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코나 일렉트릭, 500km 주행 착한 뻥연비

[시승기] 코나 일렉트릭, 500km 주행 착한 뻥연비

발행일 2018-08-10 01:56:20 이한승 기자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코나 일렉트릭을 시승했다. 코나 일렉트릭은 장거리 전기차로 1회 충전 실주행거리가 500km에 달해 충전에 대한 부담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특히 20분 충전으로도 주행거리 100km 확보가 가능해 일상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차 시대가 우리 곁에 다가왔다. 아직은 연료를 태워 엔진을 돌리고 변속기를 거쳐 노면에 힘을 전달하는 아날로그한 자동차에 마음이 가는 것이 솔직한 마음이다. 하지만 코나 일렉트릭을 타고 나서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은 사고 싶은 마음으로 바뀌었다.

짧은 1회 충전 주행거리, 지나치게 긴 충전시간, 적은 충전소, 높은 차량가격, 그리고 제한적인 모델 라인업은 전기차 선택을 주저하게 만드는 요소다. 전기차를 세컨드카로 고려한 유저가 아니라면 이런 단점들은 어느 하나 쉽게 지나칠 수 없는 부분들이다.

매력적인 가격 3천만원 초반

코나 일렉트릭은 이런 단점들을 대부분 해결했다. 특히 서울에서 부산까지 편도 주행을 하고도 남는 대용량 배터리를 적용하고도 보조금을 포함해 5천만원 미만의 가격을 책정, 정부와 지자체 보조금 적용시 3천만원 초반에 구입할 수 있어 진입장벽을 낮췄다.

시승한 모델은 64kWh 배터리가 적용된 코나 일렉트릭 프리미엄 트림에 220V 충전 케이블이 포함된 충전 어시스트 패키지, 혹한기 충전시간 단축을 위한 배터리 히팅 시스템이 포함된 윈터 패키지, 스마트센스 패키지, 프리미엄 패키지까지 포함된 풀 패키지 사양이다.

세제혜택 후 판매가격은 4850만원에 투톤 루프를 제외한 옵션 398만원이 더해진 5248만원에서 정부 보조금 1200만원과 서울기준 지자체 보조금 500만원까지 포함하면 3548만원에 구입할 수 있는 모델이다. 코나 풀 패키지 대비 여전히 500만원 가량 비싸다.

고속 완충시 비용은 1만1123원

하지만 유류비를 대신해 소요되는 충전비를 고려하면 경제성에서 앞선다. 한국전기차충전시비스(KEVCS) 기준 50kWh 고속 충전기 요금은 173.8원/kWh다. 완전히 방전된 64kWh 배터리팩 충전시 1만1123원이 소요되며, 406km 주행이 가능해 어떤 연료보다 저렴하다.

코나 디젤의 경우 50리터 연료탱크를 1450원/리터 경유로 채울 경우 7만2500원이 소요되며, 17인치 기준 복합연비 16.5km/ℓ 고려시 825km 주행이 가능하다. 두 모델의 1km 주행당 비용을 계산하면 코나 일렉트릭은 27원, 코나 디젤은 87원으로 약 3분의 1 수준이다.

코나 일렉트릭 운영에 따른 금전적인 계산은 여기까지, 코나 일렉트릭의 상품성을 살펴보면 코나와 닮은듯 다른 외관 디자인은 매력적인 요소다. 그릴이 삭제된 마스크는 사진으로 접하는 것보다 차체 디자인과 어울림이 좋다. 미래차 느낌은 분명 플러스 요인이다.

고급화로 차별화된 실내 디자인

밝은 컬러로 구성된 실내는 고급스러운 분위기다. 커진 8인치 인포테인먼트 모니터와 기어노브를 제거한 새로운 디자인의 센터터널, 그리고 금속소재 감각의 버튼류 디자인은 일반적인 코나 대비 고급감이 앞선다. 밝은 컬러의 합성소재 중에서는 최상급 수준이다.

제원상 코나 일렉트릭은 기존 코나 대비 약간 커졌지만 디자인 변화로 인한 차이일 뿐 동일한 차체다. 오히려 플로어 하단에 위치한 배터리팩으로 인해 2열 시트가 이동해 2열 머리공간은 961mm에서 957mm로, 무릎공간은 880mm에서 848mm로 다소 줄었다.

