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쏘렌토 2.2, 8단 변속기는 터닝 포인트

[시승기] 쏘렌토 2.2, 8단 변속기는 터닝 포인트

발행일 2017-09-12 05:24:49 이한승 기자

기아자동차 더 뉴 쏘렌토 2.2 AWD를 시승했다. 부분변경을 통해 내외관 디자인을 변경한 쏘렌토는 8단 자동변속기의 적용으로 주행감각이 한층 개선됐다. 쏘렌토는 공간과 정숙성, 연비와 가속력까지 모든 요구사항을 한 대로 만족시켰다.

기아차는 지난 7월 부분변경 모델인 더 뉴 쏘렌토를 출시했다. 2014년 처음 선보인 쏘렌토는 출시 이듬해 판매량을 두 배 가까이 끌어올리는 등 고객들로부터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더 뉴 쏘렌토는 출시와 함께 판매량을 23% 끌어올렸다.

더 뉴 쏘렌토에는 8단 자동변속기를 비롯해 LED 헤드램프, 다이내믹 벤딩 라이트, R-MDPS, 스마트 드라이브 모드, 차로이탈보조(LKA), 운전석 전동 익스텐션, 운전석 럼버 서포트 등 다양한 신규 사양이 추가돼 상품성을 높였다.

풀패키지 가격은 4365만원

시승한 모델은 더 뉴 쏘렌토 2.2 AWD 노블레스 스페셜 풀패키지 모델로 차량가격만 4000만원 중반을 바라본다. 기본형의 가격이 2785만원 임을 감안하면 상당한 가격 차이다. 추가된 사양이 플래그십 모델인 K9 수준 임에 위안을 삼는다.

신형 쏘렌토의 외관은 세련된 감각이 강조됐다. 헤드램프를 비롯한 램프류 디자인이 변경됐을 뿐인데 풍기는 이미지가 남다르다. 헤드램프의 면적이 줄지 않았음에도 날렵하게 느껴진다. 블랙에 가까운 리치 에스프레소 외장컬러는 고급감을 더한다.

실내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4-스포크 스티어링 휠과 퀼팅시트의 적용이다. 스티어링 휠은 사진보다 고급스러운데, 특히 혼 커버의 재질은 인상적이다. 퀼팅패턴까지 아낌없이 적용된 시트는 덩치가 큰 성인도 편하게 느끼도록 넉넉한 사이즈다.

여유로운 출력과 실내공간

시각적으로 다소 거칠게 느껴지는 대시보드 상단과 센터페시아, 도어패널 상단부의 재질은 모두 부드러운 우레탄 재질이 적용됐다. 평소 타이트한 운전자세를 갖는 운전자에게 쏘렌토의 2열 공간은 여유롭다 못해 광할하게 느껴진다.

시승한 모델은 2.2리터 4기통 디젤엔진이 적용돼 3800rpm에서 최고출력 202마력, 1750-2750rpm에서 최대토크 45.0kgm를 발휘한다. 2.0 디젤엔진 대비 출력과 토크가 높을 뿐만 아니라 6단 변속기를 대신해 8단 변속기가 적용됐다.

2.2 디젤 7인승 AWD(19인치 휠)의 공차중량은 1970kg으로 기본형 2.0 디젤 모델의 1820kg 대비 150kg 무겁다. 복합연비는 11.6km/ℓ(도심 10.5, 고속 13.2)다. 동일한 사양 기준 2.0 디젤이 15kg 가볍지만 연비는 2.2 디젤이 높다.

완성도 높은 8단 자동변속기

실제 주행에서도 8단 자동변속기는 가속감에서 기존 6단 변속기를 앞선다. 가속시 업시프트 속도가 빠르고 직결감이 향상됐다. 다만 계기판 클러스터의 민첩한 움직임은 변속기 보다는 계기판 클러스터가 업그레이드 된 영향이다.

토크밴드가 좁아 잦은 변속이 요구되는 디젤엔진과 결합된 8단 변속기는 간혹 무단변속기 같은 느낌을 전하기도 한다. 조금 과장을 더해 1초마다 변속이 진행된다. 변속시 소음과 진동은 거의 없는 수준으로 뛰어난 완성도를 보인다.

현대기아차에서 널리 사용되는 2.2 디젤은 제원상 출력과 토크에서 이미 세계적인 수준이다. 그러나 6단 자동변속기와 조합시 오버파워로 느껴지기도 했는데, 8단 변속기의 적용으로 힘을 전하는 감각은 충분히 만족스럽다.

개선이 필요한 항목들

다만 다운시프팅과 패들 시프터를 통한 변속에서는 다소 더딘 모습을 보이는데 동급 SUV에서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이다. 변속기의 전반적인 특성은 ZF사와 아이신의 중간 수준으로 개발자들의 치열한 벤치마킹 흔적이 느껴진다.

도심주행에서 다소 아쉬운 부분은 아이들링 스탑의 재시동 과정의 동작이 다소 느리다. 부드러움에서는 잇점으로 작용하나, 마음 급한 운전자라면 불만을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극심한 정체구간에서는 눈에 띄게 연료비를 아껴준다.

또 다른 아쉬움은 제동력이다. 밟는 힘과 비례해 제동력을 늘려주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나 기대한 제동력에는 미치지 못한다. 충분한 제동을 위해서는 브레이크를 깊게 밟아야 하는데 브레이크 어시스트로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이다.

과속방지턱에 최적화된 서스펜션

더 뉴 쏘렌토는 서스펜션의 변화가 감지된다. 특히 과속방지턱을 넘는 동작에서 바퀴가 바로 떨어지지 않고 잠시 잡아두는 듯한 감각을 전한다. 제네시스 EQ900의 그것과 유사하다. 부드러워진 반면 150km/h 이상에서의 안정감은 다소 줄었다.

기아차는 더 뉴 쏘렌토 출시와 함께 튜온 패키지를 제공한다. 성능을 높인 쇽업쇼버와 스프링을 포함한 성능 패키지를 67만원에 추가할 수 있어, 부드러운 승차감 보다는 주행성능에 비중을 두는 고객이라면 눈여겨볼만 하다.

시승기간 동안 기록한 누적 평균연비는 10.0km/ℓ를 기록했다. 얌전하지 않았던 주행패턴과 차의 크기를 감안하면 무난한 수치다. 중대형 SUV에서 디젤엔진이 쉽게 사라지지 않을 이유이기도 하다. 90km/h 전후에는 13~15km/ℓ를 나타냈다.

더 뉴 쏘렌토는 거주성, 적재공간, 승차감, 동력성능, 연비 등 고객들이 요구하는 대부분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 특히 2.2 디젤 기준 2860만원에서 시작되는 가격과 LED 헤드램프를 포함한 스타일업 패키지의 구성은 매력적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