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 Korea, ‘캐딜락 CTS 쿠페’ 출시

GM Korea, ‘캐딜락 CTS 쿠페’ 출시

스타일링과 퍼포먼스라는 캐딜락 고유의 가치를 발전시킨 럭셔리 스포츠 쿠페 모델

발행일 2010-11-18 12:30:23 탑라이더

GM Korea(대표 장재준, www.cadillac.co.kr)는 오늘, 캐딜락 브랜드가 추구하는 스타일링과 퍼포먼스의 최정점에 선 ‘캐딜락 CTS 쿠페(Coupe)’를 국내에 처음 공개했다.

캐딜락 CTS 쿠페는 캐딜락만의 독특한 미래지향적 스타일링이 반영된 럭셔리 스포츠 쿠페 모델이다. 캐딜락의 베스트셀링 중대형 럭셔리 스포츠 세단인 CTS를 기반으로, 캐딜락 디자인 큐를 그대로 담으면서 보다 진보된 스타일링을 제시한다. 여기에 3.6L V6 VVT 직분사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출력 304마력의 뛰어난 퍼포먼스와 핸들링 성능을 갖췄다. 2008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개최된 북미국제오토쇼(2008 The North American International Auto Show)에서 컨셉트카로 첫 선을 보인 후 캐딜락이 추구하는 스타일링과 퍼포먼스의 가치를 더욱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그동안 업계의 큰 관심과 호응을 이끌어 왔다.

캐딜락 CTS 쿠페의 외관은 기존의 도어 손잡이와 같은 익스테리어 요소를 과감히 제거하고 도어 터치 패드를 적용함으로써 더욱 매끄럽고 날렵한 스타일링을 완성했다. 또한 B필러 없이 마치 요트의 돛을 연상시키는 판넬 디자인이 적용된 C필러를 통해 더욱 다이나믹하고 대담한 쿠페 스타일을 선보인다. 기존 CTS 세단 모델보다 짧은 리어 오버행 및 62.3도로 기울여져 더욱 공기역학적으로 재설계된 윈드실드 등과 같은 혁신적인 디자인 요소들이 곳곳에 가미되었다.

이러한 캐딜락 CTS 쿠페의 예술성은 파워풀한 성능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럭셔리 스포츠 쿠페로서의 최고의 면모를 과시한다. 3.6L V6 VVT 직분사 엔진을 장착하여 최고출력 304마력(6400rpm) 및 최대토크 37.8kg•m(5200rpm)의 강력한 파워와 효율적인 퍼포먼스를 구현한다. 이와 함께, 현존하는 가장 정밀한 변속 시스템인 최첨단 하이드라매틱(Hydra-Matic) 6단 자동변속기가 섬세하고 부드러운 드라이빙은 물론이고 엔진의 강력한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GM Korea 장재준 대표는 “마침내 오늘 캐딜락 CTS 쿠페를 국내 고객들께 선보이게 되어 매우 기쁘다”면서, “CTS 쿠페는 여느 스포츠 쿠페 모델들과는 확연히 차별화된 스타일링을 제공한다. 특히 도어 터치 패드 및 역동적으로 디자인된 윈드실드 등의 공격적인 스타일링은 캐딜락의 기술과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브랜드의 앞선 혁신을 오롯이 보여준다”고 말했다.

예술적 감성이 돋보이는 드라마틱한 디자인

캐딜락 CTS 쿠페는 캐딜락의 베스트셀링 스포츠 세단인 CTS를 기반으로, 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및 콘솔, 헤드램프, 프론트 펜더와 그릴 정도를 제외하고는 스타일링 측면에서 완전히 새롭게 재설계되었다. 공격적인 루프라인과 기존의 세단 모델 대비 2도를 더해 62.3도 후방으로 기울어진 윈드실드, 수평에 가까운 리어 윈도우 등이 보는 이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동시에 다이나믹한 외관을 완성했다. CTS 세단과 비교해 전장과 전고가 더욱 짧고 낮게 재설계 되었으며, 특히 짧아진 리어 오버행은 스포츠 쿠페로서의 드라이빙 다이나믹스와 후륜 구동 섀시의 핸들링 성능을 외관에서부터 보여준다.

