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도심 SUV의 '끝판왕'

[시승기]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도심 SUV의 '끝판왕'

발행일 2013-06-14 16:43:44 김한용 기자
▲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가 인제 스피디움 서킷을 달리고 있다.

세상에는 여러 차들이 있지만, 사실 그 중 태반은 그저그런 자동차들이다. 별반 특색도 없고 그리 잘난 구석도 없이 얼굴만 조금씩 다른 차들을 일년 내내 시승하자면 그도 고역이다. 그래도 자동차 기자로 살면서 위안이 되는 순간은 바로 이런 차를 타는 특권을 누릴 때다. 이번에 시승한 차는 그 이름도 거룩한(?)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다.

- ML63 AMG란 무엇인가

벌써 여러차례 시승하지만, 볼 때마다 거대한 덩치에 위압감을 느낄 정도. 유럽인들이 선호할 크기는 아니다. 사실 이번이 3세대인 M클래스는 독일 다임러가 미국 크라이슬러와의 제휴했을 당시 만들어진 차로 처음부터 미국 앨라배마 공장에서만 생산돼 온 차다. 말하자면 철저히 미국을 위한 미국에 의한 차였던 셈이다. 당시 M클래스는 초기 판매에 성공하는 듯 했지만, 미국 공장 특유의 품질 문제로 인해 소비자들로부터 원성을 샀다. 이후 부랴부랴 새 모델을 내놨지만 소비자들의 평가는 쉽게 돌아서지 않았다.

지난해 새롭게 출시된 이번 M클래스는 이전 모델의 아쉬움을 모두 씻어내는 듯 대폭 변화를 가져왔고, 비로소  존재감이나 성능면에서 모두 최고 수준의 SUV로 자리매김했다. M클래스의 발전은 거기서 멈추지 않았다. 요즘 미국 프리미엄 자동차를 사는 소비자들의 취향이 높아져서다.

▲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의 뒷좌석 공조장치

크고 무뚝뚝한 차를 선호했던 층마저 이젠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수준의 실내공간, 캠핑카나 보트를 쉽게 끌 정도로 강력한 성능을 갖춰야 만족한다. 또 본격적인 SUV 형태를 갖추는 동시에 스포츠카와 맞먹는 주행성능도 함께 요구하는 이율배반적인 면까지 지니고 있다. 그래선지 이번에 메르세데스-벤츠는 ML63 AMG라는 고성능 모델을 내놓고 SUV로는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 정도의 고성능을 내도록 했나보다.

- 최고의 SUV, 서킷을 정복하다

차를 테스트하기 위해 강원도 인제의 인제스피디움 서킷을 달려보았다. 핸들의 견고함은 둘째다. 가속페달을 밟는 순간 엔진 출력이 한방에 쭉 치솟고, 특유의 AMG 배기음이 맹수의 포효처럼 주변 사람들에게 위압감을 전해주는 듯 하다. 차가 지나갈 때 옆에 있자면 굉음과 함께 갈라진 공기가 태풍처럼 몰아쳐 공포감마저 느끼게 한다. 어지간한 스포츠카로는 감히 덤빌 엄두가 나지 않을 정도다.

운전자를 자극하는 배기음 때문일까. 가속페달을 바닥까지 짓이기며 차를 가속 시켜본다. 역시 잠시도 주저하지 않고 시속 240km까지 쭉 올려붙인다. 몸은 등받이에 꾹 눌리고 가속G가 몸을 찌릿찌릿하게 자극하는 느낌이 극도로 매력적이다. 서킷의 직선거리가 짧아서 더 밟아보지는 못하는 점이 아쉬웠다.

ML63 AMG는 다른 63 AMG 모델과 마찬가지로 5.5리터 V8 직분사 트윈터보 엔진이다. AMG 전용으로 개발 된 90도 V형 엔진에 수냉식 인터쿨러를 소형화 해 장착했다. 최고 출력은 525마력, 최대 토크는 700Nm로 강렬해 두말 할 것없이 SUV 최강의 성능을 발휘한다. 국내는 도입되지 않지만 '퍼포먼스 패키지'를 장착하면 터보압력을 높이고 캠 샤프트를 변경해 557마력, 760Nm의 출력까지 낸다. 경쟁차인 포르쉐 카이엔 터보S가 550마력인데, 이를 염두에 둔 세팅으로 보인다.

