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기아 니로 EV, 저온 주행거리와 바꾼 히터 성능

[시승기] 기아 니로 EV, 저온 주행거리와 바꾼 히터 성능

발행일 2022-06-16 07:41:19 김한솔 기자

기아 신형 니로 EV를 시승했다. 신형 니로 EV는 신형 니로 하이브리드 기반의 전기차로 1회 완충시 401km를 주행할 수 있다. 신형 니로 EV는 저온 주행거리 강화 대신 히터 성능이 향상됐다. 하이브리드와 비교해 부드럽고 좋은 승차감이 특징이다. 롤링은 다소 아쉽다.

니로는 기아의 대표적인 친환경차 전용 라인업이다. 국내 기준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만 운영된다. 신형 니로 EV의 세부 가격은 개소세 3.5% 및 친환경차 세제 혜택 적용 기준 에어 4640만원, 어스 4910만원으로 각각 50만원, 120만원 올랐다. 국고보조금은 700만원이다.

에어 트림 기준 국고보조금과 각 지자체별 보조금을 더하면 실구매 가격을 3000만원대로 낮출 수 있다. 시승차는 선루프, 빌트인캠이 포함된 풀패키지로 가격은 5298만원이다. 신형 니로 EV에는 64.8kWh 용량의 배터리가 얹어졌다. 1회 완충시 주행거리는 복합 401km다.

환경부 기준 상온 주행거리는 404km, 저온 주행거리는 303km다. 1세대 니로 EV와 비교해 상온 주행거리는 19km 늘어났지만, 저온 주행거리는 45.5km 줄었다. 신형 니로 EV는 히트펌프 시스템이 기본 사양임에도 불구하고 저온 주행거리가 상온 대비 20% 이상 떨어진다.

이에 대해 기아 제품 관계자는 ‘기존 니로 EV는 겨울철 영하의 추운 날씨에서 히터에서 따뜻한 바람이 나오지 않는다는 고객 의견이 많았다. 저온 주행거리를 포기하고 히터 성능을 최대로 높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저온 인증은 히터를 최대로 가동하고 진행된다’라고 밝혔다.

또한 ‘겨울철에 히터 온도를 아주 높게 사용하지 않는다면, 기존 니로 EV 수준의 저온 주행거리를 보여줄 것이다’라고 전했다. 신형 니로 EV 배터리는 100kW급 고속 충전기 사용시 10->80% 충전까지 약 45분이 소요된다. 실외 V2L 커넥터와 실내 V2L 콘센트가 적용됐다.

신형 니로 EV의 복합전비는 5.3km/kWh(도심 5.9, 고속 4.8)다. 시승은 도심과 고속도로, 와인딩 주행이 포함된 96km 구간으로 진행됐다. 시승 대부분을 회생제동 사용 없이 스포츠 모드로 주행했음에도 높은 효율을 보였다. 완충 상태에서 시승후 배터리는 26%가 줄었다.

주행 가능 거리는 시승전 401km에서 시승후 288km로  123km 감소했다. 누적연비는 5.2km/kWh를 기록했다. 원페달 드라이빙 기능인 i-PEDAL을 포함한 회생제동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스포츠 모드 주행 빈도를 낮추면 복합 주행거리보다 더 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신형 니로 EV의 전기모터 최고출력은 201마력, 최대토크는 26kgm다. 1세대 니로 EV의 최대토크(40.3kgm)와 비교해 14.3kgm 줄었다. 기아 제품 관계자는 '기어비가 변경돼 기존 니로 EV와 가속 성능은 같다. 특히 신형 니로 EV는 고속 가속 성능이 개선됐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가속감은 1.6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이 얹어진 기아 내연기관 모델과 유사하다. 신형 니로 EV의 초반 발진 가속감은 일반적인 전기차와 다르게 폭발적이지 않다. 그러나 100km/h 이상에서도 꾸준하게 가속하며, 와인딩 오르막 구간서도 부족함을 느끼기 어렵다.

순간적인 발진 가속감은 정지상태에서보다 7~80km/h 구간이 더 좋다. 100km/h 정속 주행에서 선행차량 추월을 위한 재가속시 펀치력도 1.6 터보 엔진 수준이다. 신형 니로 EV는 주행모드 보다는 회생제동 단계에 따라 가속감에 차이가 난다. 총 4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회생제동 OFF와 1단계는 내연기관 모델과 유사한 감각인데, 2단계부터는 가속이 확실히 더디다. 원페달 드라이빙 i-PEDAL(4단계)은 브레이크 페달을 일부 밟고 가속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 내리막에서 회생제동량이 극대화된다. 완전 정차도 가능해 정체 구간에서 유용하다.

신형 니로 EV의 승차감은 물렁물렁하고 부드럽다. 탄탄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신형 니로 하이브리드와는 다른 셋업이다. 배터리 무게를 고려한 설정으로 판단된다. 신형 니로 EV는 요철이나 고르지 못한 노면을 저속 혹은 고속으로 통과해도 운전자에게 충격을 전달하지 않는다.

속도가 높아질수록 차체가 낮게 가라앉는 감각은 운전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물렁물렁한 승차감에도 범프 구간 통과시 차체 상하 움직임이 부담스럽지 않다. 서스펜션의 가동 범위도 적절해 차체가 바닥에 닿을 듯한 느낌이 없다. 와인딩 주행에서는 다소 불안한 모습이다.

연속된 코너에서 차체 좌우 롤링 현상이 일부 발생한다. 특히 와인딩 내리막 주행에서 앞뒤 무게 이동이 부자연스러워 거동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차체 하단 배터리팩의 무게가 그대로 느껴진다. MDPS 스티어링은 R-MDPS 타입과 비교해 조작시 이질감과 유격이 느껴진다.

즉각적인 반응성과 스티어링 휠 조작 일체감이 다소 떨어진다. 신형 니로 EV의 정숙성은 일반적인 소형 SUV와 비교해 우수하다. 시승 당일 비바람이 몰아치는 날씨에서도 풍절음과 노면 소음 등이 효과적으로 차단됐다. 다만 110km/h 이상에서는 풍절음이 일부 유입된다.

신형 니로 EV의 외관은 기아 시그니처인 타이거 페이스 디자인이 보닛에서 측면 펜더까지 확장돼 독특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하이브리드의 전면부 그릴은 매끈한 반면, EV는 무광과 유광을 조합한 투톤 그릴에 육각형의 입체적 패턴이 삽입됐다. 충전구는 그릴에 배치됐다.

전면부 및 후면부 범퍼에 차체와 같은 컬러를 확대 사용함으로써 하이브리드 대비 깔끔한 인상이다. 전용 17인치 휠이 탑재됐다. 타이어는 금호 Solus TA 31 EV 혹은 넥센 N’Priz S다. C필러 컬러 가니쉬는 옵션으로 가격은 20만원이다. 전면부 트렁크 용량은 20ℓ다.

트렁크 용량은 475ℓ다. 실내에는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가 하나로 연결된 와이드 디스플레이, 다이얼 전자식 변속기(SBW), 친환경 마감 소재 등이 적용됐다. 신형 니로 하이브리드에서 발생된 전면부 유리 대시보드 반사 현상은 날씨가 좋지 못해 확인할 수 없었다.

신형 니로 EV는 도심과 고속도로 등 일반 주행에 최적화됐다. 부드러운 승차감과 다양한 편의 사양, 활용성이 높은 V2L까지 갖췄다. 다이내믹한 주행을 즐기는 소비자에게는 추천하지 않지만, 니로는 1세대부터 무난함이 강점이었다. 2세대는 그 강점이 더 강화된 모습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