대담한 벨트라인과 직선 및 곡선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룬 매끄러운 옆모습은 CTS 쿠페의 날렵함을 시각적으로 배가시킨다. 여기에, 기존의 도어 손잡이와 같은 익스테리어 요소를 과감히 없애고 터치 패드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완전한 사이드 패널 디자인을 완성했으며, 프레임이 배제된 도어 디자인과 윈도우 인덱싱 기능을 통해 기존에 볼 수 없었던 테크니컬한 쿠페 디자인을 창조했다. 윈도우 인덱싱은 윈도우 프레임이 없는 도어 개폐시 자동적으로 윈도우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효율적으로 밀폐시켜 주는 기능이다.

캐딜락 CTS 쿠페는 아름다운 뒷모습을 지닌 쿠페 모델로 리어뷰에 있어서도 차별화된 미를 자랑한다. CTS 세단 대비 보다 에지를 살린 디자인 룩을 표방하며 리어 익스테리어에 있어서 강렬한 존재감을 표현했다. 리어 스포일러 기능을 대신하는 LED 스톱 램프는 날이 선 듯한 예리한 모습으로 더욱 대담한 스타일링을 제공하고, 이에 더해 C필러 및 리어 윈도우로부터 테일램프 상단의 트렁크 리드까지 거의 수평에 가까운 경사를 이루며 역동적인 리어뷰를 완성했다.

차량 전면의 제논 HID 헤드램프와 프론트 펜더 및 그릴, 그리고 LED 라이트 파이프가 적용된 테일 램프에는 캐딜락 고유의 시그니처 디자인 큐가 그대로 반영되어 타 차종 대비 한층 세련되고 확연하게 구분되는 유려함을 선사한다. 또한, 19인치 알로이 휠이 존재감 넘치는 스타일과 퍼포먼스에 부합하는 강력한 스탠스를 제공한다.

실내 또한 최첨단 기술과 섬세한 수작업이 조화를 이루며 프리미엄의 감성과 품격을 더한다. 하나하나 손수 조립된 센터 콘솔 라인은 센터 스택까지 매끄럽게 연결되어 공간적인 희생 없이도 운전자와 탑승자 모두에게 비행기 조종석에 앉아있는 듯한 스포티한 감각을 전달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 커버와 센터 콘솔, 도어 트림 등 재단에서부터 스티칭까지 역시 수작업으로 마무리되어 마치 특별 주문으로 제작된 듯한 고급스러움을 선사한다. 이와 함께, 자연미가 돋보이는 천연 사펠리 우드 트림과 크롬 컬러의 메탈릭 트림이 적용되었으며, 히팅 기능이 포함된 스티어링 휠 및 버튼식 도어 릴리즈 등 세련미에 기능성까지 어느 것 하나 놓치지 않은 배려가 돋보인다.

특별 제작된 섀시를 기반으로 뛰어난 성능 구현

캐딜락 CTS 쿠페는 성능에 있어서도 ‘스포츠카에서 느낄 수 있는 퍼포먼스’라는 본연의 정체성에 충실하고자 노력했다. 후륜 구동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2008년–2009년 2년 연속 美 워즈 오토 월드 ‘세계 10대 엔진’으로 선정된 3.6L V6 VVT 직분사 엔진을 탑재하여 최고출력 304마력(6400rpm), 최대토크 37.8kg•m(5200rpm)의 강력한 파워를 구현한다. 여기에, 현존하는 가장 정밀한 변속 시스템인 최첨단 하이드라매틱 6단 자동변속기를 적용했다. 이는 섬세하고 부드러운 드라이빙과 엔진의 폭발적인 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기존 CTS 세단의 3.42:1과 비교하여 더욱 공격적으로 세팅된 3.73:1의 최종 감속비를 통해 보다 빠른 반응 속도와 가속력을 선사한다.

