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BMW M3와 M4, 510마력을 손쉽게 다루는 방법

[시승기] BMW M3와 M4, 510마력을 손쉽게 다루는 방법

발행일 2021-04-23 09:41:58 이한승 기자

BMW 뉴 M3 컴페티션과 M4 컴페티션을 시승했다. 인천 영종도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진행된 시승에서는 서킷 주행과 드리프트, 짐카나 주행이 포함됐다. 강력해진 퍼포먼스와 안정적인 차체 거동이 인상적으로, 올해 추가될 M3&M4 xDrive 사륜구동 모델이 기대된다.

BMW코리아는 국내에 M3와 M4의 상위 사양인 컴페티션을 기본으로 출시했다. M3와 M4 기본형 모델의 480마력 대비 높은 510마력을 발휘하는 사양이다. 메르세데스-AMG C63 보다 C63S가, 포르쉐 911 카레라 보다 911 카레라 S가 선호되는 국내 시장을 위한 선택이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에서는 해당 세그먼트의 아이코닉한 모델이 존재한다. 해치백 부문에서의 폭스바겐 골프, 쇼퍼드리븐 부문에서의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럭셔리 컴팩트 세단의 BMW 3시리즈 같은 식이다. BMW M3는 BMW M 디비전의 성격을 설명하는 모델이다.

BMW는 지난 세대 M3(코드명 F80)부터 전통적인 M3의 모델명에 M4를 추가해 세단형 모델에는 M3, 쿠페형 모델에는 M4를 명명해 운영하고 있다. 새로운 G바디 3시리즈 기반의 이번 세대 M3와 M4는 코드명 G80으로 진화하며 모델간 성격 차이가 더욱 분명해졌다. 

BMW는 신형 4시리즈를 출시하며 디자인과 하드웨어적인 다양한 변화를 유도했다. 동일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단순히 세단과 투어링의 3시리즈, 쿠페와 그란쿠페, 컨버터블의 4시리즈로 나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전면부는 물론 후면부 디자인까지 달리해 차별화했다.

M4 기반의 4시리즈는 M3 기반의 3시리즈 대비 전고 57mm, 무게중심은 21mm 낮다. 전방 캠버 각도는 0.8도 기울어졌으며, 뒷 차축은 23mm 넓혔다. 신형 4시리즈는 기존 대비 전장 130mm, 전폭 27mm, 휠베이스는 41mm 늘어났다. M3와 M4의 윤거는 50mm 추가된다.

3시리즈와 4시리즈의 차별화가 M3와 M4의 차이로 이어졌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M3는 역동성이 강조된 악동같은 스타일, M4는 안정감이 강조된 GT카의 성격에 가까워졌다. M3와 M4를 짧은 시간에 번갈아 타봤기 때문에 확인되는 부분으로 기본적인 성향은 유사하다.

M3와 M4 컴페티션에는 3.0리터 6기통 트윈 터보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된다. 6250rpm에서 최고출력 510마력, 2750-5500rpm에서 최대토크 66.3kgm를 발휘하며, 공차중량은 1745kg(세단 +10kg), 100km/h 가속 3.9초, 최고속도는 250km/h에서 제한된다.

M3와 M4의 제원상 출력과 토크는 한 세대 전의 슈퍼카에 가까운 수준이다. 컴페티션 기준 M3 최초로 500마력을 넘어선 점은 의미가 있다. LP560 이전 람보르기니 가야르도 V10의 최고출력이 520마력이었다. M3의 복합연비는 가야르도 대비 2배가 넘는 8.3km/ℓ다.

신형 M3와 M4의 특징 중 하나는 앞바퀴와 뒷바퀴의 휠 사이즈가 다른 점이다. 전륜에는 275/35R19, 후륜에는 285/30R20 타이어가 적용된다. 기존 7단 DCT 듀얼클러치 변속기가 토크컨버터 방식의 8단 자동변속기로 변경된 점도 주목되는 부분으로 편의성에 기여한다.

변속기의 경우 3가지 변속 스피드를 기어노브의 버튼을 통해 바꿀 수 있다. 변속시 미묘하게 부드러워지긴 했지만 변속기 자체의 감각은 DCT 변속기에 가깝다. 아쉬운 부분이라면 195kg 늘어난 공차중량이다. 커진 차체를 요구하는 시장 수요를 원망할 수 밖에 없다.

신형 M3의 커진 차체와 3시리즈 대비 보강된 엔진룸과 전륜, 후륜 구동축의 M 전용 보강재, 그리고 반자율주행 지원을 위해 새롭게 추가된 장비가 원인으로 생각된다. 다만 커진 차체와 무거워진 차체 등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차의 거동시 안정감이 향상되기는 했다.

