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그랜저, 세단이야 스포츠카야?

[시승기] 그랜저, 세단이야 스포츠카야?

발행일 2011-03-22 14:22:04 김상영 기자

“누구도 넘볼 수 없었던 25년 그랜저 전통을 잇는 스타일”

그랜저에 대한 현대차의 설명이다. 그랜저는 1986년 출시돼 5세대로 진화하는 동안 국내 고급승용차의 ‘아이콘’과 같은 존재로 여겨져 왔다. 대기업 간부나 국회의원들이 운전기사를 두고 이용하는 경우도 많아서 ‘성공한 남자의 상징’으로 불리기도 했다.

▲ 현대차 그랜저

하지만, 그랜저의 상급 모델이 생산되기 시작하면서 그랜저의 이미지도 점차 변화되기 시작했다. 1, 2세대 그랜저는 대형차의 면모가 강했지만 3세대인 그랜저XG부터는 젊고 세련된 모습이 강조됐다. 3, 4세대의 그랜저가 정체성을 찾는 과도기적인 모습이었다면 5세대인 그랜저HG는 자신의 정체성을 확실하게 찾은 모습이다.

확 바뀐 외관, 새로운 엔진, 첨단 편의사양으로 더욱 젊고 강력해진 그랜저를 시승해보았다.

◆더 이상 ‘노티’나는 차가 아니다

미워도 정이 들어설까, 혹은 디자인이 더 발전했기 때문일까. 소비자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갈려왔던 현대차 패밀리룩이 그랜저에 이르자 거부감 보다는 호감이 든다.

▲ 5세대 그랜저는 젊고 스포티한 외관을 가졌다

어느 한 곳도 과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폭 넓은 고객층을 염두에 둔 탓인지 각 부분의 디자인은 개성있지만 적당한 수준이다.

전면부는 현대차 패밀리룩의 중심인 쏘나타 디자인을 부드럽게 정돈한 느낌이다. 그릴의 모양과 헤드램프의 모양은 다소 얌전한 느낌마저 든다. 보닛과 범퍼에도 굴곡이 많아 입체적인 느낌도 든다.

측면부는 낮아진 전고 때문에 스포티한 느낌이 크다. 젊고 세련된 느낌이다. 뒷문에서 트렁크부분까지 이어진 벨트라인도 인상적이다. 이같이 철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양산 메이커는 흔치 않다고 한다. 하지만, 입체적인 벨트라인 부분에 접촉사고가 일어난다면 후속 조치가 어렵지 않을까 우려도 있다.

▲ 측면부는 쿠페스타일로, 전고가 낮아져 날렵한 모습이다

후면부는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다. 가로로 길게 이어진 리어램프는 특히 눈에 띈다. 범퍼와 일체형인 듀얼머플러도 인상적이다. 전체적으로 안정적인 느낌을 주면서도 날렵하고 세련된 모습이다.

◆ 럭셔리카라 외형에도 불구, 잘 나가고, 잘 꺾인다

그랜저는 ‘젊은’ 엔진을 장착해 수려한 외모에 걸맞은 뛰어난 주행성능을 확보했다. 시승했던 모델은 HG300으로 람다Ⅱ 3.0리터 GDi 엔진이 장착됐다. 이 엔진은 최고출력 270마력, 최대토크는 31.6kg·m다. 이전 그랜저 3.3리터 모델에 비해 배기량은 줄었지만 11마력이 상승했고 토크는 0.6kg·m 줄었다. 

리터 당 약 90마력은 꽤 훌륭한 수준이다. 이 엔진의 성능을 느끼기 위해 정지상태에서 가속 페달을 힘껏 밟아봤다.

휠스핀이 일어나며 rpm이 상승하고 엔진소리도 과격해졌다. 시속 60km, 6200rpm 부근에서 기어 변속이 이뤄졌다. 2단으로 기어가 변속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휠스핀 현상도 일어났다. 시속 100km에서 3단으로 변속됐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7.5초 정도다. 국산 준대형차가 이렇게나 빨랐나?

초반 가속에서 약간 더디게 가속되는데도 이 정도라는 점을 감안하면 시속 100km 이상에서는 경쟁차종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보여줄 것 같다.

