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절치부심 30년’…미국서 '비싼몸' 됐다

현대차 ‘절치부심 30년’…미국서 '비싼몸' 됐다

발행일 2012-06-28 14:33:13 전승용 기자

“저기 현대차 엘란트라가 지나가네요, 기아차 옵티마도 보이죠? 요즘 한국차 정말 좋아졌어요”

올해 초 미국 디트로이트 웨인카운티 공항에서 택시를 타자 한국인임을 알아본 운전사가 계속 말을 걸어왔다. 한국차 디자인이 미국·일본차에 비해 훨씬 우수하고 품질도 향상돼 관심있게 보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금은 GM차를 타지만 다음차로는 현대차를 고려해보겠다고도 했다.

5년 전 미국에 방문했을 때는 상상도 못했던 반응이다. 이렇게 많은 국산차들이 미국 도로를 누비며 인정 받는다는 사실에 가슴이 뿌듯해진다. 하지만 너무 빠르게 일어난 미국인들의 인식 변화에 오히려 우리가 반신반의하게 될 정도다.

▲ '2012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된 현대차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

실제로 세계 최대 자동차 격전지 미국에서 현대기아차의 위상은 믿기 힘들만큼 달라졌다. 현대차와 기아차는 미국에 각 연 생산 30만대가 넘는 공장을 갖췄지만 최근 늘어나는 판매량을 따라잡지 못해 ‘없어서 못 파는 차’가 됐다고 한다.

세계적인 다운사이징 열풍과 현대차의 포트폴리오가 딱 들어맞았기 때문이다. 미국 자동차 회사들은 대형차에 치중해 온 반면 현대차는 지난 수십년간 중형차와 준중형차를 위주로 기술을 쌓아온 덕이다. 실제로 미국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아반떼는 ‘2012 북미 올해의 차’에 선정되는 등 최근 세계 유력 자동차 매체와 기관으로부터 60여 차례의 호평을 받으며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 조롱받던 현대기아차…미국 판매 4위로 껑충 

현대차는 지난 1986년, 포니엑셀 1000대 수출을 시작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당시 현대차는 핵심 부품을 일본 등 해외에 의존하는 등 자체 기술력이 부족했고, 차량 품질도 미국인들의 눈높이에 부족해 어려운 시절을 겪었다. 현대차는 미국인들에게 ‘싼 가격에 타는 차’로 인식돼 놀림감이 되기도 했다.

▲ 1986년 미국으로 수출된 현대차 포니엑셀

그러나 현대기아차는 지난 2005년 정몽구 회장의 ‘품질경영’ 선포 이후 꾸준한 품질향상과 현장경영 등 다양한 노력을 지속했다. 그 결과 현대차는 작년, 미국 시장에서 64만5691대를 판매해 최초로 미국 판매량 60만대를 돌파했다. 여기 기아차 판매량 48만5492대를 포함하면 현대기아차 총 판매량은 113만983대에 달해 포드와 쉐보레, 도요타에 이어 미국서 4번째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차 쏘나타는 전년 대비 15% 늘어난 22만5961대가 팔려 연간 판매기록을 경신했으며, 아반떼도 전년대비 41% 늘어난 18만6361대가 판매됐다. 기아차 쏘렌토R은 13만235대로 전년 대비 19.5% 성장했고, 쏘울의 판매량도 10만2267대로 52.4% 증가했다.

▲ 2011년 미국 자동차 판매량(브랜드)

◆ 중·소형 모델의 승승장구…없어서 못팔아

올해도 북미서 현대기아차 중·소형 모델 강세는 더욱 두드러졌다.

지난 5월, 현대기아차는 중형세단 세그먼트에서 쏘나타 2만765대와 K5 1만3364대 등 총 3만4129대를 판매했다. 특히, 기아차 K5는 작년대비 두배 넘는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소형세단 세그먼트에서도 아반떼는 1만8877대가 팔리며 판매 5위에 올랐다. 쏘울은 1만146대로 7위, 포르테는 7782대로 12위, 엑센트는 6166대로 15위를 차지했다.

▲ 현대차 쏘나타·아반떼와 기아차 K5의 미국 시장 판매량

소형 SUV에서도 쏘렌토R이 1만1077대, 싼타페 6884대, 투싼ix 4644대, 스포티지R 3467대가 판매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데이브 주코브스키 현대차 북미법인 판매담당 부사장은 "이미 야근 특근을 하면서도 생산량이 수요를 따르지 못해 당분간 더 이상 판매량을 늘릴 수 없다”면서 ”올해는 작년 수준의 판매량을 유지하면서 제네시스 및 에쿠스 등 프리미엄 세그먼트의 판매를 늘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현대기아차, 이제 미국에서 더 비싸게 팔려 

최근 현대차 미국법인에 따르면 출시를 앞두고 있는 벨로스터 터보와 i30의 가격은 국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벨로스터 터보 풀옵션은 2만5450달러(약 3003만원,배송비별도)로, 같은 사양의 국내 판매 모델(2500만원)에 비해 500만원 정도 비싸다. 배기량이 다르지만, i30의 가격도 국내에 비해 455만원 가량 높다.

