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벤틀리 컨티넨탈 GT, 하이엔드 럭셔리의 맛

[시승기] 벤틀리 컨티넨탈 GT, 하이엔드 럭셔리의 맛

발행일 2021-11-12 01:19:54 이한승 기자

벤틀리 3세대 컨티넨탈 GT V8을 시승했다. 벤틀리 컨티넨탈 GT는 하이엔드 럭셔리 쿠페 모델의 대표 모델로 풀체인지를 거치며 48V 시스템과 3-챔버 에어 서스펜션을 적용하는 등 상품성을 높였다. 퍼포먼스와 승차감, 럭셔리함을 함께 원한다면 정답에 가까운 모델이다.

최근 국내 자동차시장은 '럭셔리카의 대중화 시대'라고 불러도 좋을 만큼 많은 럭셔리 브랜드 차량이 판매되고 있다. 벤츠, BMW, 아우디의 합산 판매량은 쉐보레, 르노삼성, 쌍용차를 합한 것과 비슷하거나 많은 수치를 기록한다. 판매 금액으로는 이미 오래 전 추월한 상태다.

럭셔리카 판매가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커지는 시장은 하이엔드 럭셔리카 시장이다. 많은 사람들이 드림카로 생각하는 자동차 브랜드, 페라리, 람보르기니, 벤틀리의 시장 규모가 빠르게 성장했는데, 하이엔드 럭셔리카에서는 여전히 쿠페 모델 라인업의 존재감이 대단하다.  

럭셔리 쿠페는 대단히 비실용적인 모델로 보여지지만, 실제로 꽤나 실용적인 모델 라인업이다. 럭셔리 대형 세단의 경우 오너 드라이버가 몰기에는 지나치게 큰 차체와 넓은 뒷좌석 공간을 제공하는데, 단지 고급스러움과 성능을 원하는 부유한 소비자의 요구와는 다르다.

벤틀리 컨티넨탈 GT는 2도어 쿠페 스타일로 가격이나 상품성에서 절묘한 포지셔닝을 보여준다. 페라리, 람보르기니 스포츠카의 극단적인 스포츠성은 피하면서 퍼포먼스 면에서는 크게 부족하지 않은 모습을 보여준다. 꽤나 넓은 2열과 트렁크 공간은 실용성도 만족시킨다.

벤틀리는 2003년 1세대 컨티넨탈 GT 출시로 모던 럭셔리 그랜드 투어러 세그먼트를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번 3세대 컨티넨탈 GT는 현대적인 내외관 디자인에 벤틀리 고유의 럭셔리함을 녹여낸 모델로, V8 트윈터보를 통해 성능과 효율성까지 만족시키고 있다.

컨티넨탈 GT의 외관 디자인은 패널간 단차를 줄여 디자인 일체감을 높였다. 특히 측면부 디자인은 이젠 세대 대비 낮고 와이드한, 늘씬한 보디라인을 강조했다. 힘을 표현하는 부풀어진 리어펜더는 보급형 브랜드에서 매번 동경하는 과감하고 우아하게 마감된 모습이다.

전면부는 펜더와 범퍼 상단이 하나의 패널로 구성된다. 추돌시 막대한 수리비가 예상되지만, 디자인 완성도가 뛰어나 콘셉트카를 보는 기분마저 든다.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 레이더는 범퍼 좌우에 위치하며, 벤틀리의 상징적인 격자형 그릴은 세부적으로 3차원 구성이다.   

다양한 커팅 기술이 적용된 헤드램프는 디테일이 남다르다. 크리스탈 잔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는데, 다이아몬드를 연상시킨다. 운전자가 차에 다가서면 서서히 헤드램프가 밝아지는 웰컴 시퀀스가 적용됐다. LED 매트릭스 기술이 사용돼 상향등 선별 조사가 가능하다.

실내는 양산차 최고 수준의 고급 소재로 마감됐다. 최상급 가죽은 시트 뿐만 아니라 대시보드, 도어패널, 그리고 천정과 눈에 띄지 않는 하단부까지 꼼꼼히 둘렀다. 쿠셔닝 인조가죽으로 흉내낸 양산차와 달리 단단한 패널에 가죽을 밀착시켜 패널 자체가 가죽처럼 느껴진다.

