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카니발 2022, 7인승 가솔린을 주목할 이유들

[시승기] 카니발 2022, 7인승 가솔린을 주목할 이유들

발행일 2021-12-02 00:13:06 이한승 기자

기아 카니발 가솔린 7인승을 시승했다. 7인승+가솔린 조합은 9인승+디젤의 일반적인 선택과 비교시 여유로운 적재공간과 정숙성이 돋보이는 구성이다. 가솔린 모델의 장거리 누적 실연비는 9km/ℓ 수준으로, 주말 여행용으로 이용시 9인승 디젤보다 매력적인 구성이다.

카니발은 미니밴 대표 모델로 지난 4월 현대차 스타리아의 판매가 시작됐음에도 판매량은 건재하다. 스타리아의 본격적인 출고가 시작된 지난 5월부터 11월까지 국내 판매량은 스타리아 2만3826대, 카니발 3만5498대다. 특히 2021년 기아 내수 베스트셀링카가 유력하다.

4세대 카니발은 2020년 8월 출시된 모델로 여전히 신선한 내외관 디자인을 보여준다. 슬림한 등화류를 통한 세련된 분위기를 강조한 전후면, 강화된 운전보조장치, 전동식 트렁크, 2열 파워 리클라이닝 시트 도입 등 다양한 수요를 위한 고급화가 이뤄졌지만 가격도 올랐다.

다만 풀체인지를 통해 차체를 키우며 전폭이 2미터에 가까운 1995mm로 늘어나 자동세차가 쉽지 않아졌다. 이는 스타리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승합차로 분류되는 미니밴의 손세차 비용이 만만치 않은 수준임을 고려하면 운전자 입장에서 커진 차체가 반갑지만은 않다.

신형 카니발의 차체는 전장 5155mm, 전폭 1995mm, 전고 1740mm, 휠베이스 3090mm로 제네시스 G90 대비 전장 50mm, 휠베이스 70mm 작아 국산 승용차로는 3번째로 긴 차체다. 스타리아와 비교하면 스타리아가 전장 100mm, 전고 250mm, 휠베이스 185mm 크다.

실내는 파노라마 디스플레이를 적용하며 대시보드가 낮아져 전방 시야가 좋아졌다. 얇아진 공조장치 조작부는 터치와 물리 버튼을 함께 사용하는데, 시각적으로는 구분되지 않아 직관적인 조작성은 떨어진다. 전자식 변속 다이얼(SBW)은 제네시스의 것을 그대로 가져왔다.

실내 장(가속페달부터 3열까지)은 기존 3세대 대비 98mm 늘어나 1열 13mm, 2열 20mm, 3열 49mm가 늘어났다. 반면 시트는 단단해진 감각으로 장거리 여행시 안락함은 오히려 반감됐다. 2022년형부터 7인승도 2열 일반 시트가 선택 가능한데, 가격표에서는 사라졌다.

7인승 모델의 2열 프리미엄 릴렉션 시트는 전동으로 동작하고, 크고 안락한 디자인은 강점이나 폴딩을 지원하지 않아 활용성면에서는 떨어진다. 벤치형 3열로 인해 7인 탑승이 가능한 점이나, 9인승에서 활용도가 떨어지는 4열 시트 대신 깊은 트렁크를 제공해 여유롭다.

개인적으로는 2열 벤치형 시트를 통해 8인승 모델을 출시하는 것을 희망한다. 실제 여행에서 두 가족이 장거리 이동시 8인 승차가 필요한 경우, 7인승은 좌석 수가, 9인승은 적재공간이 없어 애매한 경우가 있다. 9인승 모델로 4열 사용시 트렁크 공간은 완전히 사라진다.

시승차의 파워트레인은 3.5리터 V6 가솔린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294마력, 최대토크 36.2kgm를 발휘한다. 7인승 19인치 타이어 기준 공차중량은 2045kg, 복합연비는 8.9km/ℓ(도심 7.8, 고속 10.8)다. 동일 구성 디젤 모델의 복합연비는 12.5km/ℓ다.

운전석에서의 시트포지션과 소음과 진동은 만족스러운 수준이다. 3세대 플랫폼을 적용해 무게 중심을 낮추고 흡차음재를 확대 적용한 탓이다. 시트포지션은 스타리아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기도 하다. 1열과 2열 모두 개방되는 듀얼 선루프는 필수 옵션이다.

기존 배기량 3.3리터의 엔진에서 3.5리터로 변경된 엔진은 저회전 토크가 향상됐다. 일상주행에서 자주 사용되는 1500rpm 전후에서 토크감이 돋보인다. 다만 급가속에서는 5000rpm 부근에서야 힘이 제대로 발휘되는데, 대배기량 자연흡기 엔진의 완성도는 아직 부족하다.