▲ 현대기아차 각 차종 기본 모델의 한국과 미국 판매 가격

또, 현대차는 2013년형 아반떼의 가격을 기존보다 8.4%인상해 기본가격을 1만7470달러(약 2천44만원)으로 결정했다. 이는 혼다 시빅(1만6745달러), 닛산 센트라(1만7210달러) 등 경쟁차종보다 높은 것이다. 기아차의 경우 현재 미국에서 판매되는 8개 차종 모두가 국내에 비해 비싸게 판매된다.

유사한 트림을 비교 했을 때, 엑센트 약 430~470만원, 프라이드(현지명 리오) 약 470만원, 포르테 430~800만원, 쏘나타 약 490만원, K5가 250~710만원 가량 비싸다.

◆ 품질 향상으로 인한 자신감, 제값 받기로 이어져

업계 전문가들은 미국 판매용 차량의 엔진이 국내와 달라 가격이 높게 형성될 여지는 분명 있지만, 그 보다는 미국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제값 받기라는 의견을 밝혔다.  

한 전문가는 "현대차는 작년 11월, 미국 고객에게 제공하는 평균 인센티브 금액을 651달러로, 기아차 역시 1천54달러로 낮췄다"면서 "이는 전년 대비 각각 57%, 41% 낮아진 것으로 1년 사이에 인센티브를 절반가량 줄여 해외 시장에서의 ASP(평균판매가격)를 지속적으로 상승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 현대차 i30(현지명 엘란트라GT)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20일(현지시간), “현대기아차의 품질이 급격하게 좋아지면서 미국 시장에서 일본, 미국 차량과 가격면에서 동등한 대접을 받고 있다”면서 “지난 5년 동안 미국 시장에서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 간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한국과 미국차는 품질과 신뢰성에서 일본차와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됐다”고 밝혔다.

현대차 관계자는 “과거 미국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저가 정책 및 보증 기간 등의 현지화 전략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품질과 서비스로 당당히 경쟁하고 있다”면서 “미국의 경우 대형차 가격대가 낮아 에쿠스와 제네시스 등은 국내에 비해 저렴하지만 대부분의 중·소형 모델들의 가격은 미국 시장이 더 비싸다”면서 고 밝혔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제네시스 G90, 쿠웨이트 내무부 의전차 선정..47대 제공

제네시스 G90, 쿠웨이트 내무부 의전차 선정..47대 제공

제네시스 브랜드는 플래그십 세단 G90가 쿠웨이트 내무부 공식 행사 및 의전 차량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선정은 제네시스 차량의 우수한 품질과 안전성에 대한 쿠웨이트 정부의 높은 신뢰를 바탕으로 이뤄졌으며, 총 47대 중 40대는 행사 운영, 7대는 의전용이다. 이번에 선정된 모든 차량은 쿠웨이트 교통국이 승인한 사양 및 디자인 기준에 맞춰 제작됐다. G90는 제네시스의 디자인 철학과 첨단 기술이 집약된 플래그십 모델로, 우아한 외관

뉴스이한승 기자
마이바흐 서울 압구정에 오픈,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마이바흐 서울 압구정에 오픈,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는 세계 최초의 마이바흐 고객만을 위한 전용 전시장 및 서비스센터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Maybach Brand Center Seoul)' 공식 오픈했다. 브랜드센터는 맞춤형 고객 경험, 품격 있고 개인화된 서비스를 결합해 엄선된 브랜드 경험을 고객에게 선사한다. 서울 프리미엄 상권인 강남구 압구정에 위치한 마이바흐 브랜드센터 서울은 마이바흐 브랜드의 철학과 가치를 구현하고 있다. 한국 전통미와 현대적 세련미를 잇는 이 공간은 고

뉴스이한승 기자
[시승기] 액티언 하이브리드, 직병렬 HV 보다 EREV에 가깝다

[시승기] 액티언 하이브리드, 직병렬 HV 보다 EREV에 가깝다

KGM 액티언 하이브리드를 시승했다. 액티언 하이브리드는 급성장한 하이브리드 SUV 시장을 겨냥한 모델로, 초기 액티언의 불안정한 서스펜션 셋업을 개선해 상품성을 높였다. 하이브리드 동작 특성상 REEV(Range-Extended EV)나 EREV(Extended Range EV)에 대한 이해는 필요하다. KG모빌리티는 최근 하이브리드 라인업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2025년 3월 토레스 하이브리드, 7월에는 액티언 하이브리드를 출시했으며, 2026년 중대형 xEV, SE10을 선보일 계획이다. 토레스