시승차는 64kWh 배터리팩과 최고출력 204마력, 최대토크 40.3kgm 전기모터가 적용된 모델이다. 공차중량은 1685kg, 복합연비는 5.6kWh(도심 6.2, 고속 5.0)다. 1회 충전 주행거리는 복합 406km(도심 444km, 고속 359km)다. 타이어는 215/55R17 규격이다.

64kWh와 39.2kWh 성능 차이

코나 일렉트릭은 64kWh 배터리팩 모델과 39.2kWh 배터리팩 모델은 배터리 용량 뿐만 아니라 성능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39.2kWh 배터리팩 모델의 공차중량은 145kg 가벼운 1540kg, 복합연비는 5.8kWh(도심 6.5, 고속 5.1)로 약간 앞선다.

반면 성능면에서는 64kWh 모델이 앞선다. 전기모터의 최대토크는 동일하나 최고출력은 각각 204마력과 136마력으로 다르다. 64kWh 모델의 최고속도는 167km/h, 정지상태에서 100km/h 가속은 7.6초, 39.2kWh 모델은 각각 155km/h, 9.7초다.(유럽사양 기준)

코나 일렉트릭은 저속주행에서 경쾌한 가속력이 인상적이다. 대부분의 전기차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동작과 동시에 최대토크가 발휘되는 전기모터의 특성상 발진가속이 뛰어나다. 특히 40-80km/h 구간의 가속력은 300마력 스포츠세단이 부럽지 않은 수준이다.

지능형 회생제동 시스템

코나 일렉트릭의 특징 중 하나는 지능형 회생제동 시스템이다. 주행모드에 따라 회생제동의 강도가 변화되는데 패들시프터로 임의로 제동력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지능형 회생제동 시스템은 타력주행과 저속에서의 제동을 능동적으로 조율해 충전량을 늘린다.

이같은 시스템의 도움으로 부드러운 주행을 이어갈 경우 계기판에 나타나는 주행가능 거리는 제원상의 406km를 훌쩍 넘어 500km에 가까운 수치까지 상승한다. 무더운 여름날 에어컨을 20도에 맞추고 적당히 가속감을 즐기며 운전하는 상황에서 기록된 수치다.

실제 주행에서도 350km를 주행한 상황에서 배터리 잔량 20%의 주행가능거리는 100km 수준을 나타낸다. 100km 이상의 고속주행과 정체가 이어진 도심주행이 포함된 주행에서 나타낸 것으로 적어도 제원보다 적은 주행거리로 인한 불만은 없을 것으로 보여진다.

단단한 승차감과 강력한 퍼포먼스

승차감은 다소 단단하게 느껴진다. 자잘한 요철은 부드럽게 타고 넘지만 기본적으로 서스펜션과 차체는 견고함이 강조됐다. 손쉽게 고속영역에 도달하는 동력성능을 갖춘 만큼 이같은 설정은 주행안전성을 위해 현명한 설정으로 생각된다.

코나 일렉트릭은 기본적으로 주행성능이 강조된 코나의 차체에 플로어 하단의 배터리팩으로 인해 무게중심이 낮아지고 플로어에 보강이 이뤄져 좀 더 단단하고 안정적인 감각이다. 코나 일렉트릭을 단순히 친환경차로 접근했다면 다시 생각하길 권장한다.

고속도로 주행에서의 안정감과 주행성능은 기대 이상이다. 100km/h에서 170km/h까지는 쉬지 않고 가속된다. 매끄럽고 꾸준히 이어지는 가속력은 1.6 가솔린 터보와 비교해도 비슷하거나 앞서는 수준이다. 다만 170km/h 이후에서는 가속력이 한풀 꺽인다.

완소 아이템 스마트센스

코나 일렉트릭은 저속과 중고속 영역 모두에서 정숙함이 강점이다. 내연기관 파워트레인에서 만들어내는 소음이 없고 흡기와 배기 과정도 없어 노면 소음과 풍절음이 전부다. 이마저도 0.29로 낮아진 공기저항계수와 배터리팩의 방음 효과으로 실내는 정숙하다.

옵션으로 제공되는 스마트센스의 동작도 양산차 중에는 수준급이다.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은 고속도로에 접어들면 HDA 모드로 자동 변환돼 미리 설정한 속도에 따라 조향과 가감속을 소화한다. 특히 HDA 동작시 30km/h의 저속에서도 조향보조기능이 개입된다.