기존 세대(코드명 F80) M3나 M4는 다소 위험한 모델이기도 했다. 강력한 토크가 갑자기 리어 휠에 걸리는 상황에서는 스티어링 휠이 완전히 전방을 향하는 상황에서도 뒷바퀴가 옆으로 흘렀다. 물론 주행안전장치를 MDM에 놓거나 꺼놓지 않은 상태의 주행에서 얘기다.

중고차 시장에서 M3나 M4의 무사고 차량을 찾아보기 어려운 것도 이와 유사한 이유다. 고성능 터보엔진이나 고출력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적용된 후륜구동 모델에서의 리어 그립 유지는 쉽지 않다. 리니어하게 증가해 고회전시 토크가 예상되는 자연흡기 모델과는 다르다.

신형 M3와 M4는 후륜의 움직임이 상당히 매끄럽게 따라온다. 감속-코너-풀가속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 리어 휠의 그립을 상당히 끈질기게 유지한다. 일반적인 고출력 차량이 주행안전장치가 개입하며 출력을 제한하는 것과 달리 힘을 조절하면서 뽑아내는 영민함이다.

기본적인 핸들링 특성은 민첩하게 느껴지는데, 실제 회두성이 민첩해 보이지는 않는다. FR 스포츠카에서 전륜 275mm의 타이어폭은 과하게 느껴진다. 그럼에도 경쟁차의 코너링과는 상당한 차이로 M3나 M4가 앞선다. 200km/h에서의 풀제동시 안정감은 조금 떨어진다.

코너링에서 타각을 일부러 키우거나 가속페달을 거칠게 다뤄 무게중심을 흔들어 보면 M3 대비 안정된 M4의 주행감각이 전달된다. 시승하는 내내 일관되게 전달되는 감각이다. 공차중량은 세단이 10kg 무거운데, 움직임은 오히려 반대의 상황을 연출하는 점은 재밌다. 

퍼포먼스카 분야에서 최근 가장 핫한 트렌드, 드리프트에 대한 지원도 M3와 M4에는 포함된다. 트랙션 컨트롤 기능을 총 10단계로 조절 가능한 M 트랙션 컨트롤, 드리프트 타각과 드리프트 주행거리 등 드리프트 상황을 기록하는 M 드리프트 애널라이저가 기본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차를 드리프트 시키는 것은 기존 세대 M3 보다 어려워졌다. 젖은 노면에서의 좁은 원돌이에 적응하지 못한 운전자의 실력 탓이 크겠지만, 리어 휠을 지속적으로 날리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암튼 드리프트가 이제는 주류 테크닉으로 자리잡은듯 하다. 

M3와 M4는 센터 콘솔의 셋업 버튼을 누르면 손쉽게 엔진과 섀시, 스티어링, 브레이크 시스템 설정의 개별 조정이 가능하다. 스티어링 휠에 위치한 M 버튼에 선호하는 설정을 저장해 원할 때 즉각 불러올 수 있는 점은 M 디비전에서 시작해 이제는 N도 따라하는 설정이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시승기] 카니발 하이브리드, 대형 SUV 위협하는 상품성

[시승기] 카니발 하이브리드, 대형 SUV 위협하는 상품성

기아 카니발 하이브리드 9인승을 시승했다. 카니발 하이브리드는 연비와 정숙성을 함께 만족하는 모델로, 비교적 높은 가격에도 인기가 좋아 카니발 디젤의 단종을 앞당긴 것으로 평가된다. SUV를 선호하는 트렌드와 대형 SUV가 관심을 받고 있지만, 다인승 이동시 편의성은 독보적이다. 기아는 카니발 부분변경(KA4 PE)을 지난 2023년 11월, 하이브리드는 12월 출시했다. 사전계약에서 90%의 고객이 하이브리드를 선택하며, 출고 대기가 1년을 넘어서기도 했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90 쿠페 양산되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

제네시스 G90 쿠페 양산되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

제네시스가 G90 쿠페, 엑스 그란쿠페 콘셉트(X Gran coupe concept)의 실차 이미지와 영상을 추가로 공개해 주목된다. 이탈리아 동부 마르케 지역에서 촬영된 이번 콘텐츠를 통해 엑스 그란 쿠페가 단순히 목업 차량이 아닌, 실제로 구동계가 탑재된 실차임을 보여줘, 양산 가능성을 높였다. 제네시스 브랜드는 2015년 11월 브랜드 론칭시 예고한 6개 모델 라인업에 '니어 럭셔리 스포츠 쿠페'를 포함하는 등 쿠페형 모델 출시에 대한 계획이 있었다. 이후 2016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닛산 신형 실피 공개, 과감한 전면부 디자인..아반떼급 세단

