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휴가철 안전한 디카 관리법

여름 휴가철 안전한 디카 관리법

발행일 2011-07-27 12:26:44 황재원 기자

바야흐로 일상을 떠나 재충전을 위한 바캉스 시즌이다. 휴가철의 소중한 추억을 담기 위해 카메라를 챙기지만 물놀이로 행여나 비싼 카메라가 망가지지는 않을까 걱정된다. 행여 카메라가 고장이라도 난다면 모처럼의 휴가를 망칠지도 모르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에 올림푸스한국(대표: 방일석)에서 여행을 떠나기 전 알아두어야 할 디지털카메라 관리법에 대해서 소개한다.

카메라가 물에 빠져도 당황하지 말자!
물에 카메라를 빠뜨렸거나 물이 묻어서 카메라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일단 배터리를 꺼낸다. 이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물이 완전히 마를 때까지 전원을 켜지 않는다면 별도의 큰 수리 없이 카메라가 다시 작동할 수도 있다. 이물질이 카메라 본체 안에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A/S센터를 방문하도록 한다.

방수 기능을 탑재한 아웃도어 카메라의 경우에는 물놀이 후 수돗물로 깨끗하게 헹구도록 한다. 물로 씻어내면 카메라에 남아있는 염분이나 모래들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틈새에 남아있는 염분이나 모래는 크리너보다 붓을 이용해서 털어내는 것이 흠집이 생기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그 외에 방수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DSLR을 비롯한 컴팩트 카메라와 하이브리드 카메라는 물을 조심해야 한다. 물의 침투는 디지털카메라의 대표적인 고장원인이 된다.

카메라 보관에 주의하자카메라는 건조한 곳에 보관하고 이동 시에는 반드시 가방을 이용한다. 가방 없이 이동하다 보면 어딘가에 부딪혀서 카메라가 고장 날 수 있고, 타인의 기물을 파손할 가능성도 크므로 콤팩트 카메라 같은 작은 사이즈라도 가급적 파우치에 넣고 다니도록 하자.

습기에도 주의하도록 한다. 여름철은 습기가 많기 때문에 장시간 카메라나 렌즈를 습기가 많은 곳에 방치하면 자칫하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일반 방습제등을 넣어 카메라를 보관하거나, 카메라액세서리 전문메이커들에서 취급하는 진공 케이스를 활용하면 좋다.

특히, 차 안에 카메라를 두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한여름에 내리쬐는 태양빛의 열기로 밀폐된 차 안의 온도는 뜨거운 여름엔 최고 100도 가까이 올라간다. 카메라의 사양 표에 보면 카메라의 적정 사용온도는 섭씨 0도에서 40도 정도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적정 온도보다 두 배 이상 뜨거운 곳에 방치한다면 내부 부품들이 고장 나지 않을 수가 없을 터. 카메라본체의 고장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는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거나 폭발해 화제를 일으킬 수 있다.

여분의 장치를 준비하라!
휴가철에는 자주 사진을 찍기 때문에 평소보다 배터리 소모가 많아지므로 여분의 배터리도 준비하는 것이 좋다. 디카는 액정을 많이 사용해서 에너지 소모량이 크기 때문에 구입할 때 들어있던 배터리로는 한계가 있다. 최근 출시되는 신제품 중에는 배터리 성능을 강화한 제품도 있지만 컴팩트 카메라들의 경우 대부분 반나절을 버티기는 힘들다. 일부 기종을 제외하고 충전기와 배터리를 별도로 구입해야 한다. 구입할 때 들어있던 배터리는 대부분 일회용 알카라인 건전지라는 것도 알아두자.

장기간 여행을 간다면 별도의 저장장치는 필수. 메모리 한, 두 개 가지고는 어림도 없다. 무거운 짐이 하나 더 늘어나는 불편을 감수하더라도 노트북이나 휴대용 저장장치까지 챙겨 가는 것이 좋다. 참고로 휴대용 저장장치는 PDA와 비슷한 크기에 노트북에서 사용하는 하드 디스크를 내장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작은 LCD모니터를 장착하고 있어 촬영한 사진들을 감상할 수도 있고,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제품은 여행 중 지루할 때 유용하게 쓸 수도 있다.

고용량 메모리를 챙겨가는 것도 여행지에서 더욱 선명한 사진을 남길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최근 출시되는 카메라는 고해상도의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다. 올림푸스의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는 적어도 600만 이상의 화소를 갖추고 있다. 동영상 촬영 기능도 많이 강화되어 초당 30프레임의 속도로 640 x 480 사이즈의 동영상을 끊김 없이 담아낼 수 있다.

DSLR 카메라 유저라면 이것도 주의하자!
DSLR 카메라는 일반 디지털카메라보다 좀 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먼저, 렌즈 교환 시 바디를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렌즈를 장착하고 바람을 등진 상태에서 렌즈를 장착하도록 한다.

렌즈를 청소할 때는 불기, 털기, 살살 닦기 순으로 진행한다. 렌즈에 먼지나 이물질이 묻어 있을 때 가장 안전하게 없애는 법은 블로어로 불어내는 것이다. 블로어가 없다고 해서 입으로 불면 절대 안 된다. 입으로 불다가 침이라도 튀면 더 골치 아프다. 블로어는 웬만한 먼지나 이물질들은 다 털어낼 수 있지만 블로어로도 떨어지지 않는 이물질은 카메라 전용 붓으로 살살 털어주도록 한다.

일반 붓들보다 훨씬 부드럽기 때문에 렌즈 표면에 거의 해를 끼치지 않는다. 융, 카메라 청소용 클리너들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물방울 같은 것들이 튄 얼룩이나 지문은 블로어나 붓으로 털어낼 수 없으므로 클리너를 사용해야만 한다. 너무 힘주면 렌즈표면의 코팅이 벗겨질 수도 있으므로 힘을 뺀 상태로 부드럽게 닦아낸다. 그리고 DSLR에 사용되는 렌즈들의 경우 렌즈 뒤쪽의 마운트 부분도 꼼꼼히 닦아내는 것이 좋다.

렌즈보호용 필터를 사용하는 방법도 추천한다. 렌즈 앞에 장착해 사용하는 필터는 여러 가지 효과를 주는 목적도 있지만 UV필터와 같은 경우는 렌즈 표면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필터를 장착하면 필터 표면에만 이물질이 묻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게 되므로, 렌즈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혹시라도 너무 심한 스크래치가 발생한다면 필터만 교환해주면 되므로 경제적인 부담도 훨씬 적다.

A/S센터를 운영하는 올림푸스한국 서비스 주식회사의 김규형 부장은 "물놀이와 야외활동이 많은 바캉스 시즌은 연중 카메라 고장 및 수리가 많은 시즌이다. 그러나 일상에서 간단한 관리법만 숙지한다면 대부분의 고장은 막을 수 있는 사례가 대부분" 이라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