어댑티브 크루즈컨트롤 동작시 가속과 감속, 회생충전이 유기적으로 동작해 주행가능거리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규정속도보다 높은 속도로 설정한 경우에도 과속위험지역에서는 부드럽게 속도를 줄이고 통과 후 가속한다.

코나 일렉트릭 충전규격은 콤보

전기차 사용에 있어 가장 민감하지만 실제 경험하지 않으면 알 수 없는 부분이 충전시간과 충전에 대한 두려움이다. 환경부 전기차충전소(ev.or.kr) 사이트를 이용하면 전국 충전소의 위치와 현재 사용여부까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아쉬운 점은 사용여부가 충전중일 때만 표기되기 때문에 충전이 끝난채 주차된 전기차가 있다면 사용가능으로 표시되는 점이다. 대부분의 전기차는 충전이 끝난 경우 계기판에 충전중 표기가 사라져 충전 플러그만 꼽아놓고 주차한 것으로 오해할 수도 있다.

코나 일렉트릭의 경우 충전 플러그는 콤보방식을 사용한다. 충전소에는 코나 일렉트릭에 대한 정보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곳이 많아 GM이나 BMW라고 표기된 플러그를 사용하면 된다. 80% 충전시까지 소요 시간은 빠르고 완충까지는 더딘 점은 기억할 필요가 있다.

50kW 고속 충전기 이용시 배터리 잔량이 20% 남았을 경우 80% 충전까지는 약 58분이, 100% 충전까지는 110분이 소요된다. 일상적인 사용에서 충전시간과 주행거리를 고려하면 20-80% 충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추천한다. 20분 충전으로도 100km 확보가 가능하다.

코나 일렉트릭 시승은 전기차를 공부한 좋은 시간으로 기억된다. 처음엔 모든 것이 낯설고 어려웠지만 한 번 경험하고 나니 전기차가 오히려 편하게 느껴진다. 충전소가 부족하다고 말하지만 전기차가 적은 지금이 전기차를 편리하게 이용하기에는 오히려 적기다.

저작권자 © 탑라이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300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실차 살펴보기, 2026년 1월 출시

제네시스 GV60 마그마 실차 살펴보기, 2026년 1월 출시

제네시스는 21일 ‘GV60 마그마(GV60 Magma)’를 공개했다. GV60 마그마는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모델로 2026년 1월 한국을 시작으로 유럽, 북미 등 글로벌 시장에 순차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오는 12월 10일부터 제네시스 수지에서 GV60 마그마 실차를 관람할 수 있다. GV60 마그마는 전고를 20mm 낮추고, 와이드 펜더와 275mm 광폭 타이어를 적용해 낮고 넓은 비례를 강조했다. 사이드 스커트와 에어브리더 라인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공기 흐름을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혼다 CR-V 2026년형 실차 살펴보니, 상품성 업그레이드

혼다 CR-V 2026년형 실차 살펴보니, 상품성 업그레이드

혼다코리아가 '혼다 뉴 CR-V 하이브리드 익스피리언스 위크'를 통해 CR-V 하이브리드 2026년형 실차를 공개했다. 전시 팝업 이벤트는 11월 21일-23일 스타필드 하남, 11월 28일-30일 타임빌라스 수원에서 열린다. 가격은 2WD 5280만원, 4WD 5580만원(VAT 포함, 개소세 인하분)이다. 2023년 국내에 선보인 6세대 CR-V 하이브리드는 혼다의 독자적인 신형 2모터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기반으로 주행 성능, 뛰어난 연료 효율성이 특징이다. 2026년형에는 안전사양으로 혼다 센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
혼다 CR-V, 스타필드 하남과 타임빌라스 수원서 팝업 이벤트

혼다 CR-V, 스타필드 하남과 타임빌라스 수원서 팝업 이벤트

혼다코리아가 ‘2026년형 뉴 CR-V 하이브리드’의 출시 및 CR-V 출시 30주년을 기념해 소비자 대상 전시 팝업 이벤트를 진행한다. ‘혼다 뉴 CR-V 하이브리드 익스피리언스 위크’ 전시 팝업 이벤트는 11월 21일-23일 스타필드 하남, 11월 28일-30일 타임빌라스 수원에서 열린다. 이번 팝업 이벤트는 고객 니즈를 반영해 안전·편의 사양을 강화한 ‘2026년형 뉴 CR-V 하이브리드’를 보다 가까이서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30년간 이어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폴스타 CEO

폴스타 CEO "부산공장은 북미 수출을 위한 핵심 거점"

