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아반떼 N, 패밀리카 OK..커진 차체는 단점

[시승기] 아반떼 N, 패밀리카 OK..커진 차체는 단점

발행일 2021-08-09 01:52:34 이한승 기자

현대차 아반떼 N을 시승했다. 아반떼 N은 고성능 N 브랜드의 가장 최신 모델로 그간 선보인 N 브랜드 특화 기술을 모두 담아냈다. 동급 가격대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재미있는 요소들은 단언컨대 현대차가 최초다. 하지만 커진 차체로 인해 재미가 반감된 부분은 아쉽다.

신형 아반떼(CN7) 기반의 아반떼 N은 출시 이전부터 사람들의 기대를 모아온 모델이다. 먼저 국내에 선보인 벨로스터 N이 수요가 적은 3도어 구조의 벨로스터를 기반으로 한 것과 달리 아반떼 N은 대중적이고 일상적인 활용이 가능한 아반떼 기반으로 범용성을 지녔다.

벨로스터 N이 고성능을 원하는 소비자만을 겨냥한 모델이라면, 아반떼 N은 패밀리카를 사야하지만, 조금 특별한 모델을 원하는 수요까지 수용할 수 있다. 유럽의 자동차 제조사들이 비즈니스카 기반의 M5나 왜건 기반의 RS6를 꾸준히 내놓는 이유도 이와 다르지 않다.

아반떼 N 시승을 마치며 느낀 현대차의 아반떼 N 상품 기획 목표는 고성능차의 대중화로 생각된다. 아반떼 N은 기존 벨로스터 N과 다르게 일상적인 주행을 고려한 다소 부드러운 서스펜션 셋업이 특징이다. 심지어는 N 모드에서도 벨로스터의 그것과 달리 부드럽다.

아반떼 N의 외관은 전면과 측면, 그리고 후면에서까지 고성능차 이미지를 무척이나 강조했다. 차체 하단부에 레드 스트립은 전후면 범퍼의 블랙컬러 디테일과 함께 대비를 이룬다. 전면부 범퍼의 검게 추가된 디테일은 도장이 적용되지 않아 고급감을 낮추는 요소 중 하나다.

후면 하단부는 가장 완성도 높은 디자인으로 대구경 듀얼 머플러팁이 기본형 아반떼의 스포티한 디자인과 어울림이 좋다. 기본으로 적용된 리어 스포일러는 포르테쿱의 굴곡진 트렁크리드가 연상되기도 하는데, 매끈한 립스포일러를 적용하는 편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내는 스티어링 휠과 기어 노브를 제외하면 그냥 아반떼와 동일하다. 해당 가격대에서 블랙 원톤으로 특별함을 만들어 내려는 것은 욕심이다. 100만원짜리 스포츠 버켓시트는 시트포지션을 10mm 낮춰준다. 하지만 전동 조절과 통풍 기능을 포기하기에는 덥게 느껴진다.

2열 공간이나 트렁크 공간은 노멀 아반떼와 동일해 패밀리카로서 부족함이 없다. 리어 스티브 바로 인해 트렁크와 실내 공간이 나뉘는데, 2열 폴딩은 제공한다. 가격은 수동 변속기 기준 3212만원, 자동 변속기 3402만원으로 5년전 판매되던 골프 GTI 보다 1천만원 저렴하다.

시승차의 파워트레인은 2.0리터 4기통 터보엔진과 8단 DCT 자동변속기가 조합된다. 최고출력 280마력(5500~6000rpm), 최대토크 40.0kgm(2100~4700rpm), NGS 동작시 20초간 290마력으로 강화되는 오버부스트 기능을 갖췄다. 공차중량 1485kg, 복합연비 10.4km/ℓ다.

파워트레인 구성은 함께 출시된 코나 N과 동일하고, 공차중량은 아반떼 N이 30kg 가볍다. 275마력의 벨로스터 N과 비교하면 아반떼 N이 25kg 무겁다. 대신 아반떼 N은 차체 크기가 압도적으로 큰데, 전장 4675mm, 전폭 1825mm, 전고 1415mm, 휠베이스는 2720mm다.