닛산 신형 실피 공개, 과감한 전면부 디자인..아반떼급 세단

닛산은 신형 실피(SYLPHY) 외관 디자인을 12일 공개했다. 신형 실피는 부분변경으로 전면부를 가로지르는 풀사이즈 LED 라이트바와 독특하게 디자인된 주간주행등 등 과감한 디자인이 적용됐다. 신형 실피는 내년 중국에 출시되며, 미국에서는 센트라로 판매된다. 실피는 닛산의 준중형 세단이다. 신형 실피는 4세대 부분변경으로 2026년 1분기 중국 시장에 투입된다. 실피는 미국에서 센트라로 판매되는데, 현대차 엘란트라(국내명 아반떼), 기아 K4, 혼다 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AMG E53 에스테이트, 미국서 가장 저렴한 퍼포먼스 왜건

AMG E53 에스테이트, 미국서 가장 저렴한 퍼포먼스 왜건

메르세데스-AMG는 12일 AMG E53 에스테이트(Estate) 가격을 미국서 공개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E53 에스테이트는 신형 E클래스 에스테이트의 고성능 버전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탑재해 총 출력 612마력을 발휘하며, 가격은 9만4500달러(약 1억3000만원)다. E53 에스테이트는 신형 E클래스 에스테이트의 고성능 버전이다. 국내에는 E53 세단이 출시됐는데, 에스테이트 출시는 미정이다. E53 에스테이트의 미국 가격은 9만4500달러(약 1억3000만원)로 BMW M5 투어링, 아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토요타 랜드크루저 랠리 에디션 공개, 오프로드 스포츠카

토요타 랜드크루저 랠리 에디션 공개, 오프로드 스포츠카

토요타는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Rally Raid Edition)을 11일 공개했다.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은 튜닝된 전용 서스펜션과 전용 휠 등을 탑재해 오프로드 성능이 강화됐다. 트윈 터보 디젤 엔진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은 랜드크루저 팀이 다카르 랠리 양산차 부문에서 1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기 위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된 스페셜 모델이다. 랜드크루저 GR 스포츠 랠리 에디션은 일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 퍼포먼스와 사운드 매력적

[시승기]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 퍼포먼스와 사운드 매력적

볼보 EX30 크로스컨트리를 시승했다. EX30 크로스컨트리는 EX30을 기반으로 오프로더 스타일의 차별화된 외관 디자인과 19mm 높아진 지상고를 통해 전통적인 볼보의 크로스컨트리 분위기를 만들어냈다. 특히 428마력 듀얼 전기모터의 강력한 퍼포먼스와 1040W 사운드 장비는 주목된다. 볼보코리아는 지난 4일 크로스컨트리 최초의 전기차 EX30 크로스컨트리를 출시했다. 1997년부터 시작된 크로스컨트리(Cross Country)는 볼보가 만들어낸 독창적인 라인업으로, 스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그랑 콜레오스 2026년형 살펴보니, 선루프로 개방감 높였다

그랑 콜레오스 2026년형 살펴보니, 선루프로 개방감 높였다

르노코리아가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를 선보였다.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는 파노라마 선루프를 도입하고, 퓨어 화이트 그레이 인테리어가 추가됐다.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기능과 신규 내외장 컬러, 아웃도어 감성의 스페셜 에디션 에스카파드(escapade)를 함께 출시한 점이 특징이다. 2026년형 그랑 콜레오스는 고객 요구 사항을 반영해 openR(오픈알) 파노라마 스크린 바탕화면 내 공조장치 위젯 추가 등 UI를 개선했다. 동승자는 20가지 캐주얼 게임이 포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맥라렌 750S JC96 에디션 공개, 도로용 레이스카

맥라렌 750S JC96 에디션 공개, 도로용 레이스카

맥라렌은 750S JC96 에디션을 11일 공개했다. 750S JC96 에디션은 일본에서만 판매되는 한정판 모델로 타이거 스프라이프 디자인을 특징으로 MSO 750S 전용 다운포스 키트(HDK)를 통해 트랙 주행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 750S JC96 에디션은 61대만 한정 생산된다. 750S JC96 에디션은 1996년 일본 그랜드 투어링카 챔피언십(JGTC)에서 드라이버 챔피언십을 차지한 맥라렌 F1 GTR에 경의를 표현하는 스페셜 모델이다. 750S JC96 에디션은 쿠페와 스파이더로 운영되는데, 199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애스턴마틴 볼란테 60주년 에디션 공개, 희소성 높인 오픈카

애스턴마틴 볼란테 60주년 에디션 공개, 희소성 높인 오픈카

애스턴마틴은 뱅퀴시와 DB12 볼란테 60주년 에디션을 11일 공개했다. 뱅퀴시와 DB12 볼란테 60주년 에디션은 애스턴마틴 오픈톱 라인업 볼란테의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Q 바이 애스턴마틴에서 전용 디자인 요소로 고급감을 높였다. 각각 60대 한정 생산된다. 뱅퀴시와 DB12 볼란테 60주년 에디션은 애스턴마틴의 오픈톱 라인업을 의미하는 볼란테의 6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애스턴마틴의 맞춤형 비스포크 서비스 Q 바이 애스턴마틴에서 제작했다. 각각 60대 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