▲ 그랜저에는 270마력의 직분사 엔진이 장착됐다

가속 성능과 이어서 제동력을 테스트했다. 높은 속도에서 급브레이크를 밟고 낮은 속도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으며 테스트했는데 두 조건 모두 합격점을 받을 만 했다. 고속에서 급브레이크를 밟아도 안정적인 제동력을 보였다. 감속 페달을 밟으며 머리속으로 계산한 거리에 어느 정도 들어맞는 듯 했다. 저속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다만 독일차나 스포츠세단을 타는 운전자라면 평소보다 페달을 조금 강하게 밟아줘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

급제동을 5~6차례 반복해 테스트하니 페달이 뻑뻑해지고 밀리는 느낌도 생겼다. 과격한 테스트에 브레이크가 지쳤다고 보면 된다. 이런 극한의 테스트에서나 경험할 일이지 일반적인 주행에서 크게 문제될 부분은 아니다.

◆자동차를 믿어라 'ASCC'…오른발은 거들뿐

그랜저의 가장 큰 특징을 꼽는다면 단연,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을 꼽을 수 있겠다. 그랜저를 시승하기 전부터 가장 크게 기대한 부분이다.

정해놓은 속도를 유지하며 주행하는 크루즈 컨트롤, 앞 차와의 거리를 유지하며 감속과 가속을 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 어드밴스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ASCC)이다.

▲ '어드밴스드 스마트 크루즈컨트롤'은 고속도로 뿐 아니라 도심에서도 유용하다

ASCC는 그야말로 스티어링휠 조작만으로 주행이 가능한 기술이다. 스티어링휠 우측에 위치한 온-오프스위치와 속도조절 레버만으로 주행이 가능하다. 앞차와의 간격도 4단계로 설정이 가능하다.

흔히 크루즈컨트롤이라 하면 고속도로나 꾸준한 주행을 할 때만 사용할 것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상습정체구간인 서부간선도로를 통과하는 출근길에서 그랜저의 ASCC는 더욱 빛을 발했다. 가다 서다를 끝없이 반복하는 도로에서 "완전 편하다!"라는 감탄사가 절로 튀어나왔다. 특히, 명절 연휴 고속도로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귀성차량에 매우 유용할 것 같다.

처음 ASCC를 작동하면 스스로 차가 가감속을 하는 신기한 기능이라는걸 알면서도 정작 감속해야할 상황에선 자신도 모르게 브레이크 페달에 발이 간다.

▲ 실내에는 버튼이 매우 많다

처음에는 ‘과연 제대로 설까?’하는 의문이 들었지만, ‘일단 믿어보자’고 생각하니 몸이 편해졌다. 하지만, 도로에는 수많은 변수가 존재하고 있으니 오른발은 항상 브레이크 곁에 준비돼 있어야 한다. 또 졸거나 집중력을 잃어서도 안 된다.

그랜저를 시승하고 나니 ‘세상 참 좋아졌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와 같은 첨단 기능은 물론, 성능, 연비, 안전 사양까지 대부분 기능이 너무나 잘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랜저의 가격은 3112만원에서 3901만원이다. 현재는 그랜저에만 장착된 독특한 기능인 ASCC는 상위모델인 노블, 로얄 트림에만 장착할 수 있는 점은 아쉽다.
댓글 (0)
로그인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CLA 45 AMG 파이널 에디션 공개, 대형 리어 윙 탑재

메르세데스-AMG는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을 2일 공개했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마누팍투어 마운틴 그레이 마그노 외관 컬러와 19인치 휠, 고정형 리어 윙, 전용 AMG 퍼포먼스 시트 등 일반 모델과 차별화된 사양을 탑재했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CLA 45 S의 마지막 스페셜 모델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은 올해 하반기 미국과 유럽에서 한정된 수량으로 판매될 예정인데, 국내 도입은 미정이다. CLA 45 S 파이널 에디션 외관은 마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 아말피 공개, 로마 후속..럭셔리 GT카

페라리는 아말피(AMALFI)를 2일 공개했다. 아말피는 페라리 로마 후속으로 외관 디자인이 소폭 변경됐으며, 실내에는 대형 디지털 계기판과 디스플레이 등이 추가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해 최고출력 640마력을 발휘한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아말피는 페라리가 2019년 처음 공개한 로마의 부분변경 모델이다. 아말피는 고성능과 다재다능함, 세련된 미학, 현대적인 스포티함을 테마로 개발됐다. 아말피는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 신형 XC90·S90 출시, 가격은 6530~1억1620만원

볼보자동차코리아는 신형 XC90·S90을 출시한다고 2일 밝혔다. 신형 XC90·S90은 부분변경으로 볼보 최신 디자인 언어가 외관에 반영됐으며, 다양한 신규 사양이 추가됐다. 특히 신형 XC90은 에어 서스펜션이 B6 트림까지 확대됐다. 가격은 6530~1억1620만원이다. 세부 가격은 신형 XC90 B6 플러스 8820만원, 에어 서스펜션이 포함된 B6 울트라 9990만원, T8 울트라 1억1620만원, 신형 S90은 B5 플러스 6530만원, B5 울트라 7130만원, T8 울트라 9140만원이다. 5년/10만km

