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싼타페 가솔린 터보, 고성능 SUV의 서막

[시승기] 싼타페 가솔린 터보, 고성능 SUV의 서막

발행일 2018-03-06 07:50:04 이한승 기자

현대자동차 신형 싼타페 가솔린 2.0T를 시승했다. 가솔린 터보엔진이 적용된 싼타페 2.0T는 디젤 모델을 앞서는 차별화된 가속력과 경쾌한 주행감각이 특징이다. 특히 8단 자동변속기 적용을 통해 일상주행에서의 높은 연비까지 갖춰 상품성을 높였다.

올해 2월 출시된 신형 싼타페는 영업일 8일만에 사전계약 1만4243대를 기록해 돌풍을 예고했다. 특히 첫날 계약된 8192대는 국산차 역대 최고 기록이다. 사전계약에서 디젤 2.0과 디젤 2.2, 그리고 가솔린 2.0 터보의 비중은 각각 67%, 27%, 6%를 기록했다.

가솔린 모델의 비중이 높은 소형 SUV와 달리 6%에 불과한 싼타페 가솔린 터보의 비중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QM6 가솔린의 판매 비중이 60%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싼타페 가솔린 터보의 잠재력이 높다. 싼타페 가솔린 터보는 디젤 2.0 대비 280만원 저렴하다.

디젤 대비 280만원 저렴한 가격

시승한 모델은 3115만원의 익스클루시브 스페셜 트림에 내비게이션, 스마트센스, 테크 플러스, 파노라마 썬루프가 추가된 3655만원 사양이다. LED 헤드램프, 파워트렁크, 서라운드 뷰,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까지 포함된 모델로 최신 옵션을 모두 담았다.

싼타페 가솔린의 경우 프리미엄과 익스클루시브 스페셜의 두 개 트림으로 구성돼 선택이 제한적이다. 또한 최상급 모델에서도 가죽시트, 동승석 전동시트, 메모리 시트, 2열 스마트 원터치 폴딩은 선택할 수 없다. 대신 AWD 등 모든 옵션을 더해도 3935만원이다.

외관에서 싼타페 가솔린 터보의 가장 큰 차이는 머플러팁이다. 싱글 트윈팁 머플러가 적용된 디젤 모델과 달리 다소 심심한 싱글팁 머플러가 적용됐다. 실내에서는 6500rpm부터 시작되는 엔진회전계와 아이들링스탑의 부재가 가솔린 모델임을 나타낸다.

정숙한 실내와 인조가죽시트

시승차는 15만원짜리 인테리어 디자인 셀렉션이 빠져있어 대시보드 가죽 커버링이 적용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푹신한 우레탄 대시보드와 스티치 문양까지 적용해 고급스럽고자 노력했다. 특히 인조가죽시트는 미리 얘기하지 않으면 가죽처럼 느껴진다.

시동을 걸어도 적막한 실내는 디젤 모델과 가장 구분된다. 직분사엔진 특유의 칼칼한 엔진음이 나즈막히 전달되지만 소음과 진동이 디젤과 비할 바는 아니다. 높은 시트포지션이 아니라면 SUV 보다는 세단에 가까운 감각으로 진동 부분에서 디젤과 차이가 크다.

싼타페 가솔린 2.0T에는 2.0리터 4기통 직분사 터보엔진이 적용돼 6000rpm에서 최고출력 235마력, 1450-3500rpm에서 최대토크 36.0kgm를 발휘한다. 5인승 2WD 모델의 공차중량은 1680kg, 복합연비는 9.5km/ℓ(도심 8.4, 고속 11.4)다.

중형세단에 가까운 주행감각

처음 미디어시승에서 접한 싼타페 2.0 AWD 7인승 모델의 1915kg 대비 공차중량이 무려 235kg 가볍다. 60kg의 성인 4명의 무게를 덜어낸 셈이다. 때문에 발진시 움직임이 한결 경쾌하다. 가솔린 터보엔진 특유의 저회전 토크도 경쾌함을 더하는 요소다.

중저속에서의 일상주행은 출력이 여유로운 중형세단을 모는 감각이다. 시트포지션과 운전시야가 다를 뿐 세단처럼 매끄럽고 부드럽다. 주행감각은 신형 싼타페가 기존 모델과 가장 차별화된 부분으로, 신형에 비하면 기존 모델은 상용차처럼 느껴진다.

