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로캠퍼의 슬로캠핑] 안개와 눈떠 노을과 잠들다

[솔로캠퍼의 슬로캠핑] 안개와 눈떠 노을과 잠들다

춘천 중도 오토캠핑장

발행일 2011-06-16 16:48:04 솔로캠퍼

봄 춘(春), 내 천(川). 봄이 오는 내, 춘천. 그래서 춘천은 언제 가나 봄이다. 아니 그곳에 가면 누구나 청춘이 된다. 크고 작은 호수에 둘러싸여 물안개를 품어대는 곳. 그 한가운데에 몸을 누인다. 춘천 의암호에 뜬 섬, 중도에 텐트를 살포시 내려놓았다.

▲ 의암호에 뜬 섬, 중도. 배 위에서 섬을 보고 찍었다.

의암호에 핀 섬, 중도

호반도시 춘천으로 향했다. 북한강, 소양강 등 2개의 큰 강과 소양강댐, 춘천댐, 의암댐, 그리고 댐으로 인해 만들어진 소양호, 춘천호, 의암호가 춘천 시내를 감싸 안는다. 그야말로 사방이 물, 물, 물이다. 의암호에 의해 자연 발생한 중도, 붕어섬, 위도, 남이섬에 이르기까지 춘천은 호반의 도시이자 '물의 나라'다.

▲ 중도 오토캠핑장은 플라타너스 나무 그늘 아래 텐트와 타프를 자유자재로 칠 수 있다.

강에 생긴 크고 작은 댐으로 도시는 온통 호수길이 이어진다. 푸른 호수와 파란 하늘이 만나는 길 위에 의암호가 있다. 의암댐은 1967년 준공됐다. 이 댐이 약 16만평의 호수를 만들었다. 호수의 가운데에는 두 척의 나룻배처럼 상중도와 하중도가 떠있다. 다리로 연결된 상중도와 달리 하중도는 뱃길로만 들어갈 수 있다. 1980년대 관광단지로 개발된 하중도가 바로 중도관광리조트다.

▲ 캠핑장 극장. 한 캠핑객이 프로젝터를 설치해 야외에서 영화감상을 즐기고 있다.

일단 갇히는 게 시작, 설레는 ‘섬 캠핑’

섬 캠핑은 특별하다. ‘일단 갇히는 게 시작’인데, 갇힌다는 악조건이 여행에서는 최상의 조건이 된다. 1989년부터 형성된 중도 야영장은 호수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배를 타고 들어가 ‘갇히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마치 색다른 별미를 내놓는 밥상처럼 맛깔스럽다.

중도는 1982년까지만 하더라도 82가구가 농사를 지으며 살던 땅이었다. 리조트로 개발되면서 현재는 7가구가 남은 관광 섬이 됐다. 캠핑장은 섬 남쪽에 정비된 관광지 속에 있다. 차를 싣고 섬에 들어가려면 근화동 마을 배를 타야한다. 중도관광리조트에서 운영하는 배에는 사람만 오를 수 있기 때문. 근화동 선착장에서 작은 배에 아슬아슬 차를 올리면 10분이 채 안 돼 중도에 도착한다. 중도 북쪽은 선사유적지다. 밭농사를 짓는 북쪽 땅을 지나 좁은 섬 길을 따라 내려가면 깔끔하게 정비된 관광단지가 나타난다.

▲ 호텔보다 더 좋은 우리가족만의 방. 요즘 대형텐트는 공간이 넉넉해 안락하고 편안하다.

캠핑장은 관광단지 내 3개 야영장으로 나뉜다. 텐트를 치는 곳은 따로 구획이 나뉘지 않아 자유롭게 설치하는 게 매력. 너른 잔디밭 텐트 위로는 플라타너스 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선사한다. 섬을 빙 둘러 형성된 자전거도로는 일반 관광객에게도 사랑받는 코스. 잔디광장인 축구장을 비롯해 족구장, 배구장, 길거리 농구장 등 즐길 거리도 풍성하다.

그래도 캠핑객에게 중도가 선사하는 가장 큰 선물은 자연 풍광이다. 아침 안개와 눈을 떠 호수 노을과 잠드는 것이 중도 캠핑이 내놓는 메인 요리다.

▲ 중도 오토캠핑장은 사이트를 따로 정해놓지 않아 넉넉하게 텐트와 타프를 설치할 수 있는 게 매력.