뉴스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EV4 해치백 공개, 폭스바겐 ID.3보다 싸고 멀리간다

기아 영국 법인은 EV4 해치백의 사양과 가격을 공개하고 본격적인 판매를 1일(현지시간) 시작했다. EV4 해치백는 1회 완충시 WLTP 기준 최대 624km를 주행할 수 있으며,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 ID.3보다 가격이 저렴하게 책정됐다. 국내 출시는 미정이다. EV4는 기아의 차세대 전기차로 세단과 해치백으로 운영된다. EV4 세단은 지난 4월 국내 출시됐으며, EV4 해치백은 수요가 높은 유럽을 중심으로 판매된다. EV4 해치백은 영국 기준 전체적인 트림에서 경쟁 모델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시승기] 기아 EV9, 6천만원대부터 시작하는 대형 전기차

기아 EV9 GT-라인 4WD를 시승했다. EV9은 국내 최초로 선보인 3열 대형 SUV 전기차로 출시된지 만 2년에 접어들었다. 출시 당시보다 저렴해진 가격으로 6천만원대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한데, 유사한 체급의 하이브리드 SUV의 가격이 상승해 EV9의 재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아의 전기차 로드맵 중 하나는 EV9의 성공이었다. 기아는 현대차 대비 5년 빠른 전동화 계획으로, 2025년부터 출시되는 풀체인지 신차를 모두 전기차로 채우고, 2030년부터 전기차만 출시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시승기] 제네시스 G80 블랙, 380마력에 어울리는 젊은 분위기

제네시스 G80 블랙 3.5T AWD를 시승했다. G80 블랙은 G90 블랙, GV80 블랙, GV80 쿠페 블랙에 이은 제네시스의 4번째 블랙 모델로, 컬러와 구성만으로 G80의 분위기를 젊은 감각으로 바꿔놨다. G70의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상황에서, 3040 소비자들에도 만족할만한 선택지로 생각된다. 제네시스 브랜드에게 G80은 브랜드의 시작과도 같은 모델이다. 현재 판매되는 모델은 코드명 RG3로 1세대 BH, 2세대 DH를 잇는 3세대 G80이다. 제네시스 브랜드 론칭시 가장 먼저 선보일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시승기] 르노 세닉 일렉트릭, 좁은 회전반경과 주행거리 매력적

르노 세닉 E-TECH 일렉트릭을 시승했다. 세닉은 최근 국내 사전예약을 시작한 전기차로, 르노의 기술력과 디자인, LG에너지솔루션의 고성능 NCM 배터리가 결합돼 460km 주행이 가능하다. 르노의 감각적인 디자인과 넓은 실내공간, 좁은 회전반경은 차세대 패밀리 SUV로 주목할만 하다. 르노 브랜드는 글로벌 시장에 다양한 전기차,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전동화에 가장 적극적인 제조사 중 하나로, 르노5, 르노4, 메간, 세닉

국산차 시승기이한승 기자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 신형 Q5와 A5 국내 출시, PPC 플랫폼으로 진화

아우디코리아는 풀체인지 모델, 더 뉴 아우디 A5와 더 뉴 아우디 Q5를 출시한다고 1일 밝혔다. 두 모델은 아우디의 새로운 PPC 플랫폼 기반의 신차로, 디젤 모델 최초로 고효율 마일드 하이브리드 플러스(MHEV Plus) 기술이 적용됐다. 가격은 신형 A5 5789만원, 신형 Q5 6968만원부터다. 아우디 A5 전 트림에는 사륜구동 시스템 콰트로와 7단 S 트로닉 변속기가 기본으로 탑재된다. A5 40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34.7kgm, A5 45 TFSI 콰트로는 최고출력 272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 씰 AWD 가격 확정, 4690만원..530마력 퍼포먼스

BYD코리아가 씰 다이내믹 AWD의 국내 판매 가격을 4690만원으로 확정했다고 1일 밝혔다. 씰 다이내믹 AWD는 총 출력 530마력을 발휘하는 듀얼 모터를 탑재했으며, 1회 완충시 407km를 주행할 수 있다. 씰 다이내믹 AWD 시승은 오는 19일부터 가능하다. 씰 다이내믹 AWD 가격은 세제혜택 적용 후 기준 4690만원이다. 이는 호주와 일본 대비 약 700만원 이상 저렴한 가격으로 국내 고객을 위한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했다. 특히 지난 2025 서울모빌리티쇼에서 공개한

신차소식탑라이더 뉴스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