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토요타 알파드, 2열 승차감과 정숙성에 올인

[시승기] 토요타 알파드, 2열 승차감과 정숙성에 올인

발행일 2023-09-21 18:51:07 김한솔 기자

토요타 알파드 하이브리드를 시승했다. 알파드 하이브리드는 프리미엄 미니밴으로 마사지 기능이 포함된 2열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시트 등 탑승객의 편의가 극대화됐다. 특히 2열 시트 착좌감과 2열에서 느껴지는 승차감은 최상급이다. 반대로 1열 진동과 편의사양은 아쉽다.

2002년 탄생한 알파드는 세대를 거듭하면서 럭셔리한 라이프 스타일에 최적화된 미니밴으로 업그레이드됐다. 알파드는 일본 내수 시장에서 연간 10만대, 중국과 동남아 등 수출로 5만대가 판매되고 있다. 이번에 국내에 투입된 알파드는 지난 6월 공개된 4세대 풀체인지다.

알파드 국내 사양은 2열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시트가 포함된 최상위 트림 하이브리드 단일로 운영된다. 가격은 9920만원이다. 알파드는 현재 올해 수입이 예정된 약 500대가 모두 완판된 상태로 신규 계약시 내년 상반기까지 대기해야 한다. 보증기간은 총 5년/10만km다.

4세대 알파드는 ‘쾌적한 이동의 행복’과 최고의 환대를 의미하는 ‘오모테나시’를 콘셉트로 개발됐다. 알파드 개발 책임자는 “알파드로 쇼퍼드리븐은 세단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자 한다. 특별한 공간의 가치를 아는 VIP나 프라이빗함을 원하는 고객을 공략한다”라고 말했다.

신형 알파드는 TNGA-K 플랫폼을 기반 차체 크기는 전장 5005mm, 전폭 1850mm, 전고 1955mm, 휠베이스 3000mm다. 카니발이나 스타리아 등 국산 미니밴과 비교해 좁은 폭으로 주차 등이 비교적 쉬운데, 전반적인 스탠스와 프로포션은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신형 알파드는 환형 골격 구조와 직선형 사이드실 가드, 스포츠카에서 주로 쓰이는 V자형 리어 멤버 브레이스 등으로 이전 세대보다 보디 강성이 50% 향상됐다. 불필요한 공간이 없도록 최대한 고려해 설계된 실내는 탑승객에게 넓은 공간감과 다양한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신형 알파드 시승은 2열 탑승과 직접 운전으로 진행됐다. 신형 알파드의 전반적인 승차감은 탄탄한데, 1열과 2열 고급감 및 NVH 차이가 명확해 차량의 성격을 드러낸다. 2열 고급감과 NVH는 독일 플래그십 세단 수준인데, 운전석과 조수석은 일반적인 토요타 차량 감각이다.

2열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시트는 토요타 최초로 등받이와 암레스트에 저반발 메모리 폼 소재가 도입됐다. 방진 마운트로 시트와 바닥 레일을 연결하는 등 시트를 통해 탑승객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했다. 실제로 요철과 같은 큰 진동 외에 작은 진동은 느끼기 어렵다.

과속방지턱을 4~60km/h로 통과해도 불편한 충격을 전달하지 않는다. 주행중 노면에서 올라오는 진동도 아주 적다. 발에서 느껴지는 진동은 거의 없는 수준이다. 참고로 2열 시트 진동 레벨은 사람이 가장 불쾌하게 느끼는 10~15Hz의 1/3로 유럽 세단에 근접한 수치다.

2열 이그제큐티브 라운지 시트는 앞뒤로 최대 480mm 슬라이딩이 가능한데, 단계별 슬라이딩 폭이 길고 움직이는 속도도 빠르다. 마사지 기능은 전문 안마 의자와 유사한 강도로 시원하다. 강도는 2단계로 선택할 수 있다. 암레스트 폴딩 테이블은 회전, 거울 등을 지원한다.

3열 공간을 포기하면 2열에서 누워 쉴 수 있다. 다만 트렁크 추가 공간 확보를 위해 3열 시트가 좌우로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2열 시트 등받이 조절에 한계가 있다. 2열에서는 급가속시 발생하는 엔진음, 고속 주행 풍절음, 후륜 휠 하우스 잡소리 등 유입이 상당히 적다.

