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4세대 카니발, 정숙성과 승차감 업그레이드

[시승기] 4세대 카니발, 정숙성과 승차감 업그레이드

발행일 2020-08-26 07:37:52 김한솔 기자

기아차 4세대 카니발을 시승했다. 4세대 카니발은 기아차 3세대 신규 플랫폼과 함께 신형 2.2 디젤 엔진, 파격적인 디자인, 다양한 사양 등이 적용돼 상품성이 높아졌다. 기존 카니발과 비교해 엔진 및 주행 정숙성, 승차감이 향상됐으나, 스티어링 휠 조작 직결감은 아쉽다.

4세대 카니발은 지난달 28일 사전계약 개시 하루만에 2만3006대가 계약됐다. 이는 신형 쏘렌토가 보유하고 있던 역대 최다 사전계약 대수를 4065대 초과 달성한 수치다. 국내 최단시간/최다 신기록이다. 시승차는 신형 카니발 7인승 디젤 풀패키지로 가격은 4800만원이다.

4세대 카니발의 차체 크기는 전장 5155mm, 전폭 1995mm, 전고 1740mm, 휠베이스 3090mm다. 기존 모델 대비 전장 40mm, 전폭 10mm, 휠베이스는 30mm 늘어났다. 1열만 사용하는 카니발의 최대 적재 공간은 2905ℓ, 3열 뒷좌석까지는 627ℓ다.

신형 카니발의 외관은 곡선이 강조된 기존의 카니발과 달리 직선이 강조됐다. 전면부는 주간주행등은 박자와 리듬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했으며, LED 헤드램프와의 경계를 허문 심포닉 아키텍처 그릴이 적용됐다. 그릴은 범퍼 하단을 가로지르는 크롬 가니쉬와 대비된다.

측면부는 기존 카니발의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대형 SUV 같은 모습이다. 헤드램프부터 리어램프까지 하나의 선으로 이어지는 캐릭터라인으로 속도감을 부여했다. 캐릭터라인은 슬라이딩 도어 오픈시 일치된다. C필러에는 독특한 패턴의 크롬 가니쉬가 적용됐다.

후면부의 좌우가 연결된 형태의 테일램프는 전면부 주간주행등과 같은 형상의 그래픽이다. 가로바도 점등된다. C필러부터 연결돼 후면부를 가로지르는 크롬 가니쉬와 테일램프, 테일게이트는 수평을 강조했다. 방향지시등과 후진등은 범퍼 하단으로 내려왔다.

실내는 무한한 공간 활용성을 콘셉트로 디자인됐다.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 및 내비게이션을 통합한 파노라마 디스플레이가 적용됐다.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는 햇빛을 반사하지 않아 시인성이 뛰어나다. 다만 시트포지션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계기판 일부를 가린다.

센터페시아의 디스플레이 조작 버튼과 공조기는 아날로그와 터치 방식이 혼합됐다. 2열에는 프리미엄 릴렉션 시트(7인승 전용)가 적용됐다. 프리미엄 릴렉션 시트는 무중력 공간에 떠 있는 듯한 자세로 만들어 피로도를 줄인다. 2열을 위한 확장형 센터콘솔이 탑재됐다.

2열 시트는 앞뒤는 물론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며, 2열 파워 리클라이닝 및 3열 시트의 시킹 기능을 활용해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2열 시트의 착좌감은 1열과 같이 좋다. 3열 시트는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하지만 착좌감은 다소 단단하다. 

4세대 카니발 디젤에는 스마트스트림 D2.2 디젤 엔진과 8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돼 최고출력 202마력, 최대토크 45kgm의 성능을 낸다. D2.2 엔진은 주철 블록을 알루미늄으로 대체해 기존 엔진보다 20kg 가벼우며, 마찰을 줄이고 냉각 성능과 효율성을 높였다.

복합연비는 7인승, 19인치 타이어, 빌트인캠 기준 12.5km/ℓ다. 정차시 실내로 유입되는 엔진 소음과 진동은 기존 카니발 대비 크게 적다. 2700rpm 이하의 여유있는 주행시 가솔린 엔진과 비슷한 수준의 정숙성이다. 급가속시에는 디젤 엔진 특유의 엔진음이 발생한다.

100km/h 이하의 속도에서의 정숙성은 신형 쏘렌토만큼 조용하다. 110km/h 이상 주행시 A필러를 통해 유입되는 풍절음은 신형 쏘렌토보다 크게 유입된다. 노면을 타고 올라오는 하체 소음은 세단과 비교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적다. 가속감은 더 경쾌해졌다.

신형 카니발 7인승의 공차중량은 2095kg다. 기존 카니발보다 70kg 이상 가벼워졌다. 가벼워진 공차중량과 함께 1750rpm부터 발휘되는 최대토크 덕분에 빠른 가속이 가능하다. 스포츠모드에서는 즉각적인 가속페달 반응과 함께 엔진 회전수를 4000rpm까지 빠르게 올린다.

속도가 줄어도 쉽게 기어단수를 내리지 않는다. 에코모드는 즉각적인 가속페달 반응 대신 빠른 기어변속을 통해 높은 rpm을 사용하지 않는다. 컴포트모드와 가속페달을 밟는 압력에 따라 주행모드를 스스로 선택하는 스마트모드가 일상 주행에 적합하다.

8단 자동변속기의 변속감은 부드럽다. 업시프트는 습식 8단 DCT 변속기만큼 빠르지만, 다운시프트는 한템포 늦다. 신형 카니발의 승차감은 단단하면서도 부드럽다. 신형 쏘렌토와 유사한 감각이다. 특히 신형 카니발은 고속주행 안정감이 크게 개선됐다.

불규칙한 노면과 요철을 빠른 속도로 통과하면 충격은 부드럽게 흡수하면서도 차량을 단단하게 잡아준다. 탄탄하게 세팅된 서스펜션은 불필요한 상/하 움직임을 최소화했으며, 차체를 지면으로 강하게 잡아당긴다. 차체와 서스펜션 조화의 완성도도 돋보인다.

저중속 구간을 비롯해 고속주행에서도 기존 카니발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요철을 빠른 속도로 통과할 때 차체로 전달되는 충격과 쇠끼리 부딪치는 듯한 소음이 사라졌다. 고속코너에서 요철을 통과할 때도 차체와 서스펜션의 일체감이 높아져 불안하지 않다.

연속된 코너에서는 차체 좌우 롤링 현상을 일부 허용한다. 신형 카니발의 가장 아쉬운 부분은 스티어링 휠의 조작 직결감이다. 신형 카니발에는 C-MDPS가 적용됐다. 연속된 스티어링 휠 조작에서 이질감이 느껴지며, 기어비가 낮아 차량의 반응이 다소 더디다.

C-MDPS가 적용되며 카니발 최초로 탑재된 차로 이탈방지 보조와 차로 유지 보조 기능은 R-MDPS 차량과 비교해 정교함이 떨어진다. C-MDPS는 R-MDPS 대비 조향 모터의 용량이 적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의 앞차 간격 유지는 자연스럽게 유지된다.

4세대 카니발은 엔진 및 실내 정숙성과 주행성능, 차체의 안정감과 완성도, 안전 및 편의사양 등이 기존 카니발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상승했다. 아쉬운 부분도 있으나 독주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연비는 누적 12.3km/ℓ, 10km의 고속도로에선 20.1km/ℓ를 기록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