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소전기차에 사용되는 연료전지기술이 항공기에 사용될 전망이다. 오토모티브뉴스에 따르면 GM은 미래차에 사용될 수소전기차 관련 비용을 줄이기 위해 프랑스 립헤르 에어로스페이스와 항공기용 수소연료전기 보조전원장치를 개발한다.
립헤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GM은 20년 전 휴즈 항공기 사업부를 매각한 이후 다시 항공우주산업에 뛰어든다. 파트너십에서 립헤르는 항공기 시스템에 대한 전문 지식을 제공하며, GM은 연료전지 노하우를 제공해 항공기내 조명, 에어컨 등 보조 전원으로 활용한다.
연료전지를 통해 항공기의 보조 전원을 생성할 경우 현재의 시스템 보다 월등히 조용하고 효율적이며, 지상에서도 동작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연료전지에서 생성되는 수증기를 통해 기내에 가습기를 동작시킬 수 있으며, 화장실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GM 글로벌 연료전지 사업부 전무 찰리 프리스 총괄은 "연료전기 기술을 신속하게 발전시켜 비용을 줄이는 것이 GM의 전략"이라고 말했다. GM은 연료전지기술이 적용된 군용 차량을 개발하고 있으며, 지난해 연료전지 시스템 생산을 위한 합작회사를 혼다와 설립했다.
한편, GM은 연료전지기술이 사용된 군용차 개발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군용 콘셉트카 ZH2는 수소연료전지 파워트레인이 적용된 모델로 올해 오프로드에서의 효용성 평가를 시작해 적합성 테스트에 통과할 경우 실제 전장에 투입될 계획이다.
ZH2 콘셉트는 이동시 엔진으로 인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아 적군에게 탐지될 가능성이 극히 낮으며, 야전에서 비상용 발전기로 사용될 수 있어 효용성이 높다. 또한 군용차는 기지내에서 연료를 조달받고 있어 기지내 충전소 구축시 충전의 어려움이 해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