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출시되는 신차에 앞다퉈 탑재되는 장비로 수입차는 물론 국산차에도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사고도 급증하고 있어, 사용자 이해가 필요하다. ADAS에 대한 오해와 진실을 살펴봤다.

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을 부르는 명칭은 자동차 제조사 마다 다르다. 일반적으로 앞 차와의 거리를 스스로 유지시켜 주는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차로내 주행을 돕는 '차로 유지 보조' 기능을 포함하면 ADAS 장치로 불린다.

ADAS 장치의 핵심은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다. 레이더를 통해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미리 설정한 차량 속도를 유지시키는 장비다. 일반 크루즈 컨트롤이 전방 차량을 전혀 감지하지 않는 것과 달리, 본인 차량 속도와 전방 차량 속도를 유기적으로 조율한다.

최근 급증한 '고속도로 구간 단속 카메라' 주행시 특히 활용도가 높다. 다만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사용시 몇 가지 주의가 요구된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사용 중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해당 기능은 그 즉시 해제된다. 이는 모든 양산차의 공통 사양이다.

ADAS 시스템 동작은 언제나 운전자 의도가 가장 우선하도록 설계된다. 때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이나 차로 유지 보조가 동작하는 상황에서도 운전자의 제동, 스티어링 휠 조작이 감지되면 즉시 기능이 해제된다. ADAS 사용 중 사고는 대부분 이 과정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에서 100km/h 주행시 전방에 차량 정체가 확인되면 차량은 경보음과 함께 예상보다 강한 제동을 시작한다. 이 경우 대부분의 놀란 운전자는 본능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제동 지원 시스템이 해제되는데, 자동 제동이 풀리며 제동 거리가 늘어난다.

차량의 자동 제동은 짧은 거리에서 풀 브레이킹에 가까운 제동을 시도하는 반면, 운전자는 긴 거리를 두고 약한 제동을 이어가는 습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평소 풀 브레이킹에 대한 연습이 되어 있지 않으면 주어진 거리 내에서 제동하기 어렵다. 하지만 해결책은 있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의 앞 차와의 거리 설정을 가장 가깝게 하지 않고, 보다 길게 두는 것이다. 이 경우 차량은 안전 거리를 길게 사용하기 때문에 보다 완만한 감속이 가능하다. 그 밖에 ADAS 동작을 위해서는 안전벨트 착용이 전제되야 함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2021년 현재 판매되는 양산차에 적용된 자율주행 기술은 국제자동차기술자협회(SAE) 기준 레벨2(부분 자동화) 수준으로 주행 책임은 운전자에게 있다. 레벨3(조건부 자동화)부터는 주행 책임이 차량 시스템에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구현과 레벨3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

때문에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레벨2 차량에 '반자율주행'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볼보의 경우 파일럿 어시스트(Pilot Assist)라는 용어를 사용해 조종을 돕는다는 의미를 명시한다. 오토파일럿(Autopilot)은 선박이나 항공기의 자동 조종 장치를 뜻한다.

이한승 기자 〈탑라이더 hslee@top-rid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