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BMW XM, 653마력만큼 놀라운 2열 거주성

[시승기] BMW XM, 653마력만큼 놀라운 2열 거주성

발행일 2023-03-29 03:46:11 이한승 기자

BMW 뉴 XM을 시승했다. XM은 BMW가 처음 선보인 M 전용 SAV 모델로, 향후 출시될 친환경 고성능차에 대한 예고편으로도 보여진다. 8기통 엔진과 전기모터가 조합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은 성능과 연비를 함께 만족하며, 2열 거주성은 최상급에 속한다.

BMW의 모델 라인업 확장은 XM이라는 새로운 모델로 이어졌다. BMW는 럭셔리 브랜드 중 이미 가장 다양한 모델 구성을 갖는 브랜드 임에도, M 브랜드를 독자적으로 분리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준다. BMW, 미니, 롤스로이스, 그리고 BMW M과 BMW i를 만들어가는 중이다.

XM의 등장은 M 브랜드 50주년을 기념한 것으로 알려졌다. BMW가 미드십 스포츠카 M1을 1978년 선보인 이후 선보인 첫 번째 M 전용 모델이라는 점에서 MX의 가치가 돋보인다. BMW XM에는 V8 엔진과 8단 변속기 통합형 전기모터 조합의 M 하이브리드가 적용된다.

BMW XM(653마력, 2억2190만원)의 경쟁 모델로는 람보르기니 우루스 S(666마력, 2억9천만원), 포르쉐 카이엔 터보 GT(650마력, 2억4680만원), 아우디 RS Q8(600마력, 1억7922만원)이 거론된다. 다른 경쟁 모델이 내연기관 구성인 것과 달리 XM은 PHEV 파워트레인이다.

XM의 외관은 존재감이 강조된 디자인이다. 전장 5110mm, 전폭 2005mm, 전고 1755mm, 휠베이스 3105mm의 차체는 X5나 X6 보다 크고, 3열 모델인 X7과 휠베이스가 동일하다. 이렇게 거대한 차량을 M 전용 모델로 출시한 배경이 궁금한데, 크기는 우루스와 유사하다.

전면부는 아이코닉 글로우 조명이 적용된 거대한 키드니 그릴이 분위기를 주도한다. 그릴과 윈도우 그래픽에 적용된 골드 포인트는 과한 느낌도 든다. 미국 사양의 경우 블랙 하이그로스가 기본으로, 골드 포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올 블랙 사양 XM 외관의 포스가 대단하다.

후면에서는 중앙부 BMW 엠블럼이 삭제되고, 리어 윈도우 좌우 상단부에 각인되는 형태다. 레이저 커팅된 방식으로 벗겨질 위험은 없다. 세로로 배치된 쿼드 머플러팁이 멋스럽다. 양쪽 머플러팁에 가변플랩이 위치해 모드 설정이나 버튼을 통해 배기음을 증폭할 수 있다.

실내는 익숙하면서도 새로운 고급감이 전달된다. 수평형 대시보드에는 12.3인치 계기판과 14.9인치 디스플레이가 통합된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위치한다. 실버 스톤과 딥 라군 컬러가 적용된 시승차에는 추가 옵션인 인디비투얼 메리노&익스클루시브 콘텐츠가 추가됐다.

바워스&윌킨스 서라운드 시스템은 유튜브 블루투스 연결에서는 본연의 맛이 살아나지 않는다. 하지만 데모 사운드의 공간감은 역시나 대단하다. 그 밖에 소프트 클로징, 1열 마사지 시트가 제공된다. 파킹 어시스턴트 플러스의 동작을 보면 BMW는 자동 주차에 진심이다.

XM에는 4.4리터 V8 M 트윈터보와 전기모터 통합형 8단 변속기가 포함된 하이브리드 전용 M xDrive가 적용된다. 엔진 최고출력 489마력, 최대토크 66.3kgm, 전기모터는 197마력, 28.6kgm를 더해 합산 653마력, 81.6kgm다. 복합연비는 10.0km/ℓ(도심 9.6, 고속 10.4)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로 29.5kWh 배터리팩을 통해 62km 전기모드 주행이 가능하다. AC 완속충전에는 4.2시간이 소요된다. 100km/h 정지가속은 4.3초, 최고속도 250km/h로 다소 평범한데, 748마력, 102kgm의 XM 라벨 레드가 2023년 가을 출시를 앞두고 있다.

XM의 일상주행 승차감은 단단하면서 경쾌한 감각이다. 기본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엄청난 무게감을 전하는 타입은 아니다. 카이엔 터보 GT나 아우디 RS Q8과도 유사한 감각이다. 컴포트 모드나 스포츠, 스포츠 플러스 모드의 차이는 느껴지지만 완전히 단단해지지 않는다.

고성능 모델임에도 이런 승차감은 어댑티브 M 서스펜션 뿐만 아니라 48V 액티브 롤 스태빌라이제이션과 후륜조향까지 지원하는 자신감 때문이다. 일부 패널에 플라스틱을 적용했음에도 공차중량은 2750kg에 달하는데, 다양한 섀시 장비를 통해 민첩한 움직임이 가능하다.

주행모드는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일렉트릭, e컨트롤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일렉트릭은 전기만으로 주행을, e컨트롤은 배터리 유지모드다. 하이브리드 모드에서는 전기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독특한 설정으로는 전기만으로 주행하는 상황에서도 전자 사운드를 연출한다.

가속페달을 강하게 다루면 8기통 엔진이 깨어나며 잔잔한 배기사운드를 들려준다. 고회전으로 갈수록 터프한 배기음을 만들어내는데, 시승차는 주행거리 부족으로 4000rpm 초반에 회전 리밋이 걸려있다. 최고출력 구간이 5400~7200rpm임을 고려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고성능 모델인만큼 제조사에서 엔진 길들이기 주행거리까지의 엔진 고회전을 제한해 내구성을 확보하는 부분도 재밌는 구성이다. 엔진 회전과 출력이 제한됐다고는 하지만 풀가속에서 속도를 높여가는 속도는 만만치 않다. 초고속에서의 안정감은 이런 차급에서 당연하다.

고속에서 빠른 차선 변경시 거동은 작은 차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감각이다. 실시간으로 롤을 억제하면서 후륜이 조향하는데, 타이어는 전장 275, 후방 315의 하이그립 구성이다. 도로 여건만 허락된다면 엄청난 폭군이 될 구성이다. 제동시 감각은 PHEV 보다 M에 가깝다.

XM에서 의외로 만족스러운 부분은 2열 거주성이다. 등받이 조절도 없고 암레스트에는 컵홀더만 위치하지만, 시트 방석의 안락함이 기존 양산차와는 확연히 다르다. 시트의 디자인과 안락함 기준으로는 신형 7시리즈를 앞선다. BMW는 XM의 2열을 M 라운지라고 부른다.

BMW XM은 M 브랜드를 통한 BMW의 다양한 시도가 엿보이는 모델이다. 전기모터가 포함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구성의 고성능 모델, 여기에 고성능 모델로는 이례적인 2열 공간의 거주성은 BMW가 M 브랜드를 통해 정의하고픈 새로운 고성능차의 미래가 담겨져 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