z

현재 하이브리드 차량의 전체 승용차 점유율은 2%가량에 불과하다. 전 세계적으로 100만대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나마 판매의 대부분은 일본에서 이루어졌다. 미국과 유럽에서도 하이브리드 차량보다 기존 내연 기관의 차량이 인기가 더 많다. 이러한 현상은 고효율 고연비의 가솔린, 디젤 차량이 많이 출시된 것과 하이브리드 차량의 가격이 기존의 차량보다 월등히 비싼 점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가격에 경쟁력이 좋아지고 보다 다양한 차량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적은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해 자동차세를 30% 감면하는 방안을 추진 중에 있어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상영 기자 young@top-rider.com <보이는 자동차 미디어, 탑라이더(www.top-rider.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볼보 ES90 국내 출시 임박, 세단+SUV..647km 주행

볼보 ES90 국내 출시 임박, 세단+SUV..647km 주행

볼보 ES90이 국내 투입된다. 볼보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ES90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 중 공식 출시되며, 일부 딜러사는 현재 비공식 사전예약을 진행하고 있다. ES90은 볼보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SUV의 장점이 결합됐으며, WLTP 기준 최대 647km를 주행한다. ES90은 볼보의 새로운 플래그십 전기차다. ES90은 세단과 SUV 장점이 결합된 독특한 세그먼트로 자리 잡았다. ES90은 호주와 영국을 시작으로 올해 말 글로벌 출고가 시작된다. 국내에는 이르면 내년 상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PV5 택시 전용 디스플레이 출시, 올인원으로 편의성 '업'

기아 PV5 택시 전용 디스플레이 출시, 올인원으로 편의성 '업'

기아는 PV5를 기반으로 한 택시 영업 특화 사야인 '올인원 디스플레이2(All-in-One Display2)'를 16일 공개했다. 올인원 디스플레이2는 택시 영업에 필수적인 기능을 12.9인치 디스플레이에 통합해 제공하는 PV5 택시 전용 옵션이다. 옵션 가격은 37만원이다. 올인원 디스플레이2는 택시 기사용앱(카카오 T), 내비게이션 앱(카카오내비), 미터앱(티머니모빌리티/이동의즐거움) 등 택시 영업에 필수적인 기능을 12.9인치 디스플레이에 통합해 제공하는 PV5 택시 전용 옵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bZ7 세단 공개, 그랜저보다 큰 전기차..화웨이 탑재

토요타 bZ7 세단 공개, 그랜저보다 큰 전기차..화웨이 탑재

토요타는 bZ7 세단을 15일 공개했다. bZ7 세단은 토요타와 합작 투자 파트너인 중국 GAC가 함께 개발한 플래그십 세단으로 스포티한 실루엣과 브랜드 최신 패밀리룩이 적용된 전면부가 특징이다. 화웨이에서 전기모터와 OS 등을 제공한다. 올해 말 공식 출시된다. bZ7 세단은 토요타와 중국 광저우 자동차 그룹(GAC)가 합작 설립한 GAC 토요타에서 개발한 플래그십 세단이다. 토요타는 올해 말 bZ7 세단의 판매를 시작할 예정인데, 중국 외 지역 출시 계획은 공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GMC 아카디아 국내 출시 예고, 팰리세이드 정조준

GMC 아카디아 국내 출시 예고, 팰리세이드 정조준

GMC 신형 아카디아(Acadia)가 국내 투입될 전망이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한국GMC는 최근 신형 아카디아의 인증을 완료,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신형 아카디아는 쉐보레 트래버스의 형제차로 외관 및 실내의 고급스러움이 강조됐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GMC는 프리미엄 픽업트럭 및 SUV 전문 브랜드로 한국 시장 런칭 이후 시에라 단일 모델만 판매해왔다. 한국지엠 관계자는 지난 4월 탑라이더와의 인터뷰에서 한국GMC 국내 라인업 확장을 고려하고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 2026년형 출시, 가격은 6327~9780

기아 카니발 하이리무진 2026년형 출시, 가격은 6327~9780

기아는 2026년형 카니발 하이리무진을 출시한다고 15일 밝혔다. 2026년형 카니발 하이리무진은 편의사양을 강화해 고급감을 높이고 신규 트림 운영으로 고객의 선택 폭을 넓힌 것이 특징이다. 파워트레인은 가솔린과 하이브리드로 운영된다. 가격은 6327만원부터다. 2026년형 카니발 하이리무진 가격은 3.5 가솔린 9인승 노블레스 6327만원, 시그니처 6667만원, 7인승 시그니처 6891만원, 4인승 시그니처 9330만원, 1.6 터보 하이브리드 9인승 노블레스 6782만원, 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쉐보레 신형 볼트 EV 선공개, LFP 배터리 탑재..세련된 외관

쉐보레 신형 볼트 EV 선공개, LFP 배터리 탑재..세련된 외관

쉐보레 신형 볼트 EV가 선공개됐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GMAuthority에 게재된 신형 볼트 EV는 부분변경으로 기존 볼트 EUV를 기반으로 한다. 신형 볼트 EV는 세련된 전면부 디자인을 특징으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탑재가 예정됐다. 올해 하반기에 공개된다. 볼트 EV는 지난 2017년 첫 출시 이후 2023년 생산 중단과 함께 미국, 한국 등에서 순차적으로 단종됐다. 쉐보레는 소형 전기차에 대한 꾸준한 수요를 확인, 신형 볼트 EV의 올해 말 생산 및 출시를 확정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쏘렌토 하이브리드, 5천만원에 모든 것을 담았다

[시승기] 쏘렌토 하이브리드, 5천만원에 모든 것을 담았다

기아 쏘렌토 하이브리드 2WD를 시승했다. 쏘렌토 하이브리드는 적당한 크기와 실내공간, 상품성에 하이브리드를 통한 경제성까지 더해져 국민 SUV로 자리매김 했다. 매년 꾸준히 오르는 가격으로 인해 저항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5천만원 미만에서 구입 가능한 최적의 선택지다. 기아 쏘렌토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SUV다. 현행 모델은 4세대 쏘렌토 부분변경(MQ4 PE) 모델로 2023년 8월 출시됐다. 전후면 램프류 디자인을 변경하고, ccNC와 OTA, 파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카니발 하이브리드, 대형 SUV 위협하는 상품성

[시승기] 카니발 하이브리드, 대형 SUV 위협하는 상품성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 9인승을 시승했다.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연비와 정숙성을 함께 만족하는 모델로, 비교적 높은 가격에도 인기가 좋아 카니발 디젤의 단종을 앞당긴 것으로 평가된다. SUV를 선호하는 트렌드와 대형 SUV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다인승 이동시 편의성은 독보적이다. 기아는 카니발 부분변경(KA4 PE)을 지난 2023년 11월, 하이브리드는 12월 출시했다. 사전계약에서 90%의 고객이 하이브리드를 선택하며, 출고 대기가 1년을 넘어서기도 했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90 쿠페 양산되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

제네시스 G90 쿠페 양산되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

제네시스가 G90 쿠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X Gran coupe concept)의 실차 이미지와 영상을 추가로 공개해 주목된다. 이탈리아 동부 마르케 지역에서 촬영된 이번 콘텐츠를 통해 엑스 그란 쿠페가 단순히 목업 차량이 아닌, 실제로 구동계가 탑재된 실차임을 보여줘, 양산 가능성을 높였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2015년 11월 브랜드 론칭시 예고한 6개 모델 라인업에 '니어 럭셔리 스포츠 쿠페'를 포함하는 등 쿠페형 모델 출시에 대한 계획이 있었다. 이후 2016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