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에너지 스타 어워드의 지속가능 경영 부문 수상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자 하는 포드자동차의 지속적인 리더십과 헌신적인 노력을 인정받게 된 것이다.
2009년 포드는 미국 내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4.6% 향상시켜 약 1,500만 달러의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달성했다. 공장 폐쇄로 인해 실제 에너지 절감규모가 더욱 커졌으나, 포드는 차량 당 소모된 에너지로써 에너지 효율을 측정하고 있다. 2000년 이래, 포드의 미국 공장들은 에너지 효율을 30% 이상 향상시켜 왔으며, 이것은 약 110,000 가구의 연간 에너지 소비량과 비슷한 규모다.
에너지 및 제조현장 관리이사인 조지 앤드라오스(George Andraos)는 “포드자동차는 여느 때 보다 더 높은 책임감을 가지고 자원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에너지 스타 프로그램과의 협력은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포드자동차를 만들기 위한 계획의 필수 요소”라고 밝혔다.
연비향상에 도움을 준 요소에는 혁신적인 기술방안, 최우수 모범사례 적용 및 비생산부문 폐지 등이 포함된다. 2000년 이래 포드에서 시행된 수많은 조치들은 전반적인 에너지 효율 향상에 기여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한 생산 라인에서 여러 종류의 자동차를 조립할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다용도 공구를 사용해 생산 공간을 줄이고 공장 활용도를 최적화
- 비효율적인 고휘도 방전램프 시설을 최신 형광등 및 제어 시스템으로 교체해 공장 조명 시스템을 개선
- 부스 공기 처리 및 배기 제어 시스템 개선을 포함한 페인트 처리 시스템 개선 페인트 연기를 전기로 바꾸는 퓸-투-퓨얼(Fumes-to-Fuel) 기술, 접지면을 현저히 줄여주고 페인트 부스의 에너지 사용을 줄여주는 3-웻 페인트 처리(3-Wet painting process) 기술, 더 적은 에너지를 사용한 표면 부식 억제용 산화 지르코늄 전처리 등을 포함한 포드의 ‘미래의 페인트 샵’ 프로세스 지속적인 개발
- 전 북미 공장의 페이트 샵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및 공압도구용 공기 압축기에 첨단 컴퓨터 제어기 설치
- 글로벌 에너지 효율성 개선을 위해 PC 파워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연간 16,000~ 25,000 톤 가량 회사의 탄소 발자국 감소
- 최근에 선언한 “Go Green” 딜러십 지속가능 프로그램을 통해 포드와 링컨 머큐리 딜러십의 에너지 효율성 증진
- 생산종료 기간의 확대를 통한 공격적인 에너지 사용량 감축
- 직원 대상 에너지 절약 캠페인과 이벤트, 에너지 모델링 및 분석 툴 개발, 그리고 업계 최우수 에너지 절감사례의 적용을 통해 에너지 스타 프로그램을 활용
- 구식 증기 동력을 전자제어 방식의 직접발화(direct-fired) 천연 가스 공기 처리기로 교체함으로써 많은 제조 공장의 난방 시스템 개선
포드는 위에서 소개한 내용을 포함해 다양한 에너지 효율성 개선 프로그램을 전 세계의 협력업체들과 공유하고 있으며, 각 지역 작업장에서 에너지 스타 지침을 지속가능한 에너지 관리 과정의 기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코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탑라이더
<저작권자ⓒ탑라이더.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관련기사

볼보 EX90 2026년형, 초급속 충전 추가..국내 출시는?
볼보는 2026년형 EX90을 23일 공개했다. 2026년형 EX90은 기존 400V 시스템을 대체하는 800V 시스템을 탑재해 초급속 충전 속도가 개선됐으며, 업그레이드된 주차 파일럿 어시스트 기능과 일렉트로크로믹 파노라파 루프가 도입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X90은 지난 2022년 공개된 볼보 차세대 플래그십 전기 SUV다. EX90은 국내 출시는 내년 상반기로 예정됐다. EX90은 글로벌 기준 듀얼 모터와 싱글 모터 등 다양한 구성으로 운영되는데, 국내 트림은 미정이다.