기어는 AMG의 7단 자동변속기를 이용했으며, 요즘 유행하는 듀얼클러치에 비해 터보압을 활용하기 쉽고 캠핑카 등을 견인하는데도 유리하다.

▲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를 타고 급제동을 해보고 있다.

차체와 서스펜션에서도 AMG의 실력을 여지없이 보여주는 듯 하다. 차를 가속해 단 한번이라도 핸들을 돌려보면 차체가 얼마나 강인한지 즉시 알 수 있는 수준. 총 중량이 3톤이 넘는 대형 SUV인데다 초고속에 오프로드까지 고려된 차량이므로 서스펜션과 섀시는 돌처럼 단단해야만 했을 것이다. 서스펜션은 딱딱하거나 부드럽다는 정도의 단순한 잣대가 아니라 무게감이 느껴지는 최고급의 승차감이다.

일반 M클래스와 같은 차체와 서브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지만, 서브프레임과 차체를 연결하는 부위나 서스펜션 마운트, 엔진 마운트 등 결합부는 모두 AMG 전용으로 교체돼 있어 운전자에게 이런 신선한 느낌을 전해주는 듯 하다.

▲ 메르세데스-벤츠 ML63 AMG의 전면 인테리어

- 친환경, 성능까지 사상 최강의 SUV

시내 거리를 달리기 시작하면 상황이 달라진다. 차를 정차하면 '아이들 스톱'이 작동해 엔진이 정지한다. 브레이크에서 발을 떼면 즉시 시동이 다시 걸리는데, 이 과정이 매우 자연스러워 놀랄 정도다. 공회전 하는 동안의 엔진은 무척 조용해서, 엔진이 돌고 있다는 사실을 모를 정도기 때문이다.

이 강력한 엔진은 연비와 정숙성에서도 큰 폭으로 향상됐다. 525마력의 이 SUV를 와인딩로드에서 끝까지 밟아가며 주행해도 대략 리터당 6~7km 정도는 나와주는 느낌이다. 물론 시속 200km 언저리의 초고속으로 1시간 가량 주행해보니 연비는 대략 3~4km 정도로 크게 떨어지긴 했다.

상시 4륜구동 시스템 전륜에 40%, 후륜에 60%를 배분하는데, 이로 인해 코너에서 조금 더 날카로운 주행을 즐길 수 있다. 또 에어 서스펜션을 갖추고 있는데, 버튼을 눌러 차체를 오르내리게 할 뿐 아니라, AMG 전용으로 튜닝 돼 주행 상태에 맞춰 댐퍼의 감쇄력과 롤의 양을 컴퓨터가 최적화한다.

▲ ML63 AMG에는 21인치 휠이 달려있다.

조금 가볍지만 매우 정교한 핸들,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 차선이탈 경고, 프리 세이프티 브레이크, 사각지대 경고 시스템 등이 장착돼 있다. 모두 S클래스에서 온 것들이다. 더구나 21인치의 초대형 휠에 장착된 타이어는 공기가 거의 들어가지 않을 것만 같이 단단하게 생겼다. 결국 이 차는 오프로드보다 온로드 주행을 중시한 차인 셈이다.

실내도 놀랍다. 최고급 가죽시트라는게 어떤 것인지를 보여주는 압도적 품질의 가죽시트와 꼼꼼한 스티치를 보자면 이 차의 값어치가 어느 정도인지 가늠할 만하다. 어떤 좌석에 앉아도 화려함이 그지 없는데, 뒷좌석에 앉아도 열선시트나 온도 조절이 가능한 에어컨 등은 물론이고, 좌우에 각기 장착된 모니터가 호사스러움을 더한다.

▲ ML63 AMG는 오프로드 주행에도 안심이 되고 여전히 매력이 넘친다

이 차의 라이벌이라면 BMW X5M, 혹은 포르쉐 카이엔 터보, 레인지로버 정도가 있겠지만, 이 차들이 오프로드에서 주행하는 모습은 잘 그려지지 않는 반면, ML클래스라면 도심은 물론 대자연도 거뜬히 정복해낼것만 같은 느낌이다. ML63 AMG야 말로 SUV가 갖춰야 할 덕목인 '자유로움'에 한발짝 더 가까운 차가 아닐까 생각됐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