* 가는 길

차를 가지고 오지 않는다면 74,75번 버스 승차 후 공지천을 지나서 베어스호텔에서 하차, 중도관광지 선착장으로 이동하면 된다. 차로 온다면 경춘가도 46번 도로를 이용(서울 -> 청평 -> 가평 -> 강촌 -> 연신교(의암댐)-> 춘천)하여 춘천까지 간 뒤 중도관광지(중도야영장) 이정표를 활용하면 중도관광지(춘천시 삼천동 200번지)까지 도착할 수 있다. 중도에 차를 가져가지 않는다면 중도관광지 주차장에 주차하고 배를 타면 된다. 오토캠핑을 하기 위해 차를 가져간다면 근화동 마을 배를 타야 한다. 선착장도 다르다. 내비게이션에 춘천시 근화동 19-2번지를 찍으면 된다. 근화동 마을 배는 오전7시~오후7시까지 한 시간에 한 번 다닌다. 주말에는 오토캠핑 이용객이 많아 배를 타기 위해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있다.

▲ 섬을 빙 둘러 형성된 자전거도로는 일반 관광객에게도 사랑받는 코스. 잔디광장인 축구장을 비롯해 족구장, 배구장, 길거리 농구장 등 즐길 거리도 풍성하다.

* 기타정보

- 근화동 마을 배 도선료: 1대당 2만원
- 중도관광지 맥도관광 도선료: 성인 1인당 4천원
- 중도관광지 입장료: 성인 1인당 1,300원(타시민), 800원(강원도민)
- 중도관광지 야영장이용료: 3,000원 (주차요금 2,000원 별도)
- 전기이용료: 5,000원(사용시 지불)
- 야영장 이용: 150동으로 제한
- 예약 : 인터넷 예약만 가능 http://www.gangwondotour.com/

▲ 중도 캠핑장의 밤 풍경 (강원도개발공사 제공)

* 추가정보중도관광지 야영장은 총 3구획으로 나뉜다. 모두 잔디가 깔려 있다. 텐트 한 사이트당 정해진 장소는 없어 좋은 자리에 텐트를 치면 된다. 타프와 텐트를 원하는 대형으로 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중도관광지 내에는 취사장 3곳, 매점 3곳, 휴게소 1곳 등의 시설이 있다. 그 외 자전거(1, 2인용), 전동자전거, 배드민턴, 행사천막, 숯불구이기구 등을 대여할 수 있다. 샤워시설은 여름에만 사용가능하다. 전기시설은 화장실에서 끌어 써야 한다. 그래서 텐트를 칠 때 취사장과 화장실 위치를 염두에 둬야 한다. 자연을 더 느끼고 싶다면 순환로 인근에 텐트를 친다. 전기 쓰기는 불편하지만 호수가 잘 보인다. 굳이 캠핑을 즐기지 않아도 중도에 들어가 하루 정도 산책을 즐기는 것도 괜찮다. 자전거를 타는 것도 좋다.  

 

▲ 손지도/ 사실 중도선착장을 못 찾아 엄청 헤맸다. 내비게이션에 ‘중도’를 치니 선착장이 아닌 제일 가까운 육지를 안내해줬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 마트에 들어가 길을 물었다. 그런데 이런 손님이 많은지 사장님은 손수 그린 지도로 자세히 길을 설명해준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 296 스페치알레 공개, 880마력 하이브리드 슈퍼카

페라리는 296 스페치알레(296 Speciale)를 29일 공개했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의 하드코어 버전으로 V6 엔진 기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시스템의 총 출력이 880마력으로 향상됐다. 튜닝된 서스펜션과 에어로다이내믹 보디킷 등 전용 사양을 갖췄다. 296 스페치알레는 챌린지 스트라달레, 430 스쿠데리아, 458 스페치알레, 488 피스타로 이어지는 페라리의 베를리네타 스페셜 버전의 계보를 이어간다. 296 스페치알레는 296 GTB/GTS를 기반으로 쿠페형 버전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2 스탠다드 출시, 가격 4390만원..409km 주행

폴스타코리아는 2025년형 폴스타2를 출시한다고 30일 밝혔다. 2025년형 폴스타2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과 2열 열선 시트 등 고객 선호 사양이 기본 적용됐으며, 패키지 가격이 인하됐다. 특히 409km를 주행하는 스탠다드 트림이 신설됐다. 가격은 4390만원부터다. 2025년형 폴스타2 가격은 스탠다드 레인지 싱글 모터 4390만원, 롱레인지 싱글 모터 5490만원, 롱레인지 듀얼 모터 6090만원이다. 폴스타2 구매 고객은 7년/14만km 일반 보증, 커넥티드 서비스 3년 무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 C5 에어크로스 공개, 스포티지급 하이브리드 SUV