리뷰이한승 기자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 GT3 공개, 브랜드 첫 전용 레이스카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 GT3 공개, 브랜드 첫 전용 레이스카

람보르기니는 테메라리오 GT3를 14일 공개했다. 테메라리오 GT3는 테메라리오를 기반으로 한 첫 번째 GT3 레이스카로 브랜드 최초의 레이스 전용 차량이다. 테메라리오 GT3는 4.0리터 V8 트윈터보 엔진을 탑재했으며, 신규 서스펜션 등 레이스 운영에 최적화됐다. 테메라리오 GT3는 람보르기니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슈퍼카인 테메라리오의 설계 초기부터 모터스포츠 파생 모델을 염두에 두고 개발된 차량이다. 설계부터 개발, 제작까지 산타가타 볼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이바흐 S클래스 실버 라이닝 출시, 10대 한정..가격 3억4860만원

마이바흐 S클래스 실버 라이닝 출시, 10대 한정..가격 3억4860만원

벤츠코리아는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Silver Lining)을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은 한국 전용 한정판 모델로 마이바흐 S클래스, 마이바흐 GLS, 마이바흐 EQS SUV로 구성됐다. 마누팍투어의 최상위 옵션이 적용됐으며, 가격은 2억7860만원부터다.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은 14일 세계 최초로 서울시 강남구에 문을 여는 마이바흐 브랜드 센터 서울 오픈을 기념하는 스페셜 모델이다. 마이바흐 실버 라이닝은 마이바흐 S클래스, 마이바흐 GLS, 마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로터스 엘레트라·에메야 2026년형 출시, 가격 2천만원 '인하'

로터스 엘레트라·에메야 2026년형 출시, 가격 2천만원 '인하'

로터스자동차코리아는 2026년형 엘레트라·에메야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2026년형 엘레트라·에메야는 트림명이 차량 출력 수준을 반영한 600과 900으로 변경됐으며, 기존 대비 사양이 강화됐음에도 일부 트림 가격이 2천만원 인하됐다. 가격은 1억4490만원부터다. 2026년형 엘레트라·에메야는 트림명이 기존 기본형/S/R에서 차량 출력 수준을 반영한 600과 900으로 변경됐다. 2026년형 세부 가격은 600 1억4490만원, 600 GT SE 1억5390만원, 600 스포츠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쏘렌토 2026년형 출시, 가격은 3580~4888만원

기아 쏘렌토 2026년형 출시, 가격은 3580~4888만원

기아는 2026년형 쏘렌토를 출시한다고 14일 밝혔다. 2026년형 쏘렌토는 모든 트림에 차로 유지 보조2와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가 기본 탑재됐다. 특히 새로운 디자인의 4스포크 스티어링 휠과 19인치 휠이 추가됐으며, 앰비언트 램프가 확대됐다. 가격은 3580만원부터다. 2026년형 쏘렌토 X-라인은 기존 시그니처 트림을 대체한다. 세부 가격은 2.5 가솔린 터보 프레스티지 3580만원, 노블레스 3891만원, 시그니처 4168만원, X-라인 4260만원, 2.2 디젤 프레스티지 3750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벤츠 GLC 전기차, 1960년대 벤츠 디자인 적용

벤츠 GLC 전기차, 1960년대 벤츠 디자인 적용

벤츠가 GLC EV(가칭) 티저 공개와 함께 사양 일부를 12일 공개했다. GLC EV는 기존 EQC를 대체하는 중형 전기 SUV로 에어 서스펜션과 1회 완충시 650km 이상의 주행거리를 갖출 예정이다. 특히 전면부에는 1960년대 벤츠 디자인이 적용된다. 9월에 공개된다. GLC EV는 오는 9월에 열리는 뮌헨 오토쇼에서 공식 공개된다. GLC EV는 2026년 1분기부터 본격적인 미국 등 글로벌 판매가 시작된다. GLC EV의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GLC EV는 내연기관 GLC와는 무관한 새로운 전기차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마세라티 MC퓨라 공개, MC20 후속..621마력 슈퍼카

마세라티 MC퓨라 공개, MC20 후속..621마력 슈퍼카

마세라티는 MC퓨라(MCPURA)를 11일 공개했다. MC퓨라는 MC20의 부분변경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다양한 신규 외관 컬러가 도입됐다. 실내는 신형 스티어링 휠과 알칸타라 소재 확대 적용으로 고급감이 향상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MC퓨라는 마세라티 슈퍼카 MC20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MC는 마세라티의 레이싱 프로그램의 약자이며, 'PURA'는 이탈리아어로 '순수함'을 의미한다. 마세라티는 MC퓨라의 생산량을 제한적으로 유지할 계획으로 올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