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렉서스 ES 300h, 조용한 실내와 대비되는 큰 엔진음

[시승기] 렉서스 ES 300h, 조용한 실내와 대비되는 큰 엔진음

발행일 2021-10-03 21:13:53 김한솔 기자

렉서스 뉴 ES 300h 이그제큐티브를 시승했다. 뉴 ES는 부분변경 모델로 외관 디자인 변경과 12.3인치 터치 스크린, 주행 보조 시스템 강화 등이 특징이다. 특히 리어 서스펜션 재설계로 탄탄한 승차감과 뛰어난 진동 흡수력을 보여준다. 다만 가속시 큰 엔진음은 아쉽다.

ES는 렉서스를 대표하는 베스트셀링카다. ES는 일본산 불매 운동 여파 속에서도 꾸준한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ES는 지난 8월 573대의 판매고를 올리며 수입차 판매량 10위, 지난 7월에는 678대로 6위에 오르는 등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시승차의 가격은 6860만원이다.

뉴 ES의 차체 크기는 전장 4975mm, 전폭 1865mm, 전고 1445mm, 휠베이스는 2870mm다. 뉴 ES의 전면부에는 수직 및 횡방향을 동시에 강조하는 L-SHAPE 그릴과 직사각형 LED 렌즈로 변경된 헤드램프가 적용됐다. 주간주행등과 방향지시등은 입체감이 높아졌다.

측면부는 안정적인 프로포션을 바탕으로 ES 특유의 날렵한 스타일이 유지됐다. 측면 벹트 라인이 테일램프로 연결돼 볼륨감이 강조됐다. ‘L’자형 LED 테일램프로 렉서스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한다. 범퍼 하단의 크롬 장식으로 후면부의 와이드&로우 디자인을 완성했다.

실내는 운전자가 주행 중 자세 변화나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면서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12.3인치 터치 스크린이 새롭게 탑재됐다. 터치가 불가능했던 기존 스크린 대비 112mm 앞으로 배치돼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다. TFT LCD 계기판 크기는 7인치다.

상하 2분할 시트의 착좌감은 아주 좋다. 적당하게 단단해 운전자의 몸을 지탱한다. 운전석 시트 포지션은 비교적 낮다. 통풍 시트는 에어컨의 찬 공기를 시트로 직접 보내는 석션 타입이다. 2열 레그룸은 1열을 여유롭게 설정해도 키 180cm 기준 15cm 이상 공간이 남는다.

헤드룸 공간은 낮은 루프라인 디자인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주먹 하나 정도의 여유가 있다. 2열 시트는 등받이 각도가 눕혀져 있어 장거리 주행의 피로도를 덜어준다. 실내는 헤어라인 스타일 마감과 글로시 블랙의 조합으로 ES 특유의 심플하면서도 모던함이 강조됐다.

최근 출시되는 차량의 실내가 화려한 만큼 ES의 실내는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호오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뉴 ES 300h 이그제큐티브에는 파노라믹 뷰 모니터가 추가됐다. 화질이 아쉽다. 비가 많이 내릴 때는 주변 확인이 어렵다. 후방 카메라에는 빗물이 맺히기도 한다.

실내 마감재는 최고급 가죽, 프리미엄 금속 소재, 부드러운 패드 등을 사용해 감성 품질을 높였다. 마감 수준이 만족스럽다. ES의 모든 창문은 오토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다. 창문은 완전히 닫히기 전에 속도를 줄이는데, 손가락 등 이물질이 감지되면 곧바로 창문을 내린다.

ES 300h의 파워트레인은 2.5리터 4기통 D-4S 가솔린 엔진과 2개의 전기 모터, 대용량 배터리, e-CVT 변속기로 구성됐다. 시스템 총 출력은 218마력이다. 복합연비는 17.2km/ℓ(도심 17.3, 고속 17.1)다. 배터리는 뒷좌석 하단에 배치돼 트렁크 공간 손실이 최소화됐다.

트렁크는 9인치 골프백 4개를 적재할 수 있다. ES 300h의 초반 발진 가속감은 경쾌하다. 국산차와 비교해 자연흡기 엔진 기반의 현대차 그랜저 하이브리드보다 경쾌하다. 터보 엔진 기반의 기아 K8 하이브리드보다는 다소 더디다. 80km/h 내에서는 출력에 답답함이 없다.

