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출시되는 신차의 큰 변화 중 하나는 버튼식, 로터리식 등 전자식으로 바뀌는 변속 레버다. 케이블로 연결되는 전통적인 방식이 아닌 시프트 바이 와이어(SBW) 방식의 전자식 변속 레버는 디자인 잇점과 편의성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오작동 등 단점도 간과할 수 없다.

기존 기계식 변속 레버의 장점은 직관성과 신뢰성이다. P-R-N-D로 나열된 순서는 세계 모든 자동차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또한 각각의 기어 단은 케이블을 통해 기계적으로 연결돼 조작감이 분명하고, 변속 선택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바뀐 기어 단을 인식할 수 있다.

과거 수입차나 전기차에서 사용되던 전자식 변속 레버는 최근 대중적인 국산차에 폭 넓게 적용되고 있다. 신형 쏘나타, 그랜저 부분변경 등 현대차에는 전자식 변속 버튼이, 기아차 신형 K5, 제네시스 GV80 등 기아차와 제네시스에는 전자식 변속 다이얼이 적용된다.

이같은 전자식 변속 레버의 적용으로 실내 디자인 자유도가 크게 향상됐다. 센터터널에 크게 자리하던 변속 레버를 대신해 위치한 변속 버튼이나 변속 다이얼은 그 자체만으로 디자인 요소로 작용하며, 주변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차종별 부품 공유도 쉽다.

무엇보다 현대기아차가 최근 적용 차종을 늘려가고 있는 원격 스마트 주차 보조(RSPA)의 적용이 가장 큰 이유다. 운전자가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진과 후진을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기계식 기어 레버로는 구현이 어려운 이유가 크다.

새로운 기능, 디자인, 조작감, 트렌드, 원가절감 등 제조사나 소비자 모두 반기지 않을 이유가 없는 전자식 변속 레버지만, 반드시 주의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버튼 조작이나 로터리 조작 후 차량이 새로운 기어 단을 실행하기까지는 약간의 텀이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기어 레버를 조작한 직후 바로 차의 기어 단이 바뀔 것이라는 것을 습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D단에서 R단으로, 혹은 R단에서 D단으로 이동시 차의 진행 방향이 즉시 바뀔 것으로 예상하지만, 버튼식이나 로터리 타입의 전자식 변속 레버는 다르다.

버튼을 누르거나 로터리를 조작한 후 1초 전후의 텀을 두고 차량은 새로운 기어 단을 적용한다. 운전자의 조작과 차량의 실행에 시간 차이가 발생하는 셈이다. 1초가 짧은 시간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좁은 공간에서 차를 앞뒤로 이동하는 상황에서는 상당한 시간이다.

실제로 D단에서 P단을 누르고 주차 상태인 것으로 운전자는 인식하고 내리지만, 차량은 D단으로 유지된 상태여서 갑자기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하는 상황을 경험하거나 목격하는 일은 어려운 일이 아니다. 운전 경력과는 상관 없는 과거의 습관에서 나오는 위험 요소다.

D단에서 운전석 문이 열리거나 아이들링 스탑 상태에서 운전석 안전벨트를 해제하는 상황을 차량을 대게 하차 의도로 판단해 P단으로 스스로 변속하고,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를 채운다. 제조사는 다양한 안전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보조 역할일 뿐이다.

차량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P단으로 레버를 옮겨 변속기에서 '텅'하는 굉음을 만들어내는 성격 급한 운전자라고 부인할 수 있는 운전자는 많지 않다. 새로운 기술이 안전을 위협하지 않기 위해서는 제조사, 판매사, 사용자 모두의 각성과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이한승 기자 〈탑라이더 hslee@top-rider.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