정지상태에서 100km/h 가속은 아반떼 N 5.3초, 코나 N 5.5초, 벨로스터 N 5.6초다. 최고속도는 아반떼 N과 벨로스터 N 250km/h, 코나 N 240km/h다. 제원상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아반떼 N과 코나 N에는 커진 터보차저와 강화된 냉각 시스템이 새롭게 탑재됐다.

현대차는 새 엔진을 'N 전용 가솔린 2.0 터보 플랫파워 엔진'이라고 강조하는데, 최고출력이 5500~6000rpm에서 플랫하게 유지된다. N 모드의 '파파팡'하는 후연소 사운드는 3000rpm 이상에서 가속페달을 뗄 경우, '펑'하는 뱅 사운드는 5000rpm 이상 업시프트시 연출된다.

미디어 시승은 인제 서킷 주변의 굽은 길 주행과 슬라럼, 서킷 풀 코스 주행으로 진행됐다. 정차시 공회전 엔진 회전수는 N 모드에서 900rpm, 노멀 모드 750rpm으로 차이를 보이는데, 900rpm 이하에서의 정차시에는 엔진의 진동이 스티어링 휠을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

노멀 모드에서의 아반떼 N은 평범한 세단의 모습을 보여준다. 감쇠력이 조절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은 최대한 풀어져 과속방지턱이나 요철에서 충격을 전달하지 않는다. 가속시 기본적인 엔진 흡기음은 만들어내지만 배기구에서는 어떤 소리도 만들지 않아 조용하다.

스포츠 모드에서는 감쇠력이 강해지지만 여전히 부드럽다. 후연소 사운드는 연출되지 않고, 5000rpm 이상에서의 업시프트시 뱅 사운드는 만들어낸다. N 모드에서는 서스펜션을 최대한 조이지만, 딱딱하지 않다. '파파팡'하는 후연소 사운드는 N 라인업 중 가장 볼륨이 크다.

가변으로 동작되는 이런 배기 사운드를 3천만원대 출고 사양 자동차에서 보증수리까지 누리며 즐길 수 있다는 점만으로도 아반떼 N의 가치는 충분하다. 아반떼 N의 서스펜션 셋업이 기존에는 M 브랜드의 빡센 성향을 보였다면, 이제는 AMG의 여유로움으로 돌아섰다.

굽은 길은 아반떼 N을 즐기기에 가장 좋은 장소다. 급가속과 급제동을 하지 않아도, 오르막 코너에서 가속시에는 e-LSD가 바깥 바퀴에 힘을 몰아줘 코너를 파고든다. 내리막 코너에서는 살짝 제동 후 선회하면 245/35ZR19 미쉐린 PS4S 타이어가 끈끈한 그립을 보여준다.

현대차의 다른 N 모델이 단면폭 235mm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아반떼 N은 245mm를 사용한다. 전륜 브레이크 로터 디스크는 360mm로 19인치 휠에서도 허전함이 없다. 또한 고마찰 로우 스틸 패드를 적용해 제동력 향상과 한계 상황에서 제동력 유지를 돕는다.

전륜구동차를 굽은 길에서 빠르게 타면 항상 걱정되는 부분은 리어 쪽의 그립이다. 벨로스터 N에서는 뛰어났고, 아반떼 N도 역시나 끈끈한 리어 그립을 보여준다. 차이가 있다면 아반떼 N이 긴 휠베이스와 비교적 무른 서스펜션으로 인해 후륜이 따라오는 속도가 느리다.

또한 내리막 고속 코너에서의 언더스티어 시점이 비교적 빠르게 느껴진다. 충분히 속도를 줄이고 전륜에 하중을 실어야 예쁘게 코너를 돌아 나간다. 벨로스터 N이 대충 코너에 던져져도 받아주는 것과 달리 차의 한계에 대한 운전자의 이해도가 보다 크게 작용해 보인다.

서킷 주행은 풀 코스 랩 타임 2분20초 전후의 속도로 진행됐다. 앱과 차량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GPS를 통해 자동으로 랩 타임을 계산해 랩 타임을 기록한다. 앱에서는 차의 가속과 제동, 횡가속을 최고 랩타입 기록과 비교해 보여주는데, 공짜로 쓰기에 미안하게 좋다.