이 외에도, 운전자가 원할시 매뉴얼 변속 모드로 전환할 수 있게 해주는 드라이버 쉬프트 컨트롤(Driver Shift Control, DSC) 기능, 패들 쉬프트와 기어 레버를 통한 스포츠 매뉴얼 기어 변속 기능, 스포츠 퍼포먼스 서스펜션과 리미티드 슬립 디퍼런셜을 적용하여 더욱 다이나믹한 드라이빙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파워풀한 성능은 CTS 쿠페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섀시를 토대로 더 큰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캐딜락 CTS 쿠페는 럭셔리 스포츠 쿠페라는 명성에 걸맞은 드라이빙 경험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섀시를 재설계했다. CTS 세단보다 넓어진 리어 트레드는 노면 접지력을 높여 한층 안정된 코너링을 제공하며, ‘스태빌라이저 바(stabilizer bar)’의 길이를 CTS 세단 대비 전방은 29mm로 2mm 짧고, 후방은 24.5mm로 4.5mm 길게 설계하여 쿠페의 퍼포먼스 특성에 부합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네 개의 휠 모두의 댐핑력이 더욱 단단해져 일반 모드에서 최고 횡G(횡가속도: 코너링시 밖으로 쏠리는 힘)가 0.88G로 향상됐다.

이번에 출시된 캐딜락 CTS 쿠페에는 19인치 알로이 휠과 최고급 타이어 사양이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CTS 세단 못지 않은 품격 높은 편의사양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캐딜락 CTS 쿠페는 운전자는 물론 탑승자까지도 세심히 배려한 편안한 승차감과 다양한 편의사양이 확보되었다. 전통적 방식의 실내 도어 핸들 대신 유니크하고 한층 진보된 도어 릴리즈 버튼이 장착되었으며, 요추 지지용 럼버 컨트롤이 포함된 8-방향 파워 시트를 통해 안락함을 개선시켰다. 차량 전면의 어댑티브 포워드 라이팅(Adaptive Forward Lighting, AFL) 기능이 포함된 제논 HID 헤드램프가 스티어링 휠 조향 각도에 따라 헤드램프를 회전시킴으로써 야간 운행시 전방의 시야를 확보시켜준다.

이 밖에도, 캐딜락 CTS 쿠페에는 CTS 세단의 수준 높은 편의사양 및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다수 적용되었다. 8인치 팝업 터치스크린 LCD, 40GB 용량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iPod/USB 커넥터 및 Bose® 5.1ch 10–스피커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이와 더불어, ‘씬-시트(thin-seat)’ 기술 및 히팅–통풍 시트를 통해 탑승자의 쾌적한 승차감과 실내 공간을 최대한 확보했다.

캐딜락 CTS 쿠페에 적용된 혁신적이고 선도적인 기술 및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 드라이버 인포메이션 센터 (Driver Information Center, DIC)
- 8인치 팝업 터치스크린 LCD
- 40GB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 iPod/USB커넥터
- Bose® 5.1ch 10–스피커 서라운드 오디오 시스템
- 한글 터치스크린 내비게이션 시스템
- 어댑티브 포워드 라이팅(AFL) 시스템이 적용된 제논 HID 헤드램프
- 초음파 후방 주차 시스템 및 리어 뷰 카메라

캐딜락 명성에 걸맞은 프리미엄 안전 테크놀로지

캐딜락 CTS 쿠페는 탑승자에 따라 팽창 부피가 달라지는 가장 진보적인 에어백 시스템을 장착하는 등 ‘완전한 탑승자 안전 환경 시스템’이라는 캐딜락의 명성에 걸맞은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 전자 제어 주행 안정 시스템 (스태빌리트랙, StabiliTrak)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Electronic Parking Brake, EPB)
- 운전석 듀얼 스테이지 에어백
- 조수석 듀얼 뎁스 에어백
- 운전석/조수석 사이드 임팩트 에어백
- 앞좌석/뒷좌석 헤드 커튼 에어백
- 앞좌석 안전벨트 프리텐셔너
-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시스템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TPMS)
- 고강성 스틸 소재에 기반한 바디 구조 

캐딜락 CTS 쿠페의 가격은 63,800,000원(부가세 포함)이다.