저속에서는 최대토크를 발생시키는 전기 모터로만 주행한다. ES 300h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주행과 동시에 충전이 가능해 배터리 소모에 대한 부담이 적다. 100km/h 이상에서 추월을 위한 재가속시에는 다소 답답하다. 초반 발진 가속과 유사한 펀치력을 느끼기 어렵다.

ES 300h의 주행모드는 노말, 스포츠, 에코, EV 모드로 구성됐다. 에코 모드에서는 가속 페달을 깊게 밟아도 rpm이 서서히 올라간다. 가속 페달은 한 템포 늦게 반응한다. EV 모드는 30km/h 이하, 배터리 잔량이 충분할 경우 활성화된다. 가속 페달을 깊게 밟으면 해제된다.

에코 모드는 오토 글라이드 컨트롤(AGC) 기능을 지원한다. 주행 중 가속 페달에서 발을 떼면 오토 글라이드 컨트롤이 작동해 연비를 극대화한다. 스포츠 모드는 가속 페달이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높은 rpm을 유지한다. 엔진과 EV 모드 전환의 매끄러움은 ES의 강점이다.

계기판의 EV 모드 표시 혹은 헤드업 디스플레이의 변화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엔진 온/오프를 운전자가 느끼기 어렵다. EV 모드 주행 중 급가속시 엔진 개입도 자연스럽다. ES 300h의 승차감은 저속에서는 부드러움이, 고속에서는 단단함이 강조된다. BMW와 유사하다.

뉴 ES 300h는 리어 서스펜션 멤버 브레이스 설계 변경과 차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퍼포먼스 댐퍼가 적용됐다. 이그제큐티브와 F 스포츠 트림에만 제공된다. 과속방지턱과 요철, 고르지 못한 노면을 저속으로 통과하면 2~3번의 상하 바운싱 이후 자세를 잡는다. 

고속에서는 서스펜션이 차체를 단단하게 잡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단단한 승차감에도 불구하고 요철 등을 빠르게 통과해도 운전자에게 충격을 전달하지 않는다. 단단한 승차감은 고속 주행 안정감과도 연결되는데, 속도를 높일수록 차체가 지면으로 낮게 가라 앉는 감각이다.

연속된 코너링과 고속 코너링, 급격한 차선 변경시에도 차체 좌우 롤링 현상을 최대한 억제해 안정적이다. 스티어링 기어비는 타이트하다. 스티어링 휠의 직결감이 높다. 다만 급격한 코너를 급가속해 탈출할 때는 언더스티어 현상이 발생한다. 전륜구동의 특성이자 한계다.

뉴 ES 300h는 긴급 제동 보조 시스템의 감지 범위가 확대됐다. 다이내믹 레이더 크루즈 컨트롤은 커브 감속 기능이 추가됐다. 앞차와의 거리를 자연스럽게 조절한다. 정차 후 재출발은 가속 페달을 밟아줘야 한다. 차로 유지 보조는 차선 중앙을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ES 300h의 매력은 역시 높은 연비다. 도심과 고속도로, 약 20km 구간의 와인딩 주행이 포함된 110km 주행에서 누적 연비 15km/ℓ를 기록했다. 100km/h 정속 주행에서는 25km/ℓ 부근을 유지했다. 또한 고속 주행시 풍절음과 노면 소음 차단 수준은 동급에서도 최고다.

아쉬운 부분도 있다. 정숙성 대비 엔진음이 크다. 특히 풀가속시 엔진음이 실내로 크게 유입되는데, 4기통 특유의 엔진음이 듣기 좋지는 않다. e-CVT 무단변속기는 패들 시프트와 기어 레버로 수동 변환이 가능하지만, 풀가속시에는 rpm이 고정되고 반응이 느려 의미가 없다.