시트로엥은 신형 C5 에어크로스를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풀체인지 모델로 이전 세대보다 차체 크기가 커졌으며, 시트로엥 최신 디자인 언어가 반영됐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하이브리드와 전기차로 운영된다. 하반기 유럽에 출시된다. 신형 C5 에어크로스는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C5 에어크로스는 2019년 국내에도 출시된 바 있는데, 현재 시트로엥은 한국에서 철수한 상태로 신형 C5 에어크로스의 국내 출시는 없을 것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 국내 출시 임박, 하드코어 패밀리카

BMW M3 CS 투어링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BMW코리아는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M3 CS 투어링 소개에 나섰으며, 최근 국내 인증도 완료했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엔진 성능이 550마력으로 향상됐으며, 경량화된 보디킷이 적용됐다. M3 CS 투어링은 M3 투어링을 기반으로 레이스 트랙을 위해 체계적으로 설계됐지만, 일상 주행도 가능한 완벽한 조화를 목표로 개발됐다. M3 CS 투어링은 국내에서 한정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M3 CS 투어링 국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내달 사전계약, 에어 서스펜션 탑재

아우디 신형 Q5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을 시작으로 하반기 국내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로 쿠페형 모델인 스포트백까지 도입되며, 상위 트림에는 에어 서스펜션이 탑재된다. 신형 Q5는 3세대 풀체인지로 국내에는 SUV와 쿠페형 SUV 스포트백이 도입된다. 신형 Q5는 5월 사전계약 후 하반기 디젤과 가솔린 순으로 출고가 개시된다. 신형 Q5 국내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는데, 최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 국내 진출, 프리미엄 중국 전기차..주력 모델 실물은?

지커(ZEEKR)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따르면 지커는 한국 법인을 설립하는 등 런칭 준비에 나섰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로 중형 전기 SUV 7X, 중형 세단 007, 미니밴 009가 대표적이다. 출시 모델은 미정이다. 지커는 중국 지리자동차 산하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다. 지커는 최근 지커인텔리전트테크놀로지코리아(ZEEKR Intelligent Technology Korea, 이하 지커코리아) 법인을 설립하고 서울 강남구 역삼

차vs차 비교해보니김한솔 기자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 어린이 교통안전교육 진행, 눈높이 교육으로 호응

혼다코리아가 지난 25일 혼다 모빌리티 카페 더 고(the go)에서 경기도 내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제2회 어린이 교통안전교육은 보행자/자전거/모터사이클/자동차 안전 등 총 4가지 카테고리로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 교육이 진행됐다. 혼다는 2050 글로벌 비전 중 하나인 ‘교통사고 사망자 제로(zero)’를 목표로 각국에서 지역 교통문화 현황에 적합한 안전교육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

업계소식김한솔 기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 A4 후속 사전계약 개시, 가격은 5789~8342만원

아우디코리아는 5월 1일부터 신형 A5 사전계약을 시작한다고 29일 밝혔다. 신형 A5는 아우디 최신 내연기관 플랫폼 PPC 기반 첫 번째 세단으로 다이내믹한 디자인과 넓은 실내 공간이 특징이다. 신형 A5는 S7 등 총 7개 트림으로 운영된다. 가격은 5789만원이다. 신형 A5 가격은 40 TFSI 콰트로 어드밴스드 5789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6378만원, 40 TFSI 콰트로 S-라인 블랙 에디션 6771만원, 45 TFSI 콰트로 S-라인 6869만원, 40 TDI 콰트로 어드밴스드 6182만원, 40 TDI 콰

신차소식김한솔 기자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 국내 출시 예고, 현대차 아반떼보다 크다

벤츠 신형 CLA가 국내 도입될 전망이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벤츠코리아는 최근 신형 CLA의 배출 가스 및 소음 등 본격적인 인증 작업에 돌입했다. 신형 CLA는 이전 세대보다 커진 차체를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사양을 탑재했다. 출시 시기는 미정이다. 신형 CLA는 3세대 풀체인지 모델이다. 신형 CLA는 벤츠 차세대 플랫폼 MMA를 기반으로 전기차와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가 포함된 가솔린 터보로 운영된다. 신형 CLA는 국내 출시가 예정됐는데, 전기차

업계소식김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