지프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 공개, 블랙과 레드로 존재감 '업'
지프는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을 23일 공개했다.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은 일본 시장을 위한 150대 한정판으로 브릴리언트 블랙 크리스탈 외관 컬러와 레드 컬러 포인트로 외관 존재감이 강조됐다. 또한 전용 엠블럼과 18인치 휠 등 일반 모델과 차별화된 것이 특징이다. 커맨더는 일본과 브라질 등 일부 시장에서만 판매되는 전략형 중형 SUV로 컴패스와 그랜드 체로키 사이에 위치한다. 커맨더는 3열 시트를 갖춘 7인승으로 운영된다. 커맨더 트레일 에디션

볼보자동차코리아, 컨슈머인사이트 ‘제품 만족도’ 6년 연속 1위 선정
볼보자동차코리아(대표: 이윤모)가 자동차 전문 리서치 회사 컨슈머인사이트(Consumer Insight)의 ‘2025 자동차 기획조사’ 제품 만족도(TGR) 부문에서 국산 및 수입차 브랜드 통합 1위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상품성을 입증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2001년부터 매년 약 10만 명의 자동차 소비자를 대상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연례 자동차 기획조사’를 진행해 오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객관적인 선택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국산 및 수입차 브랜드를
![[시승기] 기아 EV5, 패밀리 전기 SUV의 새로운 스탠다드](https://www.kod.es/data/trd/image/2025/09/24/trd20250924000001.300x200.0.jpg)
[시승기] 기아 EV5, 패밀리 전기 SUV의 새로운 스탠다드
더 기아 EV5(The Kia EV5)를 시승했다. EV5는 기아가 처음 선보이는 정통 SUV 바디타입 전기차로, 내연기관 SUV와 유사한 프로포션과 공간을 확보해 전기차 특유의 이질감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페달 오동작 방지 등 안전 기능을 탑재해 패밀리 SUV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EV5 출시로 '2023 EV 데이'를 통해 공개한 전기차 라인업이 모두 출시됐다. 2021년 준중형 전기 크로스오버 SUV(EV6), 2023년 준대형 전기 SUV(EV9), 2024년 소형 크로스오버 SUV(EV3), 2025년 준

BMW X5 풀체인지 티저 공개, 수소차까지 나온다
BMW는 신형 X5 티저를 23일 공개했다. 신형 X5는 풀체인지 모델로 기존의 가솔린과 디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외에 배터리 전기차와 수소 연료 전기차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으로 운영되며, 외관엔 BMW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내년에 공개된다. 신형 X5는 5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X5는 다양한 파워트레인이 도입되는데, 가솔린과 디젤로 구성된 내연기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배터리 전기차, 수소 연료 전기차 등 총 5가지 선택지를

기아 EV4 해치백, 스포티한 스타일..ID.3 정조준
기아는 23일 EV4 해치백 이미지를 추가로 공개했다. EV4 해치백은 공기저항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스포티한 외관이 강조됐으며,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612km를 주행할 수 있다. EV4 해치백은 올해 말 유럽, 2026년 초 미국에 투입되며, 국내엔 출시되지 않는다. EV4는 기아의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해치백으로 운영된다. EV4 세단은 지난 4월 국내 출시됐으며, EV4 해치백은 해치백 수요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미국에도 도입된다. EV4 해치백은 폭스바겐 ID.3,

벤틀리 플라잉스퍼 옴브레, 컬러 옵션이 E클래스보다 비싸다고?
벤틀리는 옴브레(Ombré) 컬러 옵션을 적용한 플라잉스퍼를 공개했다. 옴브레는 벤틀리에서 가장 고급스러운 외관 컬러 옵션으로 도장 작업에 걸리는 시간은 약 60시간이다. 특히 옴브레 가격은 6만8000달러(약 9천만원)로 E클래스나 5시리즈의 미국 가격보다 비싸다. 옴브레 바이 뮬리너 컬러 옵션은 벤틀리에서 가장 고급스럽고 비싼 외관 컬러 옵션이다. 옴브레 컬러 옵션 가격은 플라잉스퍼 기준 미국서 6만8000달러(약 9천만원)로 BMW 5시리즈, 벤츠 E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 리뉴얼 오픈, 마니아 놀이터로
현대자동차는 현대차 브랜드 최초의 체험 공간인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서울 강남구 소재)'이 리뉴얼을 마치고 재개관을 했다고 23일 밝혔다. 2014년 개관한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은 '고객 소통 공간'에서 리뉴얼을 통해 '자동차에 대한 모든 취향을 담은 놀이터'로 새롭게 변모했다. 새로운 콘셉트 아래 헤리티지, 라이프스타일, 레이싱 등 자동차와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현대차는 전시 관람과 체험 프로그램 참여에

BYD 씰 기본형 주행거리 '449km' 국내 인증, 출시 시점은?
BYD 씰 기본형의 국내 인증이 완료됐다. 씰 기본형은 싱글 모터 후륜구동 사양으로 82.5kWh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완충시 환경부 기준 최대 449km를 주행할 수 있다. 전기모터 최고출력은 313마력으로 정지상태에서 100km/h 가속까지 5.9초다. 연내 출시된다. 씰은 BYD의 중형 전기 세단이다. BYD코리아는 지난달부터 씰 다이내믹 AWD의 고객 인도를 시작했다. 씰 기본형인 후륜구동(RWD)은 연내 출시될 예정이다. 씰 기본형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4690만원인 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