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국내 생산량, 도요타 일본 생산량 추월

현대·기아차 국내 생산량, 도요타 일본 생산량 추월

2013년 연간 기준 9만2천여대 앞선 데 이어 올해까지 사상 첫 2년 연속 상회

발행일 2014-10-16 16:38:02 박태준 기자

현대·기아차의 올 8월까지 국내 완성차 생산량이 도요타자동차(히노 / 다이하츠 제외)의 일본 내 생산량을 21만대 이상 웃돈 것으로 집계됐다. 현대·기아차는 지난해에도 국내 생산 실적에서 도요타를 제친 바 있다.

16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일본자동차공업협회 등에 따르면 올 1월부터 8월까지 현대·기아차는 국내에서 241만9,355대의 완성차를 생산해 일본 내 생산량이 220만4,319대에 그친 도요타를 21만5,036대 가량 앞질렀다.

같은 기간 동안 현대·기아차는 승용차 216만4,016대와 상용차 25만5,339대를, 도요타는 승용차 197만6,006대와 상용차 22만8,313대를 각각 국내에서 생산했다.

2013년 현대·기아차는 국내에서 344만9,590대의 완성차를 생산해 일본에서 335만6,899대를 생산한 도요타를 9만2,691대 차이로 앞섰다.

지난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여파로 도요타의 일본 생산량이 276만대 수준으로 급감했을 당시 현대·기아차는 348만대를 국내에서 생산해 도요타를 누른 적이 있지만, 이는 천재지변에 의한 것이어서 2013년이 사실상 도요타를 제친 첫 해였다.

올 들어 현대·기아차는 도요타와의 차이를 더욱 벌리고 있어 연말까지 양 사의 국내 생산량 격차는 30만대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2년 연속 현대·기아차가 국내 생산량 면에서 도요타를 앞서고있지만,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이 같은 결과는 상상조차 어려웠다.

지난 2000년 도요타는 343만대에 달하는 완성차를 일본에서 생산해 국내 생산량이 233만대에 소폭 못 미친 현대·기아차를 110만대 이상 앞섰고, 2006년에는 양 사의 국내 생산량 격차가 사상 최대인 142만5천여대까지 벌어졌다.

하지만 이후 두 회사의 국내 생산량 차이는 급격히 좁혀졌다.

지난 2007년 약 423만대로 정점을 찍은 도요타의 일본 생산량은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대규모 리콜, 동일본 대지진, 극심한 엔고 등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각종 규제 회피와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일본 내 생산능력 일부를 해외로 이관한 결과였다.

실제로 도요타는 2010년 이후 일본 내 생산체제 재편과 함께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생산 확대를 추진했고, 이 과정에서 지난 2011년 일본 아이치현과 시즈오카현에서 북미 수출용으로 생산되던 약 5만대 가량의 코롤라를 미국 미시시피주 블루스프링스 공장에서 생산하도록 했다.

또 2012년에는 당시 360만대에 달하던 일본 내 생산능력을 향후 320만대 수준까지 줄이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반면, 현대·기아차는 2000년 299만대였던 국내 생산능력을 2010년 348만대로 꾸준히 늘렸고, 2010년을 기점으로 글로벌 수요 급증에 따른 수출량 증가와 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생산량도 크게 증대됐다.

그 결과 2010년 도요타와 현대·기아차의 국내 생산량 격차는 12만여대 수준으로 줄었고, 2012년에는 4만여대 이내로 좁혀진 데 이어 지난해에는 현대·기아차가 도요타를 9만여대 이상 추월했다.

더욱이 일본자동차공업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도요다 아키오 도요타 사장은 지난 3월 협회 정례 기자회견에서 “일본 내 연간 생산량을 300만대 수준까지는 지키고 싶지만 현재 상황이 지속될 경우 어떠한 예측도 할 수 없다”며 일본 내 생산량 추가 감축을 시사했다.

일본 자동차업계는 그 동안 일본 산업수요의 점진적 감소와 함께 높은 법인세율, 비싼 전력요금과 공급 제약, 엄격한 환경 및 노동규제, 소극적 자유무역협정 체결 등에 따른 일본 내 생산규모 유지의 어려움을 토로해 왔는데, 도요다 사장이 이를 직접 거론하고 나선 것이다.