랩 타임 기록시 스마트폰의 후방 카메라를 활성화 시키는 기능이 있는데, 모두가 궁금해 하던 계기판 옆 허전했던 그곳에 스마트폰 위가 살짝 나오게 붙이면 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애프터마켓을 위한 배려라고 해두자. 이 모든 기능이 기본형 모델부터 제공돼 놀랍다.

서킷 내의 코너를 주파해 나가는 모습은 N 모델에서 기대하는 그대로를 보여준다. 가속과 제동, 코너링, 그리고 재가속으로 이어지는 동작에서의 밸런스가 좋고, 예측 가능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타이어 폭이 늘어났지만 승차감도 고려한 셋업은 코너에서 다소 무겁다.

대신 커진 차체로 인해 직선로에서의 주행안정감이 좋아졌다. 노멀 아반떼와 달리 리어 스티프 바 뿐만 아니라, 전륜쪽 차체 하단과 전륜 마운트에 보강재를 더하고, 다른 소재의 부싱을 사용해 차체 강성을 높였다. 쉽게 지치지 않는 브레이크는 당연하지만 좋은 변화다.

아반떼 N에는 다양한 브랜드의 여러가지 감성 아이템이 담겨있다. 결이 다르지만, AMG의 배기 사운드, M의 등을 때리는 변속감, 포르쉐의 버튼식 오버부스트를 N의 스타일로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서킷에서는 어설픈 스포츠카를 앞서는 실력까지 갖춘 만능 재주꾼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푸조 신형 3008 하이브리드 실차, 예술적 디자인과 기술력

푸조 신형 3008 하이브리드 실차, 예술적 디자인과 기술력

푸조 브랜드는 3일 올 뉴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를 공개했다. 국내 판매는 7월 11일부터 시작되며, 가격은 알뤼르 4490만원(개소세 3.5%, 4425만1000원), GT 4990만원(4916만3000원)으로 8년전 가격과 동일하다. 안심 가격 보장 제도를 통해 모든 전시장에서 동일한 가격에 판매된다.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인 신형 3008은 도심형 C-SUV로 스텔란티스의 차세대 전동화 플랫폼 STLA 미디엄이 최초로 적용됐다. 해당 플랫폼은 디자인, 공간, 파워트레인, 기술 전반에 푸조의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푸조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출시, 가격은 4490만원부터

푸조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 출시, 가격은 4490만원부터

푸조 브랜드는 3일 올 뉴 3008 스마트 하이브리드를 공개했다. 국내 판매는 7월 11일부터 시작되며, 가격은 알뤼르 4490만원(개소세 3.5%, 4425만1000원), GT 4990만원(4916만3000원)으로 8년전 가격과 동일하다. 안심 가격 보장 제도를 통해 모든 전시장에서 동일한 가격에 판매된다. 신형 푸조 3008의 외관은 패스트백 실루엣과 루프라인이 특징이다. 푸조의 새로운 엠블럼을 중심으로, 바디 컬러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그라데이션 그릴, 그리고 사자 발톱 형상의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MW 신형 iX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1억2500~1억8000만원

BMW 신형 iX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1억2500~1억8000만원

BMW코리아는 신형 iX 사전계약을 7월 3일 오후 3시부터 BMW 샵 온라인을 통해 실시한다고 3일 밝혔다. 신형 iX는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전기차 핵심인 모터와 배터리가 업그레이드된 것이 특징이다. 가격은 1억2500~1억8000만원이다. 신형 iX는 BMW 전기차 전용 모델인 iX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신형 iX 가격은 xDrive45 1억2500~1억3000만원, xDrive60 1억5000~1억5500만원, M70 xDrive 1억7500~1억8000만원 사이에서 책정될 예정이다. 신형 iX는 올해 3분기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아이오닉6 N 내주 공개, 고성능 전기차 예고

현대차 아이오닉6 N 내주 공개, 고성능 전기차 예고

현대차는 3일 아이오닉6 N 티저와 함께 4가지 기술을 소개했다. 아이오닉6 N은 현대 N의 고성능 노하우를 담은 고성능 전기 세단으로 가상 변속 시스템 N e-쉬프트, N 액티브 사운드 플러스, N 드리프트 옵티마이저 등을 탑재했다. 오는 7월 10일 공개된다. 아이오닉6 N은 현대 N의 3대 성능 철학인 코너링 악동, 레이스트랙 주행능력, 일상의 스포츠카 기반으로 개발된 고성능 N 전기차다. 아이오닉6 N은 한국시간으로 오는 7월 10일 20시 30분 영국 굿우드 페스티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포르쉐 신형 911 4S 공개, 제로백 3.3초..국내 출시는?

