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벤츠 더 뉴 E350, 증강현실 기능 제네시스보다 좋다

[시승기] 벤츠 더 뉴 E350, 증강현실 기능 제네시스보다 좋다

발행일 2020-10-28 17:06:43 김한솔 기자

벤츠 더 뉴 E350 4MATIC AMG 라인을 시승했다. 더 뉴 E클래스는 부분변경 모델로 파격적인 디자인과 국내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다. 특히 새롭게 도입된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의 활용도가 우수하며, EQ부스트가 탑재된 2.0리터 엔진은 6기통 엔진과 유사한 감각이다.

E클래스는 국내 수입차 시장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모델 중 하나다. 한국 판매량은 중국을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다. 10세대 E클래스는 출시 3년만인 지난해 7월 수입차 최초로 단일 모델 10만대 판매라는 신기록도 달성했다. 시승차의 가격은 8880만원이다.

E350 4MATIC AMG 라인에 적용된 MBUX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은 교차로, 고속도로 IC, 골목 등 목적지 경로상 주요 구간 혹은 정확한 안내가 필요한 구간에서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12.3인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일반 내비게이션과 분할 화면으로 표시된다.

도로에는 화살표가 그려지며, 복잡한 구간에 다가갈 수록 공중에 도로명과 화살표가 정확하게 표시된다. 항시 작동되는 제네시스 G80, GV80의 증강현실 내비게이션과 달리 헷갈릴 수 있는 도로에서만 활성화돼 어지럼증도 없으며, 직관적으로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E350 4MATIC AMG 라인은 새로운 디자인의 멀티빔 LED 헤드램프와 보닛 위 2개의 파워돔, 다이아몬드 라디에이터 그릴이 조화를 이뤄 역동적인 이미지다. 휠은 20인치다. 후면부 테일램프는 트렁크를 파고드는 형태로 변경됐다. 머플러 형상의 장식이 적용됐다.

실내에는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로 구성된 와이드 스크린 콕핏 디스플레이가 탑재됐다. 시트 포지션은 낮다. 시트의 사이드 볼스터가 몸을 안정적으로 잡아준다. 2열 레그룸은 1열을 여유롭게 설정해도 신장 180cm의 성인 남성이 앉기에 여유가 있다.

벤츠 최초로 적용된 차세대 지능형 스티어링 휠의 터치 버튼은 스마트폰처럼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터치 버튼은 인식률과 반응, 정확도가 뛰어나다. 스티어링 휠 조작시 스치듯 터치 버튼을 지나가는 손가락을 인식해 디지털 계기판의 그래픽이 변경되기도 한다.

더 뉴 E350 4MATIC AMG 라인은 2.0리터 직렬 4기통 가솔린 엔진과 9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299마력, 최대토크 40.8kgm의 성능을 발휘한다.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인 EQ부스트 기술이 탑재돼 가속시 22마력의 출력과 25.5kgm의 토크를 지원한다.

더 뉴 E350 4MATIC AMG 라인의 가속페달은 에코모드는 물론 모든 주행모드에서 빠르게 반응한다. 에코모드는 빠른 타이밍의 변속으로 가속이 더딜 뿐이다. 초반 발진 가속을 포함한 가속감은 부드러우면서도 경쾌하다. 벤츠 6기통 가솔린 엔진과 유사한 감각이다.

저속과 중고속 영역에서의 펀치력도 뛰어나다. 도심과 고속도로 주행에서 출력에 대한 부족함을 전혀 느낄 수 없다. 가속시 25.5kgm의 토크를 지원하는 EQ부스트가 한몫하며, 터보렉을 보완한다. 제동시 발생하는 에너지는 EQ부스트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사용된다.

9단 자동변속기의 변속감은 무단변속기 수준으로 부드럽다. 에코모드에서는 100km/h에서 9단에 체결된다. 스포츠 모드 및 스포츠+ 모드에서는 등 뒤를 때리는 듯한 변속 충격을 인위적으로 구현해 스포티함이 배가된다. 또한 엔진음과 배기음도 한층 묵직해진다.

특히 스포츠+ 모드 주행시 3단에서 4단으로 넘어가는 구간의 재가속감이 일품이다. 3단 최고속도는 100km/h다. 변속기 반응 속도는 DCT 변속기만큼 빠르고 체결감도 우수하다. 그러나 패들시프트를 이용한 수동모드에서 기어 단수가 고정되지 않는 부분은 아쉽다.

승차감은 저속에서 부드럽고 고속에서는 단단하다. 60km/h 이하의 도심 혹은 저속주행에서 고르지 못한 노면과 요철, 과속 방지턱을 통과하면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한다. 2~3번의 상하 바운싱 이후 자세를 잡는다. 벤츠 특유의 물렁하고 편안한 승차감이 강조된다.

반면, 고속주행에서는 경쟁 모델인 BMW 신형 530i xDrive M스포츠보다 더 단단하다. 속도가 높아질수록 차체가 지면으로 낮게 가라앉는 감각이다. 한 번의 상하 바운싱으로 자세를 잡는다. 다만 요철을 빠르게 통과하면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고속주행시 속도계를 확인하지 않으면 속도감을 느끼기 어려울 정도로 안정적이다. 연속된 코너와 완만한 고속 코너링에서도 차체 좌우 롤링 현상을 최대한 억제해 빠르고 안정적으로 코너를 통과할 수 있다. 반대로 4~50km/h 저속 코너에서는 롤링 현상을 일부 허용한다.

코너 진입시 안쪽으로 파고드는 성향이 강하지만, 코너 탈출시 가속페달을 깊게 밞으면 언더스티어 현상이 발생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작한 만큼 전륜 조향이 이뤄진다. 스티어링 휠 기어비를 타이트하게 설정해 스포티함을 강조한 경쟁 모델과는 다른 부분이다. 

브레이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에 가하는 답력에 따라 빠르고 정확하게 제동한다. 고속에서 풀 브레이킹시 차체 거동도 안정적이다. 정차시 실내로 전달되는 엔진의 소음과 진동은 기존 모델과 비교해 줄었다. 특히 외부에서 들리는 엔진음도 기존 모델보다 작아졌다.

고속주행시 차체를 타고 올라오는 노면 소음과 풍절음은 S클래스 못지않다. 특히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탑재돼 ISG 성능이 크게 개선됐다. 엔진 가동이 꺼지고 켜지는 전환이 부드럽게 이뤄진다. 엔진 가동시 특유의 진동도 느끼기 어렵다.

신형 E클래스 모든 트림에 기본 적용된 드라이빙 어시스턴스 패키지의 활용도도 뛰어나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은 앞차와의 간격을 부드럽게 유지하며, 정차와 재출발이 자연스럽게 진행된다. 차로 중앙을 정확하게 주행하며 약 13초간 운전자의 손을 자유롭게 한다.

또한 경로 기반 속도 조절 기능도 속도를 부드럽게 줄여 불안하지 않다. 다만 속도 제한 표지판을 인식해 자동으로 속도를 조정하는 액티브 속도 제한 어시스트는 불만이다. 고속도로 주행중 주변 도로의 표지판을 인식해 갑작스럽게 80km/h까지 속도를 줄이는 모습을 보였다.

더 뉴 E350 4MATIC AMG 라인은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ADAS 시스템 등 국내 고객 선호 사양 적용과 기본기를 바탕으로 한 탄탄한 주행 성능이 강점이다. 테스트 주행에서 기록한 누적 연비 9.8km/ℓ도 주목해야 한다. 물론 파격적인 외관은 호오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