뉴 ES 300h는 정숙성과 승차감, 12.3인치 터치 스크린, 파노라믹 뷰 모니터, 개선된 운전자 주행 보조 시스템 등 상품성이 크게 강화됐다. 아쉬운 부분도 높은 연비와 6000만원대 가격으로 일부 보완된다. 일본산 불매 운동 속에서도 ES 300h의 높은 판매량이 상품성을 입증한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메르세데스-AMG는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을 2일 공개했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마누팍투어 마운틴 그레이 마그노 외관 컬러와 19인치 휠, 고정형 리어 윙, 전용 AMG 퍼포먼스 시트 등 일반 모델과 차별화된 사양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CLA 45 S의 마지막 스페셜 모델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올해 하반기 미국과 유럽에서 한정된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인데,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 외관은 마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는 아말피(AMALFI)를 2일 공개했다. 아말피는 페라리 로마 후속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대형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640마력을 발휘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아말피는 페라리가 2019년 처음 공개한 로마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아말피는 고성능과 다재다능함, 세련된 미학, 현대적인 스포티함을 테마로 개발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신형 XC90·S90을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신형 XC90·S90은 부분변경으로 볼보 최신 디자인 언어가 외관에 반영됐으며, 다양한 신규 사양이 추가됐다. 특히 신형 XC90은 에어 서스펜션이 B6 트림까지 확대됐다. 가격은 6530~1억1620만원이다. 세부 가격은 신형 XC90 B6 플러스 8820만원, 에어 서스펜션이 포함된 B6 울트라 9990만원, T8 울트라 1억1620만원, 신형 S90은 B5 플러스 6530만원, B5 울트라 7130만원, T8 울트라 9140만원이다. 5년/10만km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영국 법인은 EV4 해치백의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1일(현지시간) 시작했다. EV4 해치백는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624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 ID.3보다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V4는 기아의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해치백으로 운영된다. EV4 세단은 지난 4월 국내 출시됐으며, EV4 해치백은 수요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EV4 해치백은 영국 기준 전체적인 트림에서 경쟁 모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기아 EV9 GT-라인 4WD를 시승했다. EV9은 국내 최초로 선보인 3열 대형 SUV 전기차로 출시된지 만 2년에 접어들었다. 출시 당시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6천만원대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한데, 유사한 체급의 하이브리드 SUV의 가격이 상승해 EV9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아의 전기차 로드맵 중 하나는 EV9의 성공이었다. 기아는 현대차 대비 5년 빠른 전동화 계획으로, 2025년부터 출시되는 풀체인지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채우고, 2030년부터 전기차만 출시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제네시스 G80 블랙 3.5T AWD를 시승했다. G80 블랙은 G90 블랙, GV80 블랙, GV80 쿠페 블랙에 이은 제네시스의 4번째 블랙 모델로, 컬러와 구성만으로 G80의 분위기를 젊은 감각으로 바꿔놨다. G70의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상황에서, 3040 소비자들에도 만족할만한 선택지로 생각된다. 제네시스 브랜드에게 G80은 브랜드의 시작과도 같은 모델이다. 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코드명 RG3로 1세대 BH, 2세대 DH를 잇는 3세대 G80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론칭시 가장 먼저 선보일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르노 세닉 E-TECH 일렉트릭을 시승했다. 세닉은 최근 국내 사전예약을 시작한 전기차로, 르노의 기술력과 디자인, LG에너지솔루션의 고성능 NCM 배터리가 결합돼 460km 주행이 가능하다. 르노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넓은 실내공간, 좁은 회전반경은 차세대 패밀리 SUV로 주목할만 하다. 르노 브랜드는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전동화에 가장 적극적인 제조사 중 하나로, 르노5, 르노4, 메간, 세닉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코리아는 풀체인지 모델, 더 뉴 아우디 A5와 더 뉴 아우디 Q5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두 모델은 아우디의 새로운 PPC 플랫폼 기반의 신차로, 디젤 모델 최초로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MHEV Plus) 기술이 적용됐다. 가격은 신형 A5 5789만원, 신형 Q5 6968만원부터다. 아우디 A5 전 트림에는 사륜구동 시스템 콰트로와 7단 S 트로닉 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된다. A5 40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4.7kgm, A5 45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72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코리아가 씰 다이내믹 AWD의 국내 판매 가격을 4690만원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씰 다이내믹 AWD는 총 출력 530마력을 발휘하는 듀얼 모터를 탑재했으며, 1회 완충시 407km를 주행할 수 있다. 씰 다이내믹 AWD 시승은 오는 19일부터 가능하다. 씰 다이내믹 AWD 가격은 세제혜택 적용 후 기준 4690만원이다. 이는 호주와 일본 대비 약 7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고객을 위한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지난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