일상주행에서는 대부분의 가속을 2000rpm 이하에서 커버한다. 그렇다고 힘이 넘치는 감각은 아닌데, 가속페달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2000-3000rpm 구간도 부담없이 넘나든다. 과거 저회전 중심의 기어로직이었다면 현재는 높은 회전수를 써 빠르게 속도를 높인다.

기어로직의 새로운 변화들

차가 탄력이 붙은 상태에서는 빠르게 고단기어로 변속돼 엔진회전을 낮춘다. 주행 중 퓨얼컷이 걸리는 빈도가 높고, 퓨얼컷 상황에서도 타력주행을 하려는 성향이 강해 도심에서의 연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 도심에서는 7~9km/ℓ 수준의 연비를 기록한다.

싼타페 가솔린 터보는 평균 90km/h에서 평균연비가 16~18km/ℓ까지 상승한다. 8단 자동변속기 이전에는 기대하기 어렵던 연비다. 평속 30km/h의 일상주행 연비는 10~13km/ℓ 수준이다. 다만 주행패턴에 따른 편차가 큰데 과격한 주행에서는 5km/ℓ 이하도 기록한다.

신형 싼타페에 적용된 스마트 주행모드는 가속페달에 가해지는 힘에 따라 에코와 컴포트, 스포츠모드를 스스로 오간다. 주행모드에 따라 계기판의 스마트 아이콘 색상이 변하다. 스포츠모드에서는 최저 엔진회전을 2000rpm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뛰어난 가속성능과 단점들

2000rpm은 엔진의 힘이 본격적으로 발휘되는 시점으로, 3000rpm에서는 60~70%의 힘을, 4000rpm부터는 엔진의 힘을 모조리 쏟아낸다. 특히 같은 엔진회전에서도 주행모드에 따라 힘이 다르게 느껴지는데, 스포츠모드에서의 4000rpm부터 가속력은 폭발적이다.

풀 가속에서의 가속력은 싼타페 2.0 디젤과 비교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다. 유사한 모델로는 아반떼 스포츠가 떠오른다. 170km/h까지는 쉬지 않고 가속되며 이후에도 가속력이 다소 둔해질 뿐 220km/h까지 꾸준히 가속된다. 최고속도는 220km/h에서 제한된다.

중고속에서의 가속력은 아주 경쾌한데, 덩치가 무색할 만큼 빠르다. SUV 특유의 롤을 허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좀 처럼 한계를 넘어서지 않고 유연하게 움직인다. 170km/h 이상부터 안정감이 떨어지고, 풀 가속시 요철에서 로드홀딩이 약해지는 점은 흠이다.

감성적인 부분에 대한 고민

디젤 모델 대비 가벼워진 차체와 평범한 그립의 타이어, 그리고 AWD가 적용되지 않은 점 등은 고속주행에서의 안정감을 낮추는 요소로 생각되는데, 이같은 부분들이 보완될 경우 싼타페 가솔린의 잠재력은 대단히 높다. 싼타페 N을 기대할 수도 있겠다.

정지상태에서 100km/h 가속은 8초 초반을 기록했다. 자세제어장치가 켜진 상태에서는 휠 스핀을 억제하기 위해, 자세제어장치가 커진 상태에서는 휠 스핀으로 인해 1초 가까이 소진한다. AWD 모델이나 고성능 타이어 적용시 7초대 진입도 가능해 보인다.

싼타페 가솔린 터보는 가속력은 뛰어난 반면 가속시 감성적인 부분은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4000rpm을 넘어서는 순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구간에서 건조하다. 가장 대중적인 중형 SUV에게 욕심일 수 있지만, 6%의 고객들은 이런 부분에 감동할 수 있다.

싼타페 가솔린 터보는 누구나 기대하는 정숙성 뿐만 아니라 동급에서 가장 뛰어난 가속성능을 통해 고성능 SUV에 대한 새로운 기대감을 갖게 한다. 특히 연비의 향상은 주목할 만 하다. 가장 저렴한 가격에 가장 빠른 싼타페가 바로 싼타페 가솔린 터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