리얼 우드와 리얼 금속의 조합은 벤틀리가 가장 잘하는 부분이다. 묵직하게 움직이는 공기배출구는 푸쉬 방식으로 풍량 조절이 가능하다. 메인 디스플레이는 3면으로 이뤄져 맥도날드 메뉴판처럼 움직이는데, 아날로그 다이얼 패널 사용시 클래식카 분위기까지 묻어난다.

야간 실내 분위기는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다. 벤츠 스타일의 화려함과는 다른 절제된 엠비언트 라이트의 사용은 오히려 소재의 고급스러움을 강조해 준다. 1100와트 앰프와 15개의 네임 스피커는 풍부한 사운드는 물론, 볼륨을 크게 올려도 일정한 음색을 제공한다.

국내에 도입된 컨티넨탈 GT에는 4.0리터 V8 트윈터보 엔진과 8단 듀얼클러치 자동변속기, 사륜구동 시스템이 조합된다. 6000rpm에서 최고출력 550마력, 2000-4500rpm에서 최대토크 78.5kgm를 발휘한다. 공차중량 2295kg, 국내 복합연비 7.4km/ℓ(도심 6.5, 고속 8.8)다.

출력 과잉의 시대에서도 550마력은 무시할 수 없는 수치다. 전장 4850mm, 전폭 1965mm, 전고 1405mm, 휠베이스 2851mm의 차체는 일상주행에서 무게감 있지만 경쾌하게 움직인다. 평소 육중한 감각을 전하는 차체는 급가속시에도 낮은 속도감으로 안정감을 준다.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은 극히 제한적으로, 고속도로 제한 속도내에서는 풍절음이나 노면 소음을 평가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최근 전기차 등 빠른 가속을 자랑하는 양산차가 크게 늘어났지만, 컨티넨탈 GT는 최고속도 318km/h를 마크하는 기어비를 갖는 모델이다.

전기차가 빠르다고 하지만, 일부 고성능 모델을 제외하면 120km/h를 넘어서면 눈에 띄게 줄어드는 가속력과 최고속도 역시 대부분 210km/h에서 제한되지만, 컨티넨탈 GT의 가속은 200km/h 이후까지 꾸준히 계속된다. 300km/h를 실제로 넘어서는 차는 손에 꼽는다.

초고속 주행에서도 외부 소음의 유입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적산 주행거리 카운팅이 아주 빨라지는 것은 흔치 않은 경험이다. 초고속 주행을 제어하기 위한 넉넉한 제동력은 거대한 캘리퍼에서 예상할 수 있는 수준이다. 3-챔버 에어 서스펜션은 다양한 환경을 만족한다.

벤츠 S클래스, BMW 7시리즈, 아우디 A8, 포르쉐 파나메라 등 최근 출시된 럭셔리 대형 세단에 공통적으로 적용된 3-챔버 에어 서스펜션은 승차감과 주행성능을 함께 만족시키는 서스펜션계의 가장 트렌디한 아이템으로, 컨티넨탈 GT의 우아한 승차감을 완성시킨다.

여기에 컨티넨탈 GT에는 48V 액티브 롤 시스템(BDDR)이 적용돼 주행모드와 환경에 따라 롤링 발생을 적극적으로 억제하거나 풀어준다. 2세대 파나메라의 MSB 플랫폼을 공유해 일부 상황에서 유사한 거동을 보이기도 한다. 승차감과 주행성의 밸런스는 최상급 수준이다.

2열에는 쿠페로서는 꽤나 커다란 시트가 적용됐다. 공간 자체는 나쁘지 않은데, 레그룸이 좁아 1열 탑승자의 양보가 필요하다. 2열에 위치한 쿼터 글래스까지 내릴 수 있어 주행시 상당한 개방감을 제공한다. 반면 쿼터 글래스를 닫으면 실내로 바람이 들이치지 않는다.

이런 부분까지 의도했다면 소름이 돋는 수준이다. 벤틀리 컨티넨탈 GT는 슈퍼카의 특별함과 성능, 럭셔리 대형세단의 편안함을 함께 요구하는 소비자에게 어울린다. 30대 사업가와 S클래스, 페라리와 60대 신사는 어색할 수 있지만, 컨티넨탈 GT와는 어울리는 조합이다. 