탑라이더 press@top-rider.com <보이는 자동차 미디어, 탑라이더(www.top-rider.com)>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기아 EV5 제원부터 공개, 주행거리 '460km' 인증

기아 EV5 제원부터 공개, 주행거리 '460km' 인증

기아 EV5 제원 일부가 공개됐다. EV5는 올해 4분기 중 공식 출시를 앞둔 준중형 SUV 모델이자 전용 전기차로 중국 CATL에서 공급하는 81.4kWh NCM 배터리를 탑재해 1회 완충시 국내 기준 460km를 주행할 수 있다. 전륜구동 싱글 모터 최고출력은 217마력이다. EV5는 EV6, EV9, EV3, EV4에 이어 기아가 선보이는 다섯번째 전용 전기차다. EV5는 고객 수요가 많은 준중형급에 정통 SUV 보디타입을 적용한 모델이다. EV5는 올해 4분기 공식 출시를 앞뒀는데, 중국 CATL의 배터리를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르노 트라이버 공개, 클리오보다 작은 7인승 미니밴

르노 트라이버 공개, 클리오보다 작은 7인승 미니밴

르노는 신형 트라이버(Triber)를 25일 공개했다. 트라이버는 크로스오버 디자인이 적용된 소형 미니밴으로 부분변경을 통해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디지털 계기판과 터치 디스플레이, 3열 시트 등이 배치됐다. 트라이버는 인도 전략형 모델이다. 트라이버는 지난 2019년 공개된 인도 전략형 소형 미니밴이다. 트라이버는 7인승 구성으로 현대차 알카자르 등 소형 7인승 모델과 경쟁한다. 신형 트라이버는 부분변경으로 기본형 기준 62만999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스타게이저 부분변경 공개, 전면에 대형 'H' 램프 탑재

현대차 스타게이저 부분변경 공개, 전면에 대형 'H' 램프 탑재

현대차는 스타게이저 카르텐즈(Cartenz)를 24일 공개했다. 스타게이저 카르텐즈는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시장 전용 모델인 스타게이저의 부분변경으로 전/후면부에 'H' 램프가 탑재됐으며, 실내에는 다양한 디지털 사양이 배치됐다. 국내 도입은 없을 전망이다. 스타게이저는 지난 2022년 공개된 동남아시아 전략형 미니밴이다. 스타게이저 카르텐즈는 스타게이저의 부분변경으로 기존과 마찬가지로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된다. 다만 현대차는 이번 스타게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전기차도 미니다운 주행감각

[시승기]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전기차도 미니다운 주행감각

미니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SE 페이버드와 올-일렉트릭 미니 존 쿠퍼 웍스(JCW)를 시승했다. 해당 모델은 미니 쿠퍼 3도어 기반의 소형 전기차로, 기존 미니 일렉트릭 대비 2배 가까이 늘어난 주행거리와 즉각 토크를 더해 운전 재미를 살렸다. 5천만원 미만에서 가장 개성 강한 전기차다. MINI코리아는 2025년 쿠퍼, 에이스맨, 컨트리맨의 전기차 풀 라인업을 완성했다. 전기차 가격대는 올-일렉트릭 미니 쿠퍼 5250~6050만원, 올-일렉트릭 미니 에이스맨 4970~62

수입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A6 e-트론 국내 출시 임박, 매끈한 디자인..주행거리 469km

