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베리 뉴 티볼리, 강력해진 심장으로 변신

[시승기] 베리 뉴 티볼리, 강력해진 심장으로 변신

발행일 2019-06-24 08:30:53 이한승 기자

쌍용차 베리 뉴 티볼리를 시승했다. 새로운 내외관 디자인과 강력해진 엔진이 적용된 베리 뉴 티볼리는 그간 단점으로 지적되던 부분을 완전히 보완했다. 다양한 신규 옵션 선택시 가격이 크게 상승하는 것은 아쉽지만 티볼리의 공간과 디자인은 여전히 매력적이다.

2015년 출시된 티볼리는 올해로 출시 5년차를 맞이한다. 연간 판매량 3만2천여대에 불과했던 국내 소형 SUV 시장은 2018년 15만3천대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뤘다. 세계적인 소형 SUV 시장의 확대도 이유지만 높은 상품성의 티볼리가 시장을 키웠음을 부인할 수 없다.

쌍용차 티볼리, 쉐보레 트랙스, 르노삼성 QM3에 불과했던 국내 소형 SUV는 현대차 코나, 기아차 스토닉이 가세한데 이어 하반기에는 현대차 베뉴와 기아차 셀토스가 추가된다. 국산 자동차 시장에서 유일하게 전 브랜드가 1종 이상의 모델을 보유해 가장 치열하다.

쌍용차 입장에서 티볼리는 다른 어떤 차종보다 중요한 모델이다. 쌍용차 부활의 원동력이자 볼륨 모델이기 때문에 심혈을 기울일 수 밖에 없다. 시장 규모가 제한적인 대형 SUV G4 렉스턴이나 독점에 가까운 픽업트럭 시장의 렉스턴 스포츠와는 상황이 다르다.

쌍용차는 부분변경 모델인 베리 뉴 티볼리에 풀체인지급 변화를 적용했다. 생존을 위한 변화다. 헤드램프와 리어램프, 범퍼와 휠 디자인을 바꾸는 기본적인 변화는 물론 엔진을 바꾸고 대시보드를 비롯한 실내 디자인을 완전히 바꿨다. 또한 섀시 강성도 끌어올렸다.

베리 뉴 티볼리의 전면은 안개등을 감싼 일체형 범퍼와 또렷한 캐릭터라인의 후드를 비롯해 새롭게 적용된 풀 LED 헤드램프, LED 안개등을 통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는 LED 시그니처를 새롭게 적용해 스포티함과 현대적인 감각을 강화했다.

대시보드 중앙 태블릿 타입으로 변경된 센터페시아는 모던하고 심플하게 정돈된 디자인에 인체공학적으로 배려된 설계를 통해 조작편의성을 높였다. 설계 변경으로 안락함을 높인 1열 시트와 동급에서는 드물게 리클라이닝을 지원하는 2열은 그대로 유지됐다.

시승차는 1.5리터 가솔린 터보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돼 5500rpm에서 최고출력 163마력, 1500~4000rpm에서 최대토크 26.5kgm를 발휘한다. 기존 티볼리가 최고출력 126마력, 최대토크 16.0kgm 임을 감안하면 출력은 29%, 토크는 65% 대폭 강화됐다.

일상주행에서의 가속력을 좌우하는 토크 부분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최대토크가 실용영역 구간인 1500rpm부터 발휘되기 때문에 여유로운 가속이 가능하다. 가솔린 자연흡기 모델로 치면 준대형차에 사용되는 배기량 2700cc 엔진이 소형 SUV에 탑재된 셈이다.

아이들링시 실내로 전달되는 소음과 진동은 대폭 감소했다. 기존 티볼리의 경우 간접분사 엔진임에도 진동이 다소 전달됐는데 직분사로 바꼈음에도 오히려 정숙하다. 필러에 흡음재를 추가하고, 전후방 서브프레임과 다이내믹 댐퍼와 4점 마운팅을 적용한 것이 이유다.

새롭게 적용된 공회전 제한시스템(ISG)은 정차시 연료소모를 줄여준다. 디젤차의 경우 시동을 켜고 끄는 동작에서 불쾌한 진동이 전달되기 쉬운데, 가솔린 엔진의 티볼리는 부드럽게 동작한다. 극심한 정체가 이어지는 도심에서는 ISG 만으로도 아끼는 연료가 상당하다.

차선변경이나 추월시 가속에서는 바뀐 엔진으로 인해 펀치력이 대단히 좋아졌다. 가볍고 작은 차체의 소형 SUV에서는 차고 넘치는 출력이다. 듀얼클러치 변속기가 적용된 현대차 코나나 기아차 쏘울이 폭발적이라면 티볼리 쪽은 진지하고 매끄러운 가속을 전한다.

풀가속시 엔진의 감각은 출력 일부를 봉인한 감각을 전한다. 모든 힘을 쏟아내기보다는 힘들이지 않는 구간을 활용해 달리는 감각이다. 유럽 사양으로 공개된 신형 코란도 가솔린의 제원상 출력은 티볼리와 동일하나 토크는 28.5kgm로 티볼리 대비 2.0kgm 앞선다.