고속주행시 고회전을 사용할 경우 듣기 좋은 6기통 특유의 엔진음과 박력 있는 가속이 가능한데, 디젤차의 토크로 밀어붙이는 가속과는 감각적으로 다르다. 다만 가속시 최대토크는 5000rpm에서, 최고출력은 6400rpm에서 발휘돼 고회전으로 인해 연비는 크게 떨어진다.

브레이크는 답력이나 제동감은 기존 대비 개선됐지만 강한 제동을 끌어내는 상황에서는 충분한 제동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많은 인원 탑승시 무게가 크게 증가하는 미니밴 특성상 여유로운 브레이크 용량 확보가 필요하다. 출고용 타이어는 횡그립 대비 종그립이 아쉽다.

그럼에도 전반적인 완성도는 3세대 대비 모든 면에서 개선됐다. 고속주행시 안정감이나 코너링시의 거동, 반복되는 좌우 롤링에서 섀시와 서스펜션은 좋은 결과물을 보여준다. 운전자 혼자 운전할 경우 요철에서 우당탕하는 피드백은 미니밴 특성인데, 이 부분도 개선됐다.

승차감은 기본적으로 부드러움에 가깝다. 승객을 태울 경우 오히려 거동이 안정적이다. 과속방지턱을 소화하는 능력 등 현대차그룹이 최근 잘하는 부분의 특성도 보이는데, 작고 긴 요철에서는 완벽한데, 크고 짧은 요철에서는 노면 홀딩이 떨어지는 등 보완할 부분은 있다.

고속주행시 소음과 진동은 만족스럽다. 윈드실드와 1열에 차음유리와 함께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도 적다. 특히 저속 운행시 승객에게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은 디젤과 다른 차로 느껴진다. 유류비에 대한 고민이 해결 가능하다면 120만원 비싼 디젤을 선택할 이유는 없다.

실제 주행에서 연비는 제원상 연비와 아주 유사한 수치가 나타난다. 도심과 고속이 혼재된 경우 9km/ℓ, 고속도로 주행시 11km/ℓ 수준이다. 72리터 연료탱크를 적용해 풀투풀 주유로 무난히 600km 주행이 가능했다. 여행지가 강원도일 경우 주유하지 않고 복귀가 가능하다.

카니발은 다인승 승차에 최적화된 차량으로 장거리 주행시 동승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SUV의 대형화로 3열까지 제공하고 7인승까지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3열은 공간과 승차감이 부족하다. 주말 여행용 차량이라면 카니발 7인승은 4천만원 전후에서 최선의 선택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현대차 N 10주년, 하이브리드 N 모델 출시한다

현대차 N 10주년, 하이브리드 N 모델 출시한다

현대자동차는 경기 의왕시에 위치한 'N 아카이브'에서 고성능 브랜드 'N' 출범 1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현대차는 이번 기념식에서 N의 10주년을 기념해 N의 역사를 한데 모은 공간인 'N 아카이브'를 공식적으로 개소하고 다양한 고객 프로모션을 발표했다. 현대 N은 현재 5개 모델(아이오닉 5 N, 아이오닉 6 N, 아반떼 N, i20 N, i30 N)로 구성된 라인업을 2030년까지 7개 모델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새롭게 투입될 N 모델은 글로벌 베스트셀링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쉐보레 추석 맞이 무상점검 캠페인 실시, 추첨으로 경품까지 증정

쉐보레 추석 맞이 무상점검 캠페인 실시, 추첨으로 경품까지 증정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이하 GM) 한국사업장이 추석 명절을 맞아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대비해 고객들의 안전한 귀성길과 연휴 운행을 도모하기 위한 '2025 추석 맞이 무상점검 캠페인 및 고객 감사 이벤트'를 실시한다. 이번 캠페인은 9월 22일(월)부터 10월 1일(수)까지 10일간, 전국 9개 직영 서비스센터 및 378개 협력 서비스센터를 포함한 총 387개의 GM 서비스센터(일부 제외)에서 진행되며, 쉐보레 및 GMC 시에라 고객이라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캠페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미쓰비시 이클립스 크로스 공개, 르노 세닉과 어떤 사이?

미쓰비시 이클립스 크로스 공개, 르노 세닉과 어떤 사이?