이와 관련, 전문가들은 아베 총리가 주도하고 있는 엔저 기조가 이어지고 있어 단기간 내에 일본 완성차 업체들이 국내 생산량이 급격히 줄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 해결도 쉽지 않아 도요타를 비롯한 일본 업체들의 국내 생산능력이 중장기적으로 유지될지 여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따라서 현대·기아차와 도요타의 국내 생산량 격차는 앞으로도 쉽게 좁혀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자동차는 고용, 세수, 동반성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가 경제기여도가 높은 대표적인 산업으로 꼽힌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 2011년 기준 177만개의 일자리가 직간접적으로 자동차산업과 연관을 맺고 있고, 2012년 전체 세수의 14.3%이자 단일 품목으로는 최대인 36조원의 조세 수입이 자동차산업을 통해 창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를 감안할 때, 현대·기아차의 국내 생산량이 도요타의 일본 생산량을 앞질렀다는 것은 국가 경제에 대한 기여도 면에서 현대·기아차가 도요타보다 우위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자동차산업은 생산유발계수가 타 산업에 비해 높고, 지난 2000년에서 2012년까지 자동차부품산업 매출은 3.3배, 수출은 11.7배가 늘어날 만큼 동반성장 면에서도 기여하고 있다”면서 “자국 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는 도요타 등 일본의 전철을 밟지 않도록 국내 완성차 업체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영국 법인은 EV4 해치백의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1일(현지시간) 시작했다. EV4 해치백는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624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 ID.3보다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V4는 기아의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해치백으로 운영된다. EV4 세단은 지난 4월 국내 출시됐으며, EV4 해치백은 수요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EV4 해치백은 영국 기준 전체적인 트림에서 경쟁 모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기아 EV9 GT-라인 4WD를 시승했다. EV9은 국내 최초로 선보인 3열 대형 SUV 전기차로 출시된지 만 2년에 접어들었다. 출시 당시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6천만원대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한데, 유사한 체급의 하이브리드 SUV의 가격이 상승해 EV9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아의 전기차 로드맵 중 하나는 EV9의 성공이었다. 기아는 현대차 대비 5년 빠른 전동화 계획으로, 2025년부터 출시되는 풀체인지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채우고, 2030년부터 전기차만 출시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제네시스 G80 블랙 3.5T AWD를 시승했다. G80 블랙은 G90 블랙, GV80 블랙, GV80 쿠페 블랙에 이은 제네시스의 4번째 블랙 모델로, 컬러와 구성만으로 G80의 분위기를 젊은 감각으로 바꿔놨다. G70의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상황에서, 3040 소비자들에도 만족할만한 선택지로 생각된다. 제네시스 브랜드에게 G80은 브랜드의 시작과도 같은 모델이다. 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코드명 RG3로 1세대 BH, 2세대 DH를 잇는 3세대 G80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론칭시 가장 먼저 선보일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르노 세닉 E-TECH 일렉트릭을 시승했다. 세닉은 최근 국내 사전예약을 시작한 전기차로, 르노의 기술력과 디자인, LG에너지솔루션의 고성능 NCM 배터리가 결합돼 460km 주행이 가능하다. 르노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넓은 실내공간, 좁은 회전반경은 차세대 패밀리 SUV로 주목할만 하다. 르노 브랜드는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전동화에 가장 적극적인 제조사 중 하나로, 르노5, 르노4, 메간, 세닉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코리아는 풀체인지 모델, 더 뉴 아우디 A5와 더 뉴 아우디 Q5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두 모델은 아우디의 새로운 PPC 플랫폼 기반의 신차로, 디젤 모델 최초로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MHEV Plus) 기술이 적용됐다. 가격은 신형 A5 5789만원, 신형 Q5 6968만원부터다. 아우디 A5 전 트림에는 사륜구동 시스템 콰트로와 7단 S 트로닉 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된다. A5 40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4.7kgm, A5 45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72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코리아가 씰 다이내믹 AWD의 국내 판매 가격을 4690만원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씰 다이내믹 AWD는 총 출력 530마력을 발휘하는 듀얼 모터를 탑재했으며, 1회 완충시 407km를 주행할 수 있다. 씰 다이내믹 AWD 시승은 오는 19일부터 가능하다. 씰 다이내믹 AWD 가격은 세제혜택 적용 후 기준 4690만원이다. 이는 호주와 일본 대비 약 7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고객을 위한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지난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혼다 어코드 하이브리드 200만원 혜택, 모터사이클 할인은?

혼다 어코드 하이브리드 200만원 혜택, 모터사이클 할인은?

혼다코리아가 1일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 7월 프로모션을 공개했다. 자동차는 구매 모델에 따라 최대 200만원 유류비 지원 혹은 저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모터사이클은 최대 140만원 할인된다. 또한 지난달에 이어 엔트리 지원 프로모션도 진행된다. 혼다 자동차는 어코드 하이브리드와 CR-V 하이브리드 2WD 구매 시 유류비 200만원 또는 최대 60개월 제휴금융 저금리 혜택을 제공한다. 어코드 터보 구매 고객도 유류비 150만원 또는 최대 60개월 제휴금융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최대 2천만원 할인, 리릭은 최대 1천만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최대 2천만원 할인, 리릭은 최대 1천만원

캐딜락이 7월 한정 스페셜 프로모션을 1일 공개했다. 캐딜락은 여름 휴가철을 맞아 대표 모델들을 대상으로 최대 2000만원 특별 할인 및 맞춤형 금융 프로그램, 리릭 100대 한정 1000만원 특별 현금 할인 프로그램 등 다양한 혜택을 7월에 제공한다. 전기 SUV ‘리릭(LYRIQ)’은 100대 한정으로 1,000만 원의 특별 할인을 제공한다. 여기에 ▲60개월 무이자 할부(선수금 30%) ▲60개월 무이자 리스(보증금 40%) ▲제휴 금융 이용 시 선수금 또는 보증금 1,000만 원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KG모빌리티 구독 서비스 도입, 액티언 하이브리드도 포함

KG모빌리티 구독 서비스 도입, 액티언 하이브리드도 포함

KG모빌리티(이하 KGM)가 1일 차량 구독 서비스 ‘KGM 모빌링(KGM MOBILING)’을 론칭하고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으로의 도약에 나섰다. KGM 모빌링은 KGM의 차량을 월 단위로 자유롭게 대여할 수 있는 구독 서비스로 보험 등 부가 비용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명 ‘KGM 모빌링’은 ‘Mobility’와 현재진행형을 의미하는 '-ing'를 결합한 것으로, 끊임없이 움직이는 삶과 지속되는 모험을 나타낸다. ‘KGM 모빌링’은 KGM의 차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