컨티넨탈 GT V8 한국 사양 3억2900만원에는 22인치 5-스포크 휠, 무드 라이팅 스펙(7컬러 앰비언트 라이트), 시티 스펙(탑뷰 카메라, 시티 어시스트, 후방 트래픽 경고, ), 투어링 스펙(HUD, 나이트비전, 세이프티가드 플러스, ACC, 레인 어시스트) 등 옵션이 추가된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메르세데스-AMG는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을 2일 공개했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마누팍투어 마운틴 그레이 마그노 외관 컬러와 19인치 휠, 고정형 리어 윙, 전용 AMG 퍼포먼스 시트 등 일반 모델과 차별화된 사양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CLA 45 S의 마지막 스페셜 모델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올해 하반기 미국과 유럽에서 한정된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인데,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 외관은 마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는 아말피(AMALFI)를 2일 공개했다. 아말피는 페라리 로마 후속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대형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640마력을 발휘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아말피는 페라리가 2019년 처음 공개한 로마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아말피는 고성능과 다재다능함, 세련된 미학, 현대적인 스포티함을 테마로 개발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신형 XC90·S90을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신형 XC90·S90은 부분변경으로 볼보 최신 디자인 언어가 외관에 반영됐으며, 다양한 신규 사양이 추가됐다. 특히 신형 XC90은 에어 서스펜션이 B6 트림까지 확대됐다. 가격은 6530~1억1620만원이다. 세부 가격은 신형 XC90 B6 플러스 8820만원, 에어 서스펜션이 포함된 B6 울트라 9990만원, T8 울트라 1억1620만원, 신형 S90은 B5 플러스 6530만원, B5 울트라 7130만원, T8 울트라 9140만원이다. 5년/10만km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영국 법인은 EV4 해치백의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1일(현지시간) 시작했다. EV4 해치백는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624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 ID.3보다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V4는 기아의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해치백으로 운영된다. EV4 세단은 지난 4월 국내 출시됐으며, EV4 해치백은 수요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EV4 해치백은 영국 기준 전체적인 트림에서 경쟁 모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기아 EV9 GT-라인 4WD를 시승했다. EV9은 국내 최초로 선보인 3열 대형 SUV 전기차로 출시된지 만 2년에 접어들었다. 출시 당시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6천만원대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한데, 유사한 체급의 하이브리드 SUV의 가격이 상승해 EV9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아의 전기차 로드맵 중 하나는 EV9의 성공이었다. 기아는 현대차 대비 5년 빠른 전동화 계획으로, 2025년부터 출시되는 풀체인지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채우고, 2030년부터 전기차만 출시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제네시스 G80 블랙 3.5T AWD를 시승했다. G80 블랙은 G90 블랙, GV80 블랙, GV80 쿠페 블랙에 이은 제네시스의 4번째 블랙 모델로, 컬러와 구성만으로 G80의 분위기를 젊은 감각으로 바꿔놨다. G70의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상황에서, 3040 소비자들에도 만족할만한 선택지로 생각된다. 제네시스 브랜드에게 G80은 브랜드의 시작과도 같은 모델이다. 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코드명 RG3로 1세대 BH, 2세대 DH를 잇는 3세대 G80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론칭시 가장 먼저 선보일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르노 세닉 E-TECH 일렉트릭을 시승했다. 세닉은 최근 국내 사전예약을 시작한 전기차로, 르노의 기술력과 디자인, LG에너지솔루션의 고성능 NCM 배터리가 결합돼 460km 주행이 가능하다. 르노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넓은 실내공간, 좁은 회전반경은 차세대 패밀리 SUV로 주목할만 하다. 르노 브랜드는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전동화에 가장 적극적인 제조사 중 하나로, 르노5, 르노4, 메간, 세닉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코리아는 풀체인지 모델, 더 뉴 아우디 A5와 더 뉴 아우디 Q5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두 모델은 아우디의 새로운 PPC 플랫폼 기반의 신차로, 디젤 모델 최초로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MHEV Plus) 기술이 적용됐다. 가격은 신형 A5 5789만원, 신형 Q5 6968만원부터다. 아우디 A5 전 트림에는 사륜구동 시스템 콰트로와 7단 S 트로닉 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된다. A5 40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4.7kgm, A5 45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72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코리아가 씰 다이내믹 AWD의 국내 판매 가격을 4690만원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씰 다이내믹 AWD는 총 출력 530마력을 발휘하는 듀얼 모터를 탑재했으며, 1회 완충시 407km를 주행할 수 있다. 씰 다이내믹 AWD 시승은 오는 19일부터 가능하다. 씰 다이내믹 AWD 가격은 세제혜택 적용 후 기준 4690만원이다. 이는 호주와 일본 대비 약 7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고객을 위한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지난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