2열 승하차는 슬라이딩 도어 가동 범위를 넓히고 620mm 롱그립을 추가하는 등 이전 세대보다 개선됐다. 차세대 루프 공조 시스템은 2열 좌우 온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은 물론 선루프도 각각 작동시킬 수 있다. 2열 14인치 디스플레이 및 터치 스크린 컨트롤러가 제공된다.

알파드의 운전석 시트 포지션은 높은 편에 속한다. 상당한 크기의 A필러 삼각창과 탁 트인 전방 시야가 만족스럽다. 1열 시트는 통풍 및 열선만 지원한다. 요추 지지대 등은 없고 등받이 각도와 앞뒤/높낮이 조절만 가능하다.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은 1열에만 적용됐다.

알파드 하이브리드는 2.5리터 직렬 4기통 앳킨슨 사이클 엔진(D-4S)과 전기모터, E-Four 사륜구동 시스템, 무단변속기(e-CVT) 등이 조합돼 합산 총 출력 250마력, 최대토크 27.5kgm를 발휘한다. 복합연비는 13.5km/ℓ다. 하이브리드 배터리는 1열 시트 하단에 배치됐다. 

알파드 하이브리드의 발진 가속감은 무난하다. 경쾌하진 않지만 답답하지도 않다. 자동차 전용 도로나 도심에서는 출력에 대한 부족함을 느끼기 어렵다. 고속도로에서 110km/h 주행중 선행차 추월을 위한 재가속시 펀치력은 아쉬운데, 출력을 짜내면서 꾸준히 속도를 높인다.

풀가속 상황에서 소음과 진동은 2열과 크게 차이난다. 바닥은 물론 스티어링 휠과 가속 페달 등으로 진동이 전달되고 카랑카랑한 엔진음도 크다. 토요타 관계자는 “1열에서 엔진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2열과는 차이가 조금 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알파드 하이브리드는 토요타답게 EV 모드 전환 혹은 엔진 개입 과정이 매끄럽다. EV 모드 주행 중 급가속시 엔진이 개입하며 울컥거리는 현상도 없다. 고속 항속 주행에서도 순간순간 EV 모드로 전환된다. 주행모드는 에코와 노말뿐인데, 모드 간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렵다. 

신형 알파드에는 주파수 감응형 쇼크업 소버가 탑재됐다. 기존에는 밸브가 1개였지만, 신형은 밸브가 3개로 늘었다. 잔진동을 흡수하고 움직임과 충격 흡수력 등을 조절한다. 피치 보디 컨트롤은 노면 굴곡으로 인한 상하 진동을 최소화한다. 덕분에 주행감은 상당히 안정적이다.

높은 전고 대비 전폭이 좁은데도 연속된 코너에서 차체 좌우 롤링 현상, 고속 코너에서 한쪽 쏠림 현상이 적다. 코너 한계점도 생각보다 높다. 코너 탈출시에는 후륜이 강하게 밀어준다. 다만 6~70km/h에서 순간적으로 좌우 무게를 이동시키면 조금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

알파드 하이브리드 제동력은 만족스럽다. 2.3톤에 달하는 공차중량을 제어하는데 문제 없다. 브레이크 페달 답력은 단단한 편에 속한다. 누적연비는 약 23km의 와인딩 구간이 포함된 총 77km 시승에서 10.3km/ℓ를 기록했다. 100km/h 항속 주행에는 13.3km/ℓ로 표시됐다.

알파드의 차선 유지 보조와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거리 조절 성능은 만족감이 높다. 실시간 교통 정보가 반영되는 내비게이션은 막히는 길을 피해 지름길을 안내하기도 한다. 무선 애플 카플레이를 지원한다. 2열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 부재는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알파드는 2열 승차감과 NVH, 고급감 등이 올인된 성격이 명확한 차량이다. 운전기사가 있거나 2열에 탑승하는 가족이 편안한 것을 원하는 소비자에게 추천할 만하다. 카니발 혹은 스타리아 리무진과 비교시 고급감은 분명 한 수 위다. 다만 트렁크 활용성은 조금 아쉽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