포르쉐 신형 911 4S 공개, 제로백 3.3초..국내 출시는?

포르쉐는 신형 911 4S를 3일 공개했다. 신형 911 4S는 새롭게 개선된 파워트레인으로 최고출력이 48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정지상태에서 100km/h까지 쿠페 기준 3.3초만에 가속한다. 스포츠 배기 시스템과 GTS 제동 시스템 등이 기본이다. 국내 미출시 모델이다. 신형 911 4S는 쿠페와 카브리올레, 타르가로 운영된다. 국내에서는 지난 4월 서울모빌리티쇼를 통해 신형 911을 최초 공개한 후 911 카레라 GTS 쿠페와 카브리올레, 카레라 4 GTS 쿠페와 카브리올레, 타르가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EX30 크로스 컨트리 국내 출시되나, 전기 오프로더

볼보 EX30 크로스 컨트리 국내 출시되나, 전기 오프로더

볼보 EX30 크로스 컨트리가 국내 투입될 전망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최근 EX30 크로스 컨트리에 대한 인증을 모두 완료, 본격적인 출시 준비에 돌입했다. EX30 크로스 컨트리는 전천후 SUV로 주행거리는 338km, 총 출력은 422마력이다. EX30 크로스 컨트리는 볼보 차세대 전기 SUV EX30을 기반으로 한다. 볼보 크로스 컨트리 라인업은 내구성과 전천후 자동차라는 콘셉트를 담았다. EX30 크로스 컨트리에도 콘셉트가 반영돼 성능까지 일반 모델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AWD, 고성능 하이브리드의 시작

[시승기]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AWD, 고성능 하이브리드의 시작

현대차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 AWD 7인승 캘리그래피를 시승했다. 팰리세이드 하이브리드는 커진 차체와 고급스러운 내외관 디자인으로 성공적인 풀체인지를 마쳤다. 차세대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전통적인 연비 중심의 시스템과 달리, 고출력을 연비 부담 없이 즐기기에 좋은 구성이다. 현대자동차는 지난 1월 풀체인지 모델, 디 올 뉴 팰리세이드를 출시했다. 2.5 터보와 2.5 터보 하이브리드의 2가지 파워트레인으로 구성되는데, 2.5T HEV는 현대차 최초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제네시스 GV60 부분변경, 유일한 단점은 가격 책정

[시승기] 제네시스 GV60 부분변경, 유일한 단점은 가격 책정

제네시스 GV60 부분변경, GV60 퍼포먼스 AWD를 시승했다. GV60은 제네시스 유일의 전용 전기차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며 배터리 용량 확대를 통한 주행거리 증대와 함께 고급감이 향상됐다. 내장 컬러의 매치와 고급감은 양산 전기차는 물론, 제네시스 라인업에서도 우수한 편이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모델 라인업에 대한 페이스리프트를 대부분 끝냈다. 라인업별 출시 시점을 살펴보면 G70(2017년9월, FL 2020년10월), GV80(2020년1월), G80(2020년3월), GV70(2020년12월)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볼보 XC90과 S90 부분변경 살펴보니, 고급감 업그레이드

볼보 XC90과 S90 부분변경 살펴보니, 고급감 업그레이드

볼보의 플래그십 모델, 신형 XC90과 신형 S90이 국내에 출시됐다.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신규 90 라인업은 볼보의 차세대 디자인과 신기술이 적용된 모델로, 소재와 디자인 개선을 통해 고급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마일드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라인업으로 구성된다. 신형 S90와 XC90은 SPA 플랫폼 기반으로 전동화 시대에 맞춰 현대적인 디자인, 네이버 웨일을 통한 OTT, SNS, 웹툰, e북이 지원되는 차세대 스냅드래곤 콕핏 플랫폼 기반의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