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LTE가입고객 500만명 돌파

SK텔레콤, LTE가입고객 500만명 돌파

지난해 9월 LTE스마트폰 출시 1년 만…전세계 90여개 LTE사업자 중 세번째

발행일 2012-09-07 13:01:31 박태준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 은 지난해 7월 국내 최초로 서비스 상용화한 지 약 1년 2개월 만인 6일 LTE가입고객 5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SK텔레콤은 전세계 90여개 LTE상용 이동통신사 중 세번째로 LTE 500만 명 가입고객을 확보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번 LTE 가입자 5백만 명 돌파는 지난 7월 20일 4백만 명을 돌파한 지 불과 46일 만에 이뤄졌다. 최근 일 평균 3만 3천 명이 SK텔레콤 LTE서비스에 가입하는 등 LTE대중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된 결과이다.

▲ 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하성민, www.sktelecom.com)은 지난해 7월 국내 최초로 서비스 상용화한 지 약 1년 2개월 만인 6일 LTE가입고객 500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LTE전국망 구축과 다양한 프리미엄LTE폰을 출시한 이후 LTE가입고객이 급격히 늘기 시작했으며,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하는 ‘T freemium’ 서비스 실시와 데이터 기본제공 용량 확대 등 고객혜택 강화 이후 LTE가입고객 증가에 더욱 탄력이 붙었다고 LTE의 빠른 확산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당초 500만 명으로 설정한 연말 LTE가입고객 목표를 지난 4월 700만 명으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SK텔레콤 장동현 마케팅부문장은 “이번 LTE 500만 고객 확보로 연말 목표의 71%를 달성했다”며, “앞으로는 단순한 가입자 확보 경쟁보다는 차별화된 LTE서비스 제공 및 고객 혜택 마련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현재와 같은 가입고객 증가 추세면 ‘13년 말 LTE 고객 1,400만명, ‘14년 말에는 1,800만명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양한 연령층으로 확산, ‘LTE대중화’ 단계 진입

20~40대 고객이 주요 이용계층이었던 국내 LTE시장은 최근 6개월 사이 여성과 10대와 50대 이상 고객 위주로 LTE가입이 빠르게 확산되며 LTE대중화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전체 LTE고객 중 남성 비율은 59%, 여성은 41%였으나 지난 8월에는 여성고객 비율이 48%까지 늘어났다. 또, LTE 팅요금제, LTE골든에이지 요금제 등 연령대별 요금제 출시에 힘입어 같은 기간 SK텔레콤 LTE 10대 · 50대 이상 가입자는 각각 50만 명, 65만 명 늘었다.

3G와 확연히 구분되는 ‘LTE 시대’ 이용 패턴 변화

SK텔레콤 LTE고객들은 LTE상용화 이후 지금까지 총 33.5PB(페타바이트, 1024TB)의 무선데이터를 사용했다. 이는 DVD영화 약 730만 장에 해당하는 용량이며, 5천만 국민 전체가 음악 스트리밍을 15시간 연속 이용했을 때 발생하는 데이터량과 동일한 수준이다.

LTE고객은 전체 이용 데이터의 46%를 멀티미디어를 즐기는 데 이용해, 36%에 그친 3G고객 대비 10% 포인트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인기 동영상 서비스 유튜브(YouTube)의 고객당 평균 이용량은 LTE고객들이 3G고객 대비 3.2배 높았다.

이와 같은 트렌드 변화는 사양이 같은 ‘갤럭시S3’ LTE모델과 3G모델의 이용자간 무선인터넷 이용 성향 차이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갤럭시S3 LTE모델 이용자는 3G모델 이용자 대비 월 평균 데이터를 60% 더 사용했으며, 특히 동영상·음악 스트리밍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 위주의 이용 패턴을 보였다.

멀티미디어 이용을 선호하는 LTE고객들에게 차별적인 특화서비스·콘텐츠를 발굴·제공해온 SK텔레콤 전략도 LTE질적·양적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SK텔레콤 LTE고객에게 무료로 제공되는 콘텐츠 묶음 ‘T freemium’은 출시 5개월 만에 가입자 160만명, 누적 콘텐츠 다운로드 건수 1,050만 건을 넘어섰다. SK텔레콤이 자사 LTE가입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LTE가입고객 중 15%가 ‘T freemium’ 혜택에 매력을 느껴 SK텔레콤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하루 8만 명의 LTE고객이 ‘T베이스볼’로 초고화질 야구중계를 시청하고, 하루 10만 명이 네트워크 게임을 즐기는 등 LTE망을 통해 비로소 쉽게 접근이 가능해진 ▲N/W게임 ▲초고화질 스포츠 중계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LTE고객은 모바일 쇼핑을 ‘11년 말 대비 지난 달 4배 이상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TE 1위이기에 가능한’ 다양한 LTE특화서비스 출시 준비 중

LTE전국망 완성, 규모감 있는 LTE가입고객 확보, LTE고객이 원하는 서비스 제공 등에 따라 SK텔레콤은 3G가 주력망일 때 선보이기 어려웠던 다양한 서비스를 이번 달부터 줄줄이 상용화해 LTE서비스의 격을 달리할 계획이다.

우선, SK텔레콤은 각종 쇼핑정보를 LTE망에 최적화해 보여주는 개인맞춤형 모바일 쇼핑 서비스 등 생활밀착형 서비스를 속속 선보일 예정이다. 또한, LTE특화서비스로 가능성을 보인 ‘스포츠’ 서비스 확대에 나서 ‘T베이스볼’ 후속으로 ‘T풋볼’, ‘T바스켓볼’(가칭) 등도 개발 중이다.

SK텔레콤은 3G망에서는 구현이 어려웠던 ‘동영상 기반 광고 플랫폼’도 조만간 론칭해 새로운 LTE사업모델도 선보이며, LTE킬러콘텐츠로 자리 잡을 클라우드 서비스도 대폭 강화에 나설 예정이다. 태풍·폭우·폭설 등 천재지변으로부터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LTE재난방송 서비스’도 개발 중이다.

프리미엄 음성 서비스인 ‘HD보이스’를 향후 출시되는 대다수의 LTE폰에 탑재해 음성LTE시대를 앞당기는 한편 ‘제2 LTE고속도로’ 멀티캐리어 구축 확대를 통해 가장 쾌적한 LTE망도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갤럭시노트2 등 인기 단말기의 후속 모델도 선보여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단말기 라인업도 갖출 방침이다.

한편, SK텔레콤은 LTE 500만명 가입고객 돌파 기념 ‘HD콘서트’를 오는 14일 서울 능동 돔 아트홀에서 펼친다. SK텔레콤 HD보이스의 품질 우수성을 보여주기 위해 기획한 이 행사에는 인기가수, 오케스트라 등이 출연해 HD보이스와 연관된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인다. 또, SK텔레콤은 500만 번째 가입고객에게 LTE62 요금제 및 멜론 익스트리밍 1년 무료이용권을 제공할 예정이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