이런 설정은 연비면에서 잇점을 보이는데 가혹한 고속주행에서도 연비는 두 자릿수를 유지한다. 밸런스가 강조된 설정이다. 티볼리의 강력해진 출력은 고속구간에서의 재가속에서 빛을 발한다. 100~120km/h에서 180km/h 부근까지 속도를 높이는 시간이 아주 빨라졌다.

고속주행시의 빠른 차체 거동에서도 안정적인 모습이다. 구조용 접착제와 차체 패널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서스펜션의 요철 포용력은 오히려 진화했다. 적절한 승차감을 유지하면서 기본적인 안정성은 놓치지 않았다. 티볼리의 셋업은 대부분 밸런스에 집중했다.

하지만 한계 코너링에서의 움직임은 인상적이지 않았다. 탄탄한 주행감각으로 높은 한계를 보여줄 것 같았지만 실제 코너링 한계는 높지 않았고 몰아붙이면 쉽게 언더스티어를 보인다. 강력해진 엔진으로 인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섀시의 변화는 비교적 미미한 수준이다.

주행시 엔진으로부터 들려오는 터빈과 웨이스트 게이트 소음은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1500rpm 부근에서 시작돼 나즈막히 들리는 소리로 청각이 예민한 운전자라면 거슬릴 수 있다. 스포티함으로 받아들일 수도 있는 부분으로 사운드 혹은 노이즈로 생각된다.

시트는 동급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안락함을 보이는 반면 새롭게 더해진 요추받침은 시승내내 거슬렸다. 시트의 사이즈, 형태, 착좌감, 촉감에서 만족스러웠지만 허리부분이 지나치게 단단하다. 요추받침을 완전히 집어넣은 상태에서도 단단해 코너에서 몸이 겉돈다.

디지털 클러스터와 9인치 내비게이션은 달라진 티볼리의 실내 분위기를 주도한다. 160만원의 패키지로 구성됐는데 2355만원의 V7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다. LED 헤드램프와 블레이즈 콕핏 패키지를 V3 트림에서 옵션으로 제공한다면 티볼리의 경쟁력은 한층 높아진다.

2열 공간 거주성은 티볼리의 강점이다. 레그룸은 물론 헤드룸에 여유가 있을 뿐만 아니라 2열 리클라이닝까지 지원한다. 흡차음재 확대로 소음이 줄어든 것도 패밀리카로서 가치를 높여주는 요소다. 부싱의 변화로 노면의 자잘한 요철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한다.

베리 뉴 티볼리의 변화에서는 전사적인 혼신의 노력이 묻어난다. 하지만 규모의 경제를 앞세운 경쟁사의 공격적인 신차 출시는 위기 상황이다. 매력적인 옵션을 더하면 준중형 SUV를 바라보는 옵션 구성만 조절한다면 티볼리의 성공은 보장된 것이나 다름없다.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에스컬레이드 IQ, 역대급 205kWh 배터리..예상 가격은?

에스컬레이드 IQ, 역대급 205kWh 배터리..예상 가격은?

캐딜락코리아가 에스컬레이드 IQ의 출시 일정을 11월로 확정해 관심이 모아진다. 에스컬레이드 IQ는 캐딜락 브랜드 최상위 전기차 모델로, eAWD 듀얼모터, 205kWh 배터리팩을 통해 최고출력 750마력, 최대토크 108.5kgm를 발휘한다. 1회 충전 주행거리는 739km, 공차중량 4210kg이다. 에스컬레이드 IQ는 풀사이즈 전기 SUV로 미국시장 기준 12만9795달러(1억8648만원)부터다. 국내에 도입될 가능성이 높은 프리미엄 럭셔리, 프리미엄 스포트는 15만달러(2억1543만원)다. 2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현대차, 2세대 신형 베뉴 인도 출시..세련된 디자인

현대차, 2세대 신형 베뉴 인도 출시..세련된 디자인

현대차 인도법인이 신형 베뉴를 공개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신형 베뉴는 내외관 디자인을 고급화하고 편의사양을 강화해 세제혜택과 수요가 큰 인도의 전장 4m 이하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일 계획이다. 현대차 인도법인은 최근 현지 상장을 통해 26조원의 기업가치를 평가 받았다. 2세대 신형 베뉴의 생산은 인도 탈레가온 공장에서 이뤄진다. 탈레가온 공장은 GM에서 2008년부터 운영한 곳으로 쉐보레 비트(스파크) 등 소형차를 생산했다. 2023년 현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기아 EV4 GT 프로토타입 공개, 차세대 고성능 전기차