미쓰비시는 이클립스 크로스 EV(Eclipse Cross EV)를 18일 공개했다. 새로운 이클립스 크로스 EV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르노 차세대 전기차 세닉을 기반으로 독특한 분할형 LED 헤드램프 등 미쓰미시 고유의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주행거리는 최대 600km다. 이클립스 크로스 EV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기존 내연기관 이클립스 크로스를 대체한다. 이클립스 크로스 EV는 르노 차세대 전기차 세닉을 기반으로 제작된 사실상 형제차다. 이클립스 크로스 EV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S클래스 나이트 에디션 출시, 가격은 1억6060만원

벤츠 S클래스 나이트 에디션 출시, 가격은 1억6060만원

벤츠코리아는 S클래스 및 GLS, GLE 등에 블랙 콘셉트를 적용한 나이트 에디션을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나이트 에디션은 블랙 컬러의 디자인 요소와 AMG 라인으로 세련미와 역동성을 동시에 강조한 것이 특징이다. S클래스 나이트 에디션 가격은 1억6060만원이다. 벤츠코리아는 에디션 포트폴리오를 지속 확장하며 럭셔리 브랜드 리더십을 한층 공고히 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선보이는 ‘나이트 에디션’은 지난 해 마이바흐 라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K4 해치백 공개, 1.0 터보 탑재..골프 정조준

기아 K4 해치백 공개, 1.0 터보 탑재..골프 정조준

기아는 K4 해치백 유럽형을 공개하고 올해 말 판매를 시작한다고 18일 밝혔다. K4 해치백 유럽형은 미국형과 다르게 1.0리터 가솔린 터보 엔진을 탑재했으며,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과 7단 DCT 변속기 선택이 가능하다. 2026년에는 풀하이브리드가 도입된다. K4는 수출명 포르테인 K3의 풀체인지 모델이다. K4는 미국과 유럽 등 일부 시장에서만 판매되며 국내에는 도입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K4는 미국에서 세단과 해치백, 유럽에서는 해치백 단일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롤스로이스 컬리넌 코스모스 공개, 손으로 그린 헤드라이너 '주목'

롤스로이스 컬리넌 코스모스 공개, 손으로 그린 헤드라이너 '주목'

롤스로이스는 컬리넌 코스모스(Cullinan Cosms)를 18일 공개했다. 컬리넌 코스모스는 우주에서 영감을 받어 디자인된 모델로 롤스로이스 최초로 수작업으로 완성된 스타라이트 헤드라이너는 사내 아티스트가 160시간 이상 제작했다. 두바이 고객에게 인도됐다. 컬리넌 코스모스는 프라이빗 오피스 두바이를 통해 의뢰됐다. 프라이빗 오피스 두바이는 비스포크 컬렉티브의 모든 역량을 브랜드의 가장 비전 있는 고객들에게 가까이 제공하기 위해 설립됐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BMW X3 30 xDrive 국내 인증, 258마력으로 출력 '업'

BMW X3 30 xDrive 국내 인증, 258마력으로 출력 '업'

BMW X3 30 xDrive가 국내 투입될 전망이다. X3 30 xDrive는 20 xDrive의 상위 버전으로 2.0리터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258마력을 발휘한다. 환경부에 따르면 BMW코리아는 최근 X3 30 xDrive의 인증을 완료,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가격과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X3 30 xDrive는 먼저 국내 도입된 X3 20 xDrive의 상위 버전이다. 30 xDrive 투입으로 X3 국내 라인업은 가솔린 20 xDrive와 M50 xDrive, 디젤 20d xDrive로 확대됐다. X3 30 xDrive는 미국에서 생산 및 수입된다. 참고로 30 xDrive 외에 X3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토] 혼다 GB350&GB350S 출시, 클래식 네이키드 풀라인업

[포토] 혼다 GB350&GB350S 출시, 클래식 네이키드 풀라인업

혼다코리아가 미들급 클래식 네이키드 모터사이클 'GB 시리즈'의 신모델 2종 'GB350'과 'GB350S'를 출시, GB350C, GB350, GB350S의 GB시리즈 라인업을 완성했다. 다루기 쉬운 경량 차체 구조와 저회전 영역에서도 높은 출력과 토크를 발휘하는 엔진으로, 미들급 모터사이클로 스텝 업 하고자 하는 라이더에게도 최적의 선택지다. GB350과 GB350S의 가격은 각각 618만원, 628만원이다.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혼다 GB350과 GB350S 출시, 미들급 네이키드..618만원

혼다 GB350과 GB350S 출시, 미들급 네이키드..618만원

혼다코리아가 미들급 클래식 네이키드 모터사이클 ‘GB 시리즈’의 신모델 2종 ‘GB350’과 ‘GB350S’를 출시한다고 17일 밝혔다. GB350, GB350S는 클래식한 디자인과 현대적 기술이 조화를 이룬다. GB350, GB350S는 9월 19일 판매가 시작된다. 가격은 618만원부터다. GB350과 GB350S의 가격은 각각 618만원, 628만원(VAT포함, 개소세 인하분 반영)이며 9월 19일 공식 발매된다. GB350은 맷블랙, 화이트, 블루(투톤) 총 3가지 컬러로, GB350S는 그레이 단독 컬러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