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영의 <지젤>은 보는 순간 “아!”하고 탄성이 나오게 만든다. 반면 김주원의 <지젤>은 “그랬구나”라는 동감의 말을 내뱉게 한다. 전자의 지젤은 발끝 하나 하나에 혼이 들어있다면, 후자의 지젤은 손 끝 하나 하나에 영감이 가득하다. 1막을 김주원의 지젤로 만나고 2막을 김지영의 지젤로 만나면 이보다 더한 발레 로망은 없을 듯 했다. 그렇게 되면 감동과 감탄이 뒤섞여 “이 순간 오페라 극장에 있는 게 행복한 일이구나”하고 중얼거리게 될 것이다.

▲ 김윤식

낭만 발레 <지젤>은 프랑시 시인이자 비평가인 고티에가 하이네가 쓴 독일 고담(De I'Allemague)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이야기다. 국립발레단이 2011년 시즌 레퍼토리 첫 작품으로 선보인 <지젤>은 로맨티시즘 발레의 탄생이 되었던 파리 오페라 발레단 (파트리스 바르 안무) 버전이다.

따지고 보면 <지젤>은 그렇게 아름다운 발레가 아닐지도 모른다. 어느 날 다가온 운명적인 귀족 청년(알브레이트)과 사랑을 속삭이는 것도 잠시, 자신을 짝사랑하던 또 다른 남자(힐라리온)가 몰라도 좋을 진실을 굳이 알려주는 현실에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 밖에 없으며, 자신에게 아름다운 목걸이를 건네준 여인(바틸드)이 다름 아닌 그 남자의 약혼자였다는 어이없음을 견뎌내야 하는 안타까운 사랑이야기 인 셈이니까 말이다. 게다가 그녀의 영혼은 죽어서도 편치 못하다.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그 남자를 지켜줘야 한다.

▲ 김주원 김현웅

그럼에도 이 작품은 예술의 전당 오페라 하우스 (1천945석)에 관객이 꽉꽉 들어찼음에도 ‘나 혼자만 <지젤>을 보고 있구나’ 하는 순간적인 정적((靜寂)을 제공한다. 특히, 여자 관객들은 작곡가 아돌프 아당(Adolphe Adam)이 사용한 유도동기(leitmotif)에 속절없이 흔들리며 데이지 꽃점의 불길한 예감을 기억해내는가 하면, 나를 속인 그는 밉지만 그와 함께 했던 사랑의 밀어를 거짓으로 되돌리고 싶지는 않아 괴로움에 몸부림치는 지젤과 한 몸이 된다.

반면, 남자 관객들은 자신이 그리던 낭만주의의 여성상을 발견해내고 넋을 잃게 된다. 지젤에게서는 싱그러운 소녀 같은 이미지를 취하고, 윌리들의 여왕 미르타에게서는 치명적 매력을 지닌 팜므파탈에 대한 판타지를 충족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 김지영 이동훈

19C 낭만주의 시대를 재현한 <지젤>은 루이자 스피나텔리가 만든 의상 역시 한 몫 했다. 특히, 윌리들의 튀튀 의상은 죽은 영혼들의 다리 동작이 투명하게 비칠 정도로 만들어져 발레블랑(백색발레)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켰다. 하지만 알브레이트의 약혼녀인 바틸다의 의상은 작년 11월에 내한한 러시아 마린스키 발레단의 의상과 비교할때 화려함이 떨어졌다. 그 결과 지젤이 바틸다의 아름다운 치마에 반해 얼굴에 직접 대보는 장면은 마린스키 발레단 <지젤>을 보고 공감의 표를 던지게 된다.

국립발레단의 <지젤>은 어느 캐스팅으로 봐도 좋았지만, 각 캐스팅별로 색깔은 조금씩 달랐다. 김현웅 알브레이트는 1막과 2막을 거쳐 청년이 진짜 사랑을 깨닫고 신사가 되는 느낌으로 공감을 줬다면, 이동훈 알브레이트는 소년같은 풋풋함과 기량으로 객석을 사로잡았다.

미르타 역의 장우정과 윤혜진 역시 느낌이 상당히 달랐다. 장우정은 도도함과 차가움이 가미된 윌리로 분해 서늘한 기운이 강했다면, 윤혜진은 자비를 엿볼 수 있는 포스로 좀 더 성숙한 윌리의 느낌을 풍겼다. 페전트 파드되에 나온 무용수 김윤식의 발견 역시 한마디 하지 않을 수 없다. 김윤식의 점프와 회전은 자신만을 위해 세상이 펼쳐진다고 믿는 소년의 비상처럼 거침없고 시원해 그가 윌프레드로 나온 날은 ‘알브레히트의 시중만 드지 말고 점프 한번 해봤으면 좋겠내’하는 혼잣말을 내뱉을 정도였다.

발레 <지젤>은 그 동안 세계적 수준으로 실력이 향상된 국립발레단의 공연에 대한 높은 기대치, 피겨 스타 김연아가 올해 <지젤>을 주제로 한 작품을 선보인다고 한 점, 쉽게 접하기 힘든 섬세한 프랑스 버전에 파리오페라 발레단의 수석무용수 라에티시아 퓌졸과 마티아스 에만을 무대에서 직접 볼 수 있다는 점, 티켓 가격대를 내려 금전적 부담을 덜어준 점 등의 이유로 전석 매진의 신화를 기록했다.

극 마지막 알브레히트가 자신을 죽음으로부터 지켜준 지젤을 차마 떠나보내지 못하듯, 객석의 관객들 역시 전 2막 지젤의 막이 내렸음에도 존재하지 않는 3막이 마술처럼 펼쳐지길 간절히 바라게 한다. ‘쉬’ 욕심을 내려놓지 않는 관객은 3월 1일 펼쳐지는 스프링 갈라(지젤 2막을 다시 볼 수 있음)에 기대감을 품어본다. 손가락을 꼽아보며 생일이 오길 간절히 바라는 유치원 꼬마의 기대감 그대로이다.

이날 갈라 공연은 KBS1 FM 진행자이자 음악평론가 장일범의 해설과 함께한다. 지젤 2막 갈라 공연 외에도 낭만주의 발레를 열어준 발레 <라 실피드> 춤의 진수를 보여줄 <파키타> 남성미가 가득한 <해적><스파르타쿠스>등을 만나볼 수 있다.

정다훈 객원기자 〈탑라이더 otrcoolpen@hanmail.net〉

관련기사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