기아 EV4 GT 프로토타입 공개, 차세대 고성능 전기차

기아 유럽법인은 27일(현지시각) EV4 GT 프로토타입을 공개했다. EV4 GT는 고성능 모델로, 기아의 고성능 전기차 라인업 EV6 GT(2022년), EV9 GT(2024년)에 이어 2026년 3번째로 선보이게 된다. 먼저 선보인 라인업과 다르게 전륜구동 기반 고성능 전기차로 비교적 작은 차체가 특징이다. 기아는 EV4 GT 프로토타입은 래핑을 통해 디자인을 숨기고 있지만, 대구경 휠과 대용량 브레이크 시스템이 적용됐다. EV4 GT 프로토타입의 기반 모델은 국내에 선보인 EV4 세단과는 다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현대차 신형 아반떼 N, 300마력대 2.5 터보 유력

현대차 신형 아반떼 N, 300마력대 2.5 터보 유력

현대차 신형 아반떼 N에 2.5리터 터보가 탑재될 전망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차세대 아반떼 N에 배기량을 늘린 신규 고성능 터보 엔진을 탑재한다. 배기량 증대를 통해 강화된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고, 출력과 토크, 엔진 반응성을 높여 모델 라인업의 성능을 끌어올린다. 현대 N은 현재 5개 모델(아이오닉 5 N, 아이오닉 6 N, 아반떼 N, i20 N, i30 N)로 구성된 라인업을 2030년까지 7개 모델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새롭게 투입될 N 모델은

뉴스이한승 기자
BMW, 창립 30주년 마누팍투어 한정판 4종 출시

BMW, 창립 30주년 마누팍투어 한정판 4종 출시

BMW코리아가 오는 29일 15시, BMW 샵 온라인을 통해 BMW코리아 창립 3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 4종을 선보인다. 이번 스페셜 에디션은 BMW코리아 최초로 'BMW 인디비주얼 마누팍투어'를 통해 제작됐다. 지난 2000년 시작된 BMW 인디비주얼 마누팍투어는 완벽한 장인정신과 최고의 독보성으로 완성되는 BMW의 최상위 맞춤형 제작 프로그램이다. BMW 인디비주얼 마누팍투어는 BMW 인디비주얼 페인트 대비 100가지 이상의 추가 스페셜 페인트부터 고객 개인 소유의 소재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혼다데이 라이드 앤 드라이브', 모두의 축제로 자리매김

'혼다데이 라이드 앤 드라이브', 모두의 축제로 자리매김

'2025 혼다데이 라이드 앤 드라이브'가 모터사이클 2200여대, 자동차 300여대가 방문하는 등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지난 25일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에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전국 주요 도시 거점으로 진행하는 혼다코리아의 고객 이벤트로, 혼다와 함께하는 즐거운 라이프스타일을 공유하고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진행된다. 2022년 경기도 양평을 시작으로 강원도 춘천, 경상북도 경주와 상주 등 전국 각지에서 성황리에 진행된 바 있으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11월 출시 확정..739km 주행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11월 출시 확정..739km 주행

캐딜락이 에스컬레이드 전기차, '에스컬레이드 IQ'를 오는 11월 국내에 출시한다고 밝혔다. 에스컬레이드 IQ는 캐딜락 브랜드의 상징적 헤리티지를 계승하면서,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선도할 첨단 전동화 기술과 풀사이즈 SUV의 품격을 결합한 모델로 럭셔리 전기차의 기준을 제시한다. 에스컬레이드 IQ는 국내에 첫 출시되는 풀사이즈 럭셔리 전기 SUV인 만큼 올해 국내 시장에는 극히 제한된 물량만 공급될 예정이며, 차량 구매를 원하는 고객을 위해 전

뉴스이한승 기자
'현대 모빌리티 플레이그라운드' 굿우드 페스티벌 꿈꾼다

'현대 모빌리티 플레이그라운드' 굿우드 페스티벌 꿈꾼다

현대차가 지난 25~26일 양일간 경기도 화성시 소재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2025 현대 모빌리티 플레이그라운드' 행사를 진행했다. 현대차는 자동차를 사랑하는 사람들이 다양한 관련 활동을 즐길 수 있도록 '자동차 놀이터' 콘셉트의 커뮤니케이션 장을 마련했다. 이번 행사를 통해 자동차 인플루언서와 구독자, 자동차 동호회 회원, 자동차 전문 기자 등 약 600여명의 참가자들은 자동차라는 공통의 주제로 서로 소통하고, 특히 현대차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페라리 아말피 국내 출시, 640마력 프런트 미드십 스포츠카

페라리 아말피 국내 출시, 640마력 프런트 미드십 스포츠카

페라리 아말피(Amalfi)가 23일 국내에 출시됐다. 아말피는 페라리의 새로운 프런트 미드 V8 쿠페로, 페라리 로마로 시작된 그랜드 투어로의 명맥을 이어간다. 차명은 이탈리아 남부 아말피 해안의 찬란한 에너지와 삶에 대한 순수한 사랑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했다. 외관 디자인은 쐐기 형태의 측면 프로필과 실루엣이 특징이다. 전통적인 그릴을 없앤 전면부는 차체와 동일한 색상의 밴드 아래 헤드라이트와 센서를 통합해 조각 같은 볼륨감을 자랑한다.

신차소식이한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