"폴스타는 부산에서 폴스타 4를 생산해 북미로 수출할 예정입니다" 마이클 로쉘러 폴스타 CEO는 최근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와의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로쉘러 CEO는 지난 2024년 10월 폴스타 글로벌 CEO로 선임됐으며, 과거 오펠, 빈패스트, 니콜라 CEO를 역임했다. 폴스타 브랜드는 앞으로 유럽, 북미, 아시아를 3대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전략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폴스타4를 르노 부산공장에서 생산해 북미로 수출할 예정으로, 부산은 안정적인 공

업계소식이한승 기자
신형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와 터보 파워트레인 제공

신형 텔루라이드, 하이브리드와 터보 파워트레인 제공

기아 미국법인은 20일(현지시각) 신형 텔루라이드의 사양을 공개했다. 2세대 풀체인지 모델인 신형 텔루라이드는 팰리세이드와 동일한 터보 하이브리드와 가솔린 터보가 적용되며, 7인승과 8인승으로 판매된다. 기본형과 X-라인, X-프로 트림으로 구성되며, 출고는 2026년 1분기부터다. 2027년형 텔루라이드로 판매될 신형 텔루라이드의 외관 디자인은 면을 강조해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우아한 보디패널과 공격적인 볼륨의 펜더는 역동적인 디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마그마 GT 콘셉트 공개..양산 가능성은?

제네시스, 마그마 GT 콘셉트 공개..양산 가능성은?

제네시스는 20일(현지시각) 프랑스에서 열린 '제네시스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를 통해 헤일로카 '마그마 GT 콘셉트'를 공개했다. 향후 10년간 제네시스의 방향성을 보여주는 장소에서 공개된 마그마 GT는 단순히 디자인 결과물을 넘어서, 브랜드 미래의 고성능 역량에 대한 의지를 보여준다. 마그마 GT 콘셉트는 지난 9월 뉴욕에서 열린 현대차 CEO 인베스터데이에서 발표한 성능 로드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제네시스는 퍼포먼스 아이콘으로 헤일로카를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현대차, 크레이터 콘셉트 공개..미래 오프로더 예고

현대차, 크레이터 콘셉트 공개..미래 오프로더 예고

현대자동차는 20일(현지시각) LA오토쇼 2025에 앞서 크레이터(CRATER) 콘셉트를 공개했다. 크레이터는 미래형 오프로더 콘셉트로 컴팩트 SUV를 기반으로 한다. 현대차의 오프로더 트림인 XRT에서 영감을 받았다. 현대차는 아이오닉5, 산타크루즈, 팰리세이드에 XRT 트림을 운영한다. 크레이터는 현대차가 선보일 미래 XRT 모델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한다. 현대차는 크레이터를 통해 끊임없이 탐험하려는 열정이 형성된 비전, 고객들이 깊이 탐험하고 모험의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650마력 럭셔리카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650마력 럭셔리카

제네시스는 20일(현지시각) 프랑스 폴 리카르 서킷에서 <마그마 월드 프리미어> 행사를 개최하고 브랜드 최초의 고성능 모델 ‘GV60 마그마(GV60 Magma)’를 공개했다. 낮고 넓은 차체를 기반으로 마그마 전용 컬러와 3홀 디자인 등 마그마만의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디자인이 특징이다. GV60 마그마는 전고를 20mm 낮추고, 와이드 펜더와 275mm 광폭 타이어를 적용해 낮고 넓은 비례를 강조했다. 사이드 스커트와 에어브리더 라인이 자연스럽게 이어져

신차소식이한승 기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실차 살펴보니..압도적 존재감

캐딜락 에스컬레이드 IQ, 실차 살펴보니..압도적 존재감

캐딜락이 에스컬레이드 IQ(ESCALADE IQ)를 국내에 출시했다. 에스컬레이드 IQ는 풀사이즈 전기 SUV로, 가격은 2억7757만원이다. 205kWh 배터리팩을 통해 주행거리는 739km에 달하며, 에어 서스펜션, 사륜 조향 시스템, 어라이벌 모드, 그리고 핸즈프리 ADAS 슈퍼크루즈를 지원한다. 에스컬레이드 IQ는 캐딜락의 시그니처 디자인을 미래지향적으로 재해석해 강렬하면서도 세련된 존재감을 완성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수직형 LED 헤드램프, 블랙 크리스탈 실드, 일루

차vs차 비교해보니이한승 기자