아우디 A6 e-트론 국내 출시 임박, 매끈한 디자인..주행거리 469km

아우디 A6 e-트론의 국내 투입이 임박했다. 딜러사 관계자에 따르면 A6 e-트론은 이르면 내달 사전예약을 시작으로 9월 공식 출시될 예정이다. A6 e-트론은 아우디 A6급 차세대 준대형 전기 세단으로 국내 기준 469km를 주행할 수 있다. 가격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A6 e-트론은 아우디와 포르쉐가 공동 개발한 전기차 전용 플랫폼 PPE 기반 전기차다. A6 e-트론은 아우디 A6급으로 BMW i5, 벤츠 EQE 세단과 경쟁한다. A6 e-트론은 글로벌 기준 스포트백과 아반트로 운영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현대차 싼타페, 8단 DCT 변속기 버린다..8단 자동변속기 탑재

현대차 싼타페, 8단 DCT 변속기 버린다..8단 자동변속기 탑재

현대차 싼타페 2.5 가솔린 터보 변속기가 교체될 전망이다. 해외 자동차 전문매체 모터트렌드에 따르면 현대차는 싼타페와 싼타크루즈 2.5 가솔린 터보 변속기를 기존 8단 DCT에서 8단 자동변속기로 변경한다. 국내 도입은 미정이며, 기아는 8단 DCT가 유지된다. 현대차 관계자는 모터트렌드와의 인터뷰에서 "싼타페와 싼타크루즈 모두 8단 DCT 변속기를 폐지하고 전통적인 토크 컨버터 8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할 것이다. 자동변속기가 개발 과정에서 사용 가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레인지로버 전기차 출시 연기, '테스트 시간이 더 필요하다'

레인지로버 전기차 출시 연기, '테스트 시간이 더 필요하다'

랜드로버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출시가 연기됐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 출시 일정은 올해 하반기에서 2026년으로 랜드로버 공식 홈페이지에 조용히 업데이트됐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의 테스트가 더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국내에도 투입된다. 레인지로버 일렉트릭은 5세대 레인지로버 기반 전기차로 랜드로버는 올해 말 월드프리미어를 진행하고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었는데, 공식 공개가 2026년으로 연기됐다. 글로

업계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폭스바겐 타이론 하이브리드 공개, 기름없이 '123km' 주행 가능

폭스바겐 타이론 하이브리드 공개, 기름없이 '123km' 주행 가능

폭스바겐은 타이론 e하이브리드를 23일 공개했다. 타이론 e하이브리드는 1.5 가솔린 엔진 기반 엔트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모델로 총 출력 204마력을 발휘하며, EV 모드로 최대 123km를 주행할 수 있다. 타이론은 티구안 롱보디로 국내 투입은 미정이다. 타이론은 기존 티구안 올스페이스를 대체하는 모델이다. 타이론은 폭스바겐 SUV 라인업 중 티구안과 투아렉 사이에 위치한다. 타이론은 유럽 차명으로 미국에는 신형 티구안으로 최근 판매가 시작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PV5, 스포티지 크기로 카니발급 공간 확보

기아 PV5, 스포티지 크기로 카니발급 공간 확보

기아가 지난 22일 PV5 테크 데이를 개최하고 고객 중심 개발 과정과 핵심 기술을 공개했다. PV5는 전동화 전용 PBV로 전용 플랫폼 E-GMP.S가 적용돼 실내 공간이 극대화됐다. 또한 목적에 따라 바디 최대 16종까지 확장이 가능하다. 내달 고객 인도가 시작된다. PV5는 기아 최초의 전동화 전용 PBV(Platform Beyond Vehicle)다. PV5에 사용된 PBV 전용 플랫폼 E-GMP.S는 개발 체계인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를 기반으로 PBV 잠재 고객의 사용 환경을 고려해